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체리자동차가 자체 개발한 최초의 전고체 배터리 모듈 시제품을 공개했다고 카차이나뉴스가 보도했다. 공개한 새로운 배터리 시제품은 600Wh/kg이라는 높은 셀 에너지 밀도를 달성했다고 이 매체는 전했다.
이 기술이 탑재된 전기차는 이론적으로 한 번 충전으로 1,500km 이상을 주행할 수 있으며, 실제 주행 가능 거리는 1,300km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체리는 2026년에 시범 운영을 시작하고, 2027년에는 더 넓은 시장으로의 출시를 전개한다는 계획이라고 밝혔다.
체리 전고체 배터리 연구소는 이 모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현장 중합 고체 전해질 시스템을 채택하고, 이를 리튬이 풍부한 망간 양극 재료와 결합했다.
체리는 이미 2024년 말에 전고체 배터리 개발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당시 체리는 같은 해에 에너지 밀도 400Wh/kg을 달성하고 2025년까지 600Wh/kg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6년에는 자동차에 첫 테스트 적용을 시작하고 2027년 양산을 목표로 했으며, 이와 함께 새로운 배터리 자회사인 쿤펑 배터리 브랜드를 도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현재 이 자회사는 2026년 파일럿 테스트를 시작하여 빠르면 2027년까지 상업 시장에 진입할 예정이다. 그동안 체리는 에너지솔루션과 원통형 배터리 셀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생산 및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있다.
한편, 체리는 중국 배터리 제조사인 악시바, 고션 하이테크의 지원을 받으며 안후이 안와 신에너지 기술과 함께 이미 첫 번째 전고체 배터리 시제품 생산을 시작했다. 악시바의 시제품은 7월에 조립 라인에서 출시될 당시 300Wh/kg의 에너지 밀도를 달성한 바 있다.
최근 전고체 배터리 개발 현황은 전 세계적으로 뜨거워지고 있다. 불과 며칠 전 토요타는 스미토모와 개발 파트너십을 확대했으며, 중국 금속 연구소는 전고체용 새로운 폴리머를 개발했다. 또한 SK 온은 전고체 배터리 개발 가속화를 위해 새로운 시범 공장을 열었고, 폭스바겐 역시 자체 배터리 기술로 기술 격차를 해소하려는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