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트럭 자율주행 스타트업 마스오토(MARS AUTO, 대표 박일수)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이 추진하는 182억 원 규모의 전략 과제 ‘대형트럭 화물운송을 위한 무인 자율주행 상용화 기술개발’의 주관기관으로 최종 선정됐다. 이번 선정으로 마스오토는 국내 미들마일(중간 물류) 자율주행 상용화를 이끄는 핵심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E2E AI로 고속도로 자율주행 상용화 추진
마스오토는 이번 과제에서 2020년부터 독자 개발해온 카메라 기반 End-to-End AI(E2E AI) 기술을 중심으로 고속도로 무인 자율주행 상용화를 추진한다. E2E AI는 방대한 주행 데이터를 학습한 단일 신경망이 인지, 판단, 제어를 통합 수행하는 구조의 기술로, 라이다(LiDAR)와 정밀지도(HD Map)에 의존하는 기존 방식보다 훨씬 단순하고 효율적이다.
이 기술은 고가의 센서와 정밀지도 제작·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해 부품 원가와 유지보수 비용을 90% 이상 낮출 수 있다. 또한 불규칙한 도로 주행 패턴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상용 트럭의 실도로 주행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테슬라가 FSD(Full Self-Driving) 시스템에 적용하면서 글로벌 자율주행 기술의 차세대 표준으로 주목받고 있다.

산업·학·연·관 컨소시엄 구성
이번 마스오토 컨소시엄에는 한국전자기술연구원, KAIST(공승현 교수 연구팀), 한국자율주행산업협회 등 주요 연구기관이 참여하며, UL Solutions, 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 CJ대한통운, 롯데글로벌로지스, 티맵모빌리티, 우체국물류지원단, 로지스퀘어, 마스로지스 등 총 13개 산·학·연·관 기관이 협력한다.
프로젝트는 2025년 9월부터 2027년 12월까지 28개월간 진행되며, 마스오토는 대형트럭에 특화된 카메라 기반 E2E AI 상용화, 1억km 규모의 실주행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안전한 무인 운송을 위한 원격 관제 플랫폼 구현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속도로 구간에서 변칙적 상황에도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자율주행 화물 운송 기술을 실증할 계획이다.
국내 33조·글로벌 5500조 시장 공략
박일수 마스오토 대표는 “중간물류 시장은 국내 33조 원, 글로벌 5500조 원 규모에 달한다”며 “이번 과제를 통해 국가 물류 인프라 혁신을 견인하고, 축적된 트럭 자율주행 기술 역량을 기반으로 고속도로 구간 무인 운송 상용화와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국내 자율주행 화물운송 선도 기업으로 도약
2017년 설립된 마스오토는 카메라 기반 자율주행 시스템 ‘마스파일럿(MARS PILOT)’을 개발·운영하고 있다. 2019년 국내 최초로 자율주행 트럭 시험주행에 성공한 데 이어, 2023년에는 자율주행 트럭을 통한 유상 화물운송 서비스를 국내 최초로 상용화하며 기술력과 사업성을 동시에 입증했다. 이번 산업부 과제를 계기로 마스오토는 자율주행 화물운송의 실증에서 상용화 단계로 나아가며, 국내 자율주행 물류 혁신의 중심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다.
이준문 기자/jun@newstap.co.kr
ⓒ 뉴스탭(https://www.newsta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탭 인기 기사]
· 레이저, ‘젠레스 존 제로’ 콜라보 에디션 게이밍 기어 3종 출시
· ASUS ROG, ‘쿠가세’서 인기 게이밍 기어 대거 할인…최신 키보드·마우스 총출동
· “이젠 다이소에서도 짜먹는다!”... 딜리노쉬 프리미엄 땅콩버터 출시
· 클래식 감성에 진짜 필름 질감 더했다… 니콘 Zf, 새 펌웨어 출시
· 지클릭커, 2만원대 초경량 무선 게이밍 마우스 ‘OP99 르캄프 라이트’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