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의 핵심 경쟁력으로 꼽히는 소재 기술 혁신을 위해 영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커스프AI(CuspAI)와 협력에 나섰다.
현대차그룹은 6일(현지시각) 영국 케임브리지에 위치한 커스프AI 본사에서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현대자동차그룹 박철 신사업전략실장과 커스프AI 채드 에드워즈(Chad Edwards) CEO, 맥스 웰링(Max Welling) CTO 등 양사 주요 인사가 참석했다.
이번 협력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고효율·고내구·고안정성을 갖춘 차세대 신소재를 발굴하고, 이를 통해 모빌리티 솔루션의 성능과 지속 가능성을 한층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AI로 과학의 경계를 확장하는 ‘AI for Science’
현대차그룹과 커스프AI의 협력은 최근 글로벌 연구개발 분야에서 급부상하고 있는 ‘과학을 위한 AI(AI for Science)’ 패러다임에 기반한다.
‘AI for Science’는 인공지능이 방대한 과학 데이터를 학습하고 예측·설계함으로써, 물질 구조·단백질 서열 등 복잡한 과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연구 접근 방식이다. 이를 통해 기존 신소재나 신약 개발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이고, 실험의 성공률을 높이는 혁신적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인공지능이 재료의 특성과 반응을 예측하고 최적의 조합을 도출하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차세대 배터리·경량소재·내열성 복합소재 등 모빌리티 산업의 핵심 기술 개발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박철 현대자동차그룹 신사업전략실장은 “소재 혁신은 미래 모빌리티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라며 “AI 기술을 통해 기존 방식으로는 해결이 어려웠던 과학적 과제를 풀어내고, 지속 가능한 신소재 확보를 통해 그룹의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커스프AI 채드 에드워즈 CEO는 “차세대 소재는 지속 가능한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핵심이며, 현대차그룹의 글로벌 제조 전문성과 커스프AI의 인공지능 기술이 결합하면 그 미래를 훨씬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AI와 소재 과학의 융합으로 미래 모빌리티 경쟁력 강화
커스프AI는 영국 케임브리지에 본사를 둔 첨단 인공지능 스타트업으로, 생성형 AI와 딥러닝, 분자 시뮬레이션 기술을 결합해 소재 개발 프로세스를 혁신하는 기업이다. 해당 기술은 특정 목적에 맞는 소재를 빠르게 탐색하고 최적화하는 데 강점을 지니며, 신속한 실험 검증과 비용 절감 효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이번 협력을 통해 커스프AI의 인공지능 플랫폼과 자사 연구 네트워크를 연계해, 미래차의 핵심 요소인 배터리, 반도체 패키징, 경량화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소재 연구를 강화할 예정이다.
이번 파트너십은 현대차그룹이 추진하는 ‘AI 기반 연구개발 체계 전환’ 전략의 일환으로, 글로벌 기술 생태계와의 협업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혁신을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