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라리가 브랜드 최초의 디지털 전용 NFT 차량 F76을 공개했다. (출처: 페라리)
[오토헤럴드 정호인 기자] 페라리가 499P 모델로 르망 24시 3년 연속 우승을 달성한 올해, 브랜드 최초의 디지털 전용 NFT 차량 F76을 공개했다. 모델명 F76은 76년 전인 1949년, 루이지 키네티와 셀스던 경이 166 MM 투어링 바르케타로 르망 24시에서 거둔 페라리의 첫 우승을 기념해 붙여졌다.
F76는 양산차가 아니다. 페라리의 레이싱 전통에 생성형 디자인 및 디지털 기술의 혁신을 결합한 선도적 가상 프로젝트로, 브랜드 경험의 새로운 지형을 열었다. 독점적인 하이퍼클럽 프로그램 고객만을 위해 설계된 F76은 르망과 세계 내구 선수권 대회(WEC)에서 활약하는 499P를 지원하기 위해 마라넬로 본사가 추진한 이니셔티브의 핵심 디지털 자산이다.
플라비오 만조니가 이끄는 페라리 스타일링 센터에서 제작한 F76은, 미래 페라리의 형태를 미리 제시하는 하나의 선언문과 같다. 이는 형태와 기능, 성능을 하나의 유기체처럼 결합하는 파라메트릭 접근법을 통해 자동차 디자인의 경계를 재정의하는 비전형 프로젝트이기도 하다. 생체모방 기술과 건축학적 원리, 공학과 컴퓨터 과학의 융합에서 도출된 혁신적인 해법들은 단순한 스타일링을 넘어 자동차 디자인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이는 다수의 특허 기술 개발로 이어졌다.
페라리 스타일링 센터에서 제작한 F76은 미래 페라리의 형태를 미리 제시하는 하나의 선언문과 같다. (출처: 페라리)
시각적으로 F76의 가장 큰 특징은 마치 두 개의 항공기 동체처럼 차체를 분리한 이중 동체 구조다. 이는 공기 흐름을 가장 순수한 형태로 제어하기 위한 탐구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윙의 형태와 기하학적 구조는 성능을 극대화하고 기존의 한계를 넘어서도록 설계됐다. 운전석과 동승석 공간을 분리해 휠베이스안에 낮게 정렬 배치함으로써, 차체 중앙으로 공기가 흐르는 통로를 만들었다.
이를 통해 이 중앙 채널이 차체를 하나의 윙으로 변모시켜 지면 효과를 극대화하고 차체 하부와 차체 간의 새로운 상호작용을 만들어냈다. 공기의 흐름은 차체 전면에서 갈라져 후면에서 다시 합쳐진다. 후면의 두 테일 위에는 두 번째 윙이 위치해 독특한 디퓨저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측면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F80을 연상시키는 수직적인 라인이다. 이는 새로운 슈퍼카에서 도입한 기술적이면서도 조형적인 디자인이 향후 페라리 양산 모델에도 미치게 될 영향을 명확히 보여주는 부분이다. 이러한 디자인 언어는 팽팽하게 긴장된 기술적인 윙의 라인과 조각처럼 유려한 차체의 대비를 통해 표현되며, 여기에 생성형 알고리즘을 통한 수학적 최적화 과정이 더해져 한 차원 높은 미학적 완성도를 보여주고 있다.
시각적으로 F76의 가장 큰 특징은 마치 두 개의 항공기 동체처럼 차체를 분리한 이중 동체 구조다. (출처: 페라리)
차체 중앙부에는 측면 루버가 있는 3차원 리버리를 적용해 페라리 고유의 디자인 언어를 강조했다. 테일부는 위상 최적화 기술을 통해 열 관리 기능을 구조물에 직접 통합시켰다. 이를 통해 생성된 복잡한 기하학적 구조는 냉각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고, 내부 기계 부품의 열 방출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F76는 구조 설계 측면의 도전이기도 했다. 이 차량은 미래지향적 구성과 생성형 기하 구조를 전통적 기능 요구와 결합해 혁신적인 실내 공간과 볼륨을 구현했다.
후면부의 특징은 트랙 폭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두 개의 수직 프로파일이다. 상단 윙은 문틀의 가로보처럼 중앙 채널을 감싸 새로운 디자인으로 들어가는 입구처럼 보이게 한다. 네 개의 시그니처 테일라이트는 윙과 자연스럽게 통합되어 전반적인 성능에도 도움을 준다.
측면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F80을 연상시키는 수직적인 라인이다. (출처: 페라리)
전면부를 지배하는 것은 두 개의 윙 사이에 떠 있는 듯한 밴드 디자인이다. 이는 F80 특유의 플로팅 스플리터 콘셉트를 극한까지 끌어올린 것이다. 이 밴드 아래에서 동체 형태의 차체가 스플리터를 향해 급격히 낮아지면서 경사면을 만들어 냈는데, 이를 통해 중앙 채널의 입구와 휠 위로 공기가 흐르는 측면 덕트를 동시에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밴드 아래 양쪽에 자리한 두 쌍의 접이식 헤드라이트는 1970~80년대 페라리 팝업 헤드라이트의 유산과 F76의 미래지향적인 성격을 잇는 연결고리다. 이를 통해 전통에서 영감을 얻은 독특한 외관이 완성됐다.
F76 프로젝트는 고객에게 전례 없는 수준의 개인화 옵션을 제공한다. (출처: 페라리)
실내는 주행 경험을 보다 잘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두 개의 독립된 콕핏이 스티어링 휠부터 페달까지 모든 주행 요소를 동기화해, 두 탑승자 모두가 실시간으로 감각을 체험하고 공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행에서의 감성적 몰입과 기술적 참여가 한층 높아졌다.
F76 프로젝트는 고객에게 전례 없는 수준의 개인화 옵션을 제공한다. 고객은 하이퍼클럽 프로그램을 통해 3년 동안 순차적으로 공개되는 독점 드롭 형태의 다양한 디자인 옵션 중 선택해, 자신만의 디지털 카를 완성할 수 있다. 이 플랫폼 덕분에 고객들은 세상에 단 하나뿐인 F76을 구현할 수 있고, 전통과 혁신이 열정이라는 이름 아래 만나는 독점적이고 혁신적인 커뮤니티의 능동적 구성원이 된다.
정호인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