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의 로봇 운영체제(OS) 전문 스타트업 오픈마인드(OpenMind)가 암호학 기반 검증 기술 기업 서싱트(Succinct)와 기술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로봇의 행동과 작업 이력을 개인정보를 노출하지 않고 증명하는 ‘프라이버시 보존형 감사 시스템’을 공동 개발한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은 로봇이 수집하는 대량의 센서 데이터 속에서 사용자 신원이나 사생활 정보가 포함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오픈마인드와 서싱트는 로봇의 로그 데이터를 외부에 공개하지 않으면서도, 로봇의 행동이 허용된 규칙 안에서 이루어졌음을 증명할 수 있는 신기술을 도입한다.
영지식 증명으로 로봇의 ‘신뢰 가능한 행동 증명’ 구현
양사는 이번 시스템의 핵심 기술로 ‘영지식 증명(Zero-Knowledge Proof, ZKP)’을 적용한다.
영지식 증명은 데이터를 직접 공개하지 않고도 특정 사실을 수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기술로, 로봇이 “허가된 구역 내에서만 이동했다”거나 “인가된 기능만 수행했다”는 사실을 민감한 정보 공개 없이 증명할 수 있게 한다.
검증자는 로봇의 원본 로그나 영상 데이터를 볼 필요 없이, 짧은 암호 증명만으로 로봇의 작동 결과의 진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개인정보와 기업의 기밀 데이터를 보호하면서도 로봇의 신뢰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로봇 운영 플랫폼 ‘FABRIC’과 ZKP 엔진 결합
오픈마인드는 자사의 로봇 네트워크 플랫폼 ‘패브릭(FABRIC)’을 기반으로 로봇의 신원, 권한, 정책을 통합 관리한다. 여기에 서싱트의 영지식 증명 엔진을 접목해 로봇이 수집한 센서 로그와 위치 기록을 해시(암호 요약) 형태로 저장한다.
이 데이터는 위·변조가 불가능한 형태로 관리되며, 검증이 필요할 경우 수학적으로 생성된 증명값만 외부로 공유된다. 실제 원본 데이터는 외부로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개인정보와 기업 내부 운영 정보 모두 안전하게 보호된다.
이 구조를 통해 로봇의 작동 내역을 안전하게 감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조·물류·보안 등 다양한 산업에서 로봇이 스스로 신뢰성을 입증하는 ‘자기 증명(Self-Proving)’ 형태의 운영 모델이 가능해진다.
“로봇 신뢰 시대 연다”… AI·피지컬 AI 융합 가속
오픈마인드는 이번 협력을 통해 “사람과 로봇이 함께 일하는 환경에서 신뢰가 핵심 가치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로봇이 개인 공간이나 민감한 환경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만큼, 프라이버시 보존과 데이터 무결성은 산업 전반의 필수 요건으로 부상하고 있다.
오픈마인드는 스탠퍼드대 생명공학 교수 얀 리프하르트(Jan Liphardt)가 설립했으며, ‘AI와 연결된 모든 로봇이 하나의 언어와 플랫폼에서 움직이게 하겠다’는 비전을 내걸고 있다. 회사는 글로벌 벤처캐피털 판테라캐피털(Pantera Capital)로부터 약 2,000만 달러(한화 약 270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고, 최근에는 LG전자와 함께 피지컬 AI(Physical AI) 연구를 진행 중이다.
오픈마인드 관계자는 “로봇의 행동을 투명하게 입증하면서도 개인정보를 완전히 보호하는 것이 이번 파트너십의 핵심”이라며 “서싱트와 함께 로봇 산업이 신뢰를 중심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술적 토대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이준문 기자/jun@newstap.co.kr
ⓒ 뉴스탭(https://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탭 인기 기사]
· 단 100대! MSI ‘클로 8 AI+ 슈퍼 팩’ 20만 원 할인 라이브 특가 진행
· 알파스캔, 4K 240Hz·FHD 480Hz ‘듀얼모드’ 신기술 탑재한 AGON Pro 276UZ 공개
· 티머니, ‘모바일티머니 K-패스’ 전면 확대…아이폰·애플워치도 교통비 환급 혜택 누린다
· 지클릭커, 2만원대 초경량 무선 게이밍 마우스 ‘OP99 르캄프 라이트’ 출시
· 예스24, 오이뮤 감성 입힌 한정판 e북 리더기 ‘크레마 페블 클로버’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