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컨슈머인사이트] 전기차, 초기품질 약진...내연기관차 따라잡기 속도 낸다

글로벌오토뉴스
2025.10.16. 13:52:02
조회 수
33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 새차 구입 1년 이내인 소비자가 경험한 초기품질 문제점에서 전기차가 내연기관차에 열세를 빠르게 좁혀가고 있다. 전기차 구입자가 경험한 문제점 수가 1년 새 20% 이상 감소해 내연기관차의 1.6배에서 1.2배 수준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전기차의 배터리, 전장 등 핵심 장치에 대한 소비자 신뢰가 안정기에 접어들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 자동차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2001년 시작해 올해 제25차를 맞은 ‘연례 자동차 기획조사(매년 7월 10만명 대상)’에서 새차 구입 후 1년 이내(’24년 7월~’25년 6월 구입)인 소비자에게 그 간 경험한 문제점을 물었다. 그 응답값을 기초로 ‘100대당 문제점 수(PPH : Problems Per Hundred)’를 산출, 초기품질(TGW-i : Things Gone Wrong-initial) 지수를 만들고 전기차와 내연기관차별로 비교했다. 초기품질 평가 부문은 총 12개였으며, 측정 항목은 내연기관 185개, 전기차 172개로 구성돼 있다.

■ 전기차 50 PPH, 내연기관차 1 PPH 감소

○ 올해 조사에서 ‘구입 1년 이내’ 자동차의 평균 PPH는 121이었다[그림]. 이는 새차 100대당 121건의 문제를 소비자가 경험했음을 뜻한다. 연료타입별로 전기차는 140 PPH, 내연기관차는 118 PPH로 전기차가 1.2배(+22 PPH) 많았다. 지난 2년 연속 1.6배 차이였음을 고려하면 전기차의 체감 품질 향상이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참고. 전기차 초기품질 문제점 수, 내연기관차의 1.6배 여전 ’24.11.05).






○ 전기차의 체험 문제점 수는 작년(190 PPH) 대비 약 26%(50 PPH) 감소했다. 문제점을 경험한 소비자 비율도 55%에서 43%로 12%p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내연기관차의 문제점 수(119→118 PPH)는 사실상 변화가 없었고, 문제 경험 소비자 비율은 2%p 감소(38%→36%)에 그쳤다. 그 결과 내연기관 대비 전기차 문제점 경험자 비율도 전년 1.4배에서 1.2배로 줄어들어 전기차 구입자의 체감 품질 개선이 확인된다.

■ ‘배터리’ ‘구동계’보다 ‘소음’ ‘전기장치’ 문제점 경험 많아

○ 문제점을 부문별로 정리하면 공통적으로 △소음·잡소리(전기차 26.2 PPH, 내연기관차 18.9 PPH)가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은 △전기장치·액세서리(25.0 PPH, 16.8 PPH)였다[표1]. 이어 전기차는 △AV시스템 △온도조절·환기장치 △차체·도장·몰딩·누수 △브레이크 순이었고, 내연기관차는 △구동계 △AV시스템 △핸들·조향장치 △브레이크 순으로 일부 차이를 보였다.






○ 주목할 부분은 두 차종의 핵심 구동장치(전기차의 배터리, 내연기관차의 엔진)보다 소음·잡소리, 전기장치·액세서리 등 감성적 부문의 문제점 경험이 더 많았던 점이다. 이는 주요 기계 부품의 신뢰성, 특히 전기차의 배터리 품질은 안정화된 반면 조립 완성도, 내장 마감 등 세부 영역에 대한 불만이 남아 있음을 의미한다.

○ 전기차의 소음·잡소리 문제 경험률이 내연기관차보다 높은 역설적 현상은 계속되고 있다. 전기차 특유의 정숙성으로 인해 미세한 소음이 더 부각되기 때문으로 해석되나, 차체 강성 보강과 함께 감성적 불쾌감을 최소화하는 종합적 품질 관리가 필요함을 알려 준다.

■ 국산 139 PPH vs 수입 140 PPH 팽팽

○ 전기차를 원산지별로 비교했을 때 국산(139 PPH)과 수입차(140 PPH)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다만 국산차는 △내장·인테리어 △소음·잡소리 △구동계에서, 수입차는 △전기장치·액세서리 △브레이크 △AV시스템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문제점이 지적됐다. 각각 강점을 보이는 품질 영역이 뚜렷하게 다른 만큼 취약 부분을 보완하는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 전기차의 초기 품질이 전방위적으로 개선되는 추세임은 분명하다. 초기시장에서 나타났던 배터리·전장 관련 결합은 많이 해소됐고, 내연기관과의 품질 격차도 빠르게 좁혀지고 있다. 부품 결함이나 오류 발생을 줄이는 수준을 넘어 소비자가 경험하는 정숙성, 내장품질, 조작 경험 등 체감 품질을 향상시키는 단계로 전환이 요구된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일반뉴스 전체 둘러보기
2/1
2025 서울클래식카쇼, 코엑스에서 국내 첫 대규모 클래식카 전시 개최 글로벌오토뉴스
KGM, 세종대와 미래형 모빌리티 디자인 선보여…‘서울디자인위크 2025’서 2종 공개 글로벌오토뉴스
스텔란티스, 미국에 130억 달러 투자…향후 4년간 5,000개 일자리 창출 글로벌오토뉴스
한국자동차공학회, ‘2025 대학생 스마트 e-모빌리티 경진대회’ 24일 개막 글로벌오토뉴스
JLR, 영국 본사에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 개소…글로벌 재생에너지 전략 가속 글로벌오토뉴스
BYD, 일본 시장서 ‘정면 돌파’ 택했다…경차 BEV로 선진시장 공략 가속 글로벌오토뉴스
인피니언, 업계 최초로 자동차 등급의 100V GaN 트랜지스터 출시 글로벌오토뉴스
한국타이어, ‘2025 WRC 중부 유럽 랠리’ 레이싱 타이어 독점 공급 글로벌오토뉴스
현대차·기아, 협력사와 함께하는 ‘2025 안전동행 세미나’ 개최 글로벌오토뉴스
지엠한마음재단, 인천 문학동서 ‘행복나눔밥차’ 운영 글로벌오토뉴스
[컨슈머인사이트] 전기차, 초기품질 약진...내연기관차 따라잡기 속도 낸다 글로벌오토뉴스
현대차, 인도에 50억 달러 신규 투자 글로벌오토뉴스
BYD, 유럽 제3공장 부지로 스페인 유력 검토 글로벌오토뉴스
MINI, 폴 스미스와 다시 손잡다 글로벌오토뉴스
토요타, ‘센추리 원 오브 원’ 콘셉트 공개…롤스로이스 겨냥한 초고급 쿠페형 SUV 글로벌오토뉴스
웨이모, 2026년 런던서 로보택시 서비스 개시 글로벌오토뉴스
샤오미 SU7 화재 참사, 전자식 도어 잠금장치 결함 드러나…5.7% 주가 급락 글로벌오토뉴스
BYD코리아, 스타필드 수원에서 ‘BYD 테크 라운지’ 운영 글로벌오토뉴스
“협력사가 곧 경쟁력”… 현대모비스, 신기술 동반개발에 1800억 투자 오토헤럴드
"이것은 모터쇼인가 골프 대회인가" BMW 레이디스 챔피언십 15일 개막 오토헤럴드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