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기화된 경기 침체로 상용차 시장이 전반적인 어려움에 처한 가운데, 만트럭버스코리아(이하 ‘만트럭’)가 차별화된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물류와 건설 경기가 위축되며 트럭 수요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만트럭은 단기 판매보다 기존 고객의 만족과 신뢰 확보에 초점을 맞추며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고 있다.
상용차는 ‘돈을 버는 차량’으로 불린다. 하루라도 운행이 중단되면 곧바로 비용 손실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화물 운송업체와 자영업 트럭 오너들에게 운휴는 영업 중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용차 고객에게 가장 중요한 가치는 차량의 가동률과 유지비 절감이다.
이러한 고객 현실에 맞춰 만트럭은 서비스 고도화와 운영 효율성 향상을 위한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 상반기 부산 직영 서비스센터를 개소한 데 이어, 내년 초 이천 센터 개소를 통해 전국 23개 서비스 네트워크를 완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고객은 전국 어디서나 신속하게 정비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현재 만트럭의 부품 가용률은 93%에 달하며, 주요 소모품은 전국 모든 서비스센터로 24시간 이내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고객 맞춤형 부품 할인 캠페인을 상시 운영해 특정 부품을 40~60% 할인 판매하고, 계절별 점검 캠페인을 통해 혹한기와 혹서기에 대비한 정비를 지원한다.

차량 유지비 절감을 위한 정비 패키지 프로그램도 강화됐다. ‘케어프리(Carefree)’와 ‘케어프리 엑스트라(Carefree EXTRA)’는 정기 점검과 주요 소모품 교체를 포함해 장기 운행 시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한 정비 비용을 줄인다. 체계적인 관리와 보증으로 정비 후 재발을 방지하고, 고객은 예측 가능한 비용 구조 안에서 차량을 운용할 수 있다.
만트럭은 금융 서비스에서도 고객 중심 전략을 이어간다. ‘만파이낸셜서비스(MAN Financial Services)’는 초기 구매 비용 부담을 줄이고, 월 단위로 차량 관리비를 계획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운휴손실지원 프로그램’은 사고 수리로 인한 운행 중단 기간 동안 손실을 보전해주는 서비스로, 실질적인 고객 만족을 이끌고 있다.
디지털 혁신도 빠르게 진행 중이다. 만트럭은 전용 앱 ‘MyMAN Korea’를 통해 정비 예약, 사고 견적, 차량 매뉴얼 조회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앱에서 사고 사진을 전송해 원격 상담을 받을 수 있으며, 서비스센터에는 키오스크와 실시간 모니터 시스템을 도입해 정비 현황을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고객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센터는 정비 품질을 높이는 선순환 구조를 만든다.
고객과의 신뢰 구축을 위한 소통 활동도 활발하다. 카카오톡 채널, 유튜브, 블로그,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디지털 채널에서 정비 품질 개선 사례와 고객 인터뷰, 서비스센터 현장을 공유하며 브랜드 신뢰도를 높이고 있다. 또한 ‘MAN 서비스데이’와 안전운전 캠페인을 통해 고객 의견을 직접 청취하고, 이를 실제 서비스 개선에 반영하고 있다.
만트럭은 단기 매출 경쟁보다 고객 만족을 핵심 가치로 삼는 장기적 브랜드 전략을 실행 중이다. 고객의 시간을 아끼고, 운휴 손실을 줄이며, 정비 품질을 높여 안정적인 차량 운행을 지원하는 것. 이는 단순한 서비스 개선을 넘어, 국내 상용차 업계가 지향해야 할 새로운 표준을 제시한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