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폭스바겐그룹, 전기차 확대 속 ‘이익 방어전’

글로벌오토뉴스
2025.10.31. 13:52:19
조회 수
77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폭스바겐그룹이 전동화 전략을 가속화하면서 매출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전기차 확대와 미국 관세 부담, 포르쉐 손상차손 등이 겹치며 수익성이 약화됐다. 2025년 1~9월 누적 매출은 2,387억 유로로 전년 동기(2,373억 유로) 대비 1% 증가했다. 유럽 전기차 시장에서는 판매된 BEV 네 대 중 한 대가 폭스바겐그룹 차량일 정도로 존재감을 이어가고 있다.

영업이익 58% 감소, 일회성 비용 75억 유로 반영


올해 1~9월 영업이익은 54억 유로로 전년(128억 유로) 대비 58% 감소했다. 영업이익률은 2.3%로 낮아졌다. 미국 수입 관세, 낮은 마진의 전기차 생산 확대, 그리고 포르쉐의 제품 전략 재조정 과정에서 발생한 충당금과 손상차손 등 총 75억 유로 규모의 일회성 비용이 반영된 결과다.


폭스바겐그룹 CFO 겸 COO 아르노 안틀리츠는 “현 경제 환경에서 그룹의 영업이익률 5.4%는 긍정적인 성과”라며 “효율성 제고와 그룹 시너지 극대화를 통해 재무 체질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미국 관세 인상으로 인한 연간 50억 유로 수준의 부담이 이어지고 있어, 성과 개선 프로그램의 철저한 이행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순현금흐름 18억 유로, 리비안 지분 인수 영향


2025년 1~9월 자동차 부문 순현금흐름은 18억 유로로, 전년(34억 유로)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이는 미국 관세와 리비안 지분 인수 등 현금 유출 요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그룹의 순유동성은 약 300억 유로 수준으로, 안정적인 재무 기조는 유지됐다.


지역별 판매 — 유럽과 남미 성장, 중국·북미 둔화


폭스바겐그룹의 2025년 1~9월 차량 판매량은 660만 대로 전년 동기(650만 대)를 소폭 상회했다. 남미(13%), 서유럽(4%), 중동부 유럽(11%) 시장의 성장세가 중국(-2%)과 북미(-11%)의 하락분을 상쇄했다. 서유럽의 차량 주문량은 17% 증가했으며, 특히 BEV 주문이 64% 늘어나 전체 주문의 22%를 차지했다.


브랜드별 실적 — 포르쉐 부진, 코어 브랜드는 견조


코어 브랜드 그룹은 판매량과 매출이 모두 증가하며 영업이익이 7% 상승했다. 영업이익률은 4.4%를 유지했다. 폭스바겐 승용차는 ‘미래 폭스바겐’ 프로그램과 비용 관리 강화로 영업이익률 2.3%를 기록했고, 스코다는 8%의 견조한 수익성을 유지했다.


프로그레시브 브랜드 그룹(아우디, 벤틀리, 람보르기니 등)은 영업이익이 26% 감소한 16억 유로를 기록했다. 미국 관세와 CO₂ 규제 대응 비용, D세그먼트 전기차 플랫폼 일정 조정 등이 부담 요인으로 작용했다.


스포트 럭셔리 브랜드 그룹(포르쉐)은 판매량이 11% 감소한 19만8천 대, 매출은 238억 유로를 기록했다. 중국 시장 부진과 배터리 사업 전환 비용, 원자재 상승, 자본화 개발비 손실 인식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영업이익은 -2억 유로를 나타냈다.


트라톤그룹은 영업이익이 46% 감소한 17억 유로로, 판매 둔화와 환율 악화, 중국 내 생산 확대 부담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순현금흐름은 6억 유로 순유출을 기록했다.


카리아드는 납품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매출이 47% 증가하면서 영업손실이 15억 유로로 축소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억 유로 개선된 수치다. 그룹 모빌리티 부문은 유럽 시장 확장으로 영업이익이 37% 증가한 29억 유로를 기록했다.


2025년 전망 — 매출 안정, 2~3% 영업이익률 예상


폭스바겐그룹은 2025년 매출이 전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며, 영업이익률은 2~3% 범위를 전망하고 있다. 자동차 부문의 투자 비율은 12~13% 수준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이며, 연간 순현금흐름은 0억 유로 수준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수치에는 미래 투자와 구조조정 비용이 포함된다.


그룹은 여전히 건전한 재무 정책을 유지하고 있으며, 반도체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어질 경우 2026년 이후의 수익성 회복을 기대하고 있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일반뉴스 전체 둘러보기
2/1
인도 전기차 시장 급성장… 2026 회계연도 상반기 판매량 108% 증가 글로벌오토뉴스
토요타, '재팬 모빌리티 쇼 2025' 컨셉 'Mobility for All'에서 'To You'로 전환 발표 글로벌오토뉴스
루시드, 엔비디아 드라이브 AV 플랫폼 채택으로 레벨 4 자율 주행 로드맵 가속화 글로벌오토뉴스
스텔란티스, 엔비디아/우버/폭스콘과 협력 레벨 4 로보택시 서비스 공동 개발 발표 글로벌오토뉴스
폭스바겐, 포르쉐 전기차 전략 전환 및 미국 관세 영향으로 3분기 12.9억 유로 적자 전환 글로벌오토뉴스
폭스바겐그룹, 전기차 확대 속 ‘이익 방어전’ 글로벌오토뉴스
KG 모빌리티 임직원 봉사단 ‘네바퀴동행’, 평택서 환경정화 봉사활동 전개 글로벌오토뉴스
BMW 코오롱 모터스, ‘BMW 대전 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 전시장’ 새 단장 오픈 글로벌오토뉴스
대우자동차 60년의 발자취… 아카이브 특별전 부평서 개막 글로벌오토뉴스
현대자동차, 중대형 상용차 대상 ‘부품 할인 프로모션’ 실시 글로벌오토뉴스
현대차그룹, 2년 연속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자동차그룹’ 등극 글로벌오토뉴스
브리지스톤, 2026년 새 글로벌 CEO에 모리타 야스히로 선임 글로벌오토뉴스
현대모비스, 3분기 매출 15조 원 돌파 글로벌오토뉴스
한국자동차튜닝산업협회, 인제스피디움·마크비와 ‘K-TUNE FESTIVAL 2026’ 공동 개최 글로벌오토뉴스
폭스바겐, 네덜란드 반도체 공급 혼란에도 독일 내 생산 유지 전망 글로벌오토뉴스
BYD, 3분기 순이익 32.6% 감소 글로벌오토뉴스
엔비디아 젠슨 황 CEO, 10년 만에 한국 방문 글로벌오토뉴스
전기차 산업 보호막 걷어낸 중국, 이제 '시장 논리'로 승부수 글로벌오토뉴스
르노코리아, 연말 고객 감사 이벤트 ‘르노 메르시 위크’ 실시 글로벌오토뉴스
현대차그룹, ‘APEC CEO 서밋 2025’ 수소 경제 확산 글로벌 협력 비전 제시 오토헤럴드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