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울산 수소연료전지 신공장 기공식에 참석한 주요 인사들이 연단에 올라 터치버튼 세리머니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양희원 현대차그룹 R&D본부장 사장, 허성 코오롱인터스트리 대표이사, 이영준 롯데그룹 화학군 총괄대표, 추형욱 SK이노베이션 대표이사, 이바나 제멜코바 수소위원회 CEO, 박성민 국회의원, 호세 무뇨스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 김두겸 울산시장, 김기현 국회의원, 윤종오 국회의원, 박천동 울산북구청장, 이동석 현대차 국내생산담당 사장, 문용문 현대차 노조지부장, 양성모 일진하이솔루스 대표이사) (출처: 현대차)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현대자동차가 울산공장 내에 수소연료전지 신공장을 착공했다. 이번 신공장은 수소연료전지 및 수전해기 생산을 위한 국내 첫 통합 거점으로, 2027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대차는 30일 울산공장 부지에서 기공식을 열고 본격적인 수소연료전지 사업 확대를 선언했다. 행사에는 장재훈 현대차 부회장, 김성환 기후부 장관, 김두겸 울산시장 등 정부와 업계 관계자 약 250명이 참석했다.
울산 수소연료전지 신공장은 지상 3층, 연면적 9만 5000㎡ 규모로 연간 3만 기의 연료전지 생산 능력을 확보하게 된다. 공장은 원료 가공부터 조립까지 통합 생산 체계를 구축, 그룹의 수소 브랜드 ‘HTWO’를 적용한다.
현대차 울산 수소연료전지 신공장 기공식에 참석한 주요 인사들이 현장에 설치된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한 수소 모빌리티 등 전시품에 대한 설명을 들은 후 박수를 치고 있다. (사진 앞줄 오른쪽부터 이동석 현대차 국내생산담당 사장, 호세 무뇨스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 김기현 국회의원, 김두겸 울산시장,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 박성민 국회의원, 윤종오 국회의원 등) (출처: 현대차)
과거 내연기관 변속기 공장이 있던 부지를 활용해 전동화 중심으로 전환 중인 울산공장의 구조 변화도 상징한다.
새 공장은 차세대 수소연료전지와 PEM(고분자전해질막) 수전해기를 함께 생산한다. 차세대 연료전지는 출력과 내구성을 높이고 생산 단가를 낮춰 상용 트럭, 버스, 건설장비, 선박, 농기계 등 다양한 분야에 공급될 예정이다.
PEM 수전해기는 물에서 수소를 추출해 청정수소를 생산하는 핵심 장비로 현대차는 약 30년간의 연료전지 기술을 바탕으로 국산화율 90% 이상을 달성했다.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이 울산 수소연료전지 신공장 기공식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출처: 현대차)
현대차는 이번 신공장에 약 9300억 원을 투자한다. 완공 후에는 국내 수소 생태계 확장과 지역 산업 활성화, 인프라 구축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현대차는 KGM커머셜과 수소버스용 연료전지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수소 상용차 보급 확대에도 나선다.
이날 장재훈 부회장은 “울산 신공장은 현대차그룹의 수소 사업 확장을 위한 전략 거점”이라며 “국가 산업 전반의 탈탄소화를 지원하고 다양한 산업에 연료전지를 공급해 글로벌 수소 생태계 확장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앞으로 수소 생산, 저장, 운송, 활용 등 전 밸류체인 전반에 걸친 기술 협력과 투자를 지속할 계획이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