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의 주주들이 일론 머스크 CEO에게 향후 10년간 최대 8780억 달러(약 1,200조 원)에 달하는 초대형 보상안을 승인했다. 이번 결정을 통해 테슬라는 AI와 로보틱스 중심의 기술 대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머스크의 비전을 공식적으로 지지한 셈이다.
75% 압도적 찬성… “테슬라의 새로운 이야기 시작”
6일(현지시간) 열린 연례 주주총회에서 해당 보상안은 75% 이상의 찬성으로 통과됐다. 머스크는 무대에 등장한 ‘댄싱 로봇’과 함께 “우리가 시작하려는 것은 테슬라의 또 다른 장이 아니라 완전히 새로운 이야기다. 놀라운 서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보상안 통과 소식 이후 테슬라 주가는 장 마감 후 시간외 거래에서 약 1% 상승했다.
주주총회 주요 결정: 보상안, 이사회, 그리고 xAI
이날 총회에서는 머스크의 보상안 외에도 3명의 이사회 재선이 승인됐으며, 테슬라가 머스크의 AI 스타트업 xAI에 투자하는 안건 역시 통과됐다. 다만 일부 주주는 이해상충 우려를 제기했다. xAI가 테슬라의 자율주행 AI 개발에 필요한 기술을 제공하는 동시에 주요 고객으로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점에서, 양사 간 긴밀한 관계가 이익 충돌로 이어질 가능성을 지적한 것이다.
그럼에도 다수의 주주들은 “테슬라의 자율주행 비전은 AI 역량 강화에 달려 있으며, xAI 투자는 상호 이익을 가져올 것”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머스크, 15% 지분 의결권 전면 행사
머스크는 델라웨어 주에서 텍사스로 본사를 이전한 이후 자신이 보유한 15%의 테슬라 지분 의결권을 전면 행사할 수 있게 됐다. 이로 인해 이번 보상안의 승인 결과는 시장의 예측 범위 안에 있었다.
다만 노르웨이 국부펀드, 의결권 자문사 글래스 루이스(Glass Lewis)와 ISS(인스티튜셔널 셰어홀더 서비스)는 “주주가치 희석 우려”를 이유로 반대표를 던졌다. 반면 테슬라 이사회는 “머스크의 리더십을 유지하지 못하면 회사의 장기 경쟁력에 타격이 불가피하다”며 보상안 통과를 강력히 요청했다.
1조 달러급 보상, 그러나 ‘성과 조건’이 열쇠
머스크는 이번 보상 구조를 통해 향후 10년간 최대 1조 달러 상당의 테슬라 주식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테슬라가 여러 성과 지표를 달성해야 한다.
보상 기준에는 ▲연간 차량 인도 2,000만 대 ▲로보택시 100만 대 운영 ▲로봇 100만 대 판매 ▲실질 영업이익 4,000억 달러 달성 등이 포함됐다.
또한 테슬라의 시가총액은 현재 약 1조5,000억 달러에서 2조 달러를 거쳐 최종 8조5,000억 달러에 도달해야 한다. 이 목표 달성 시 머스크는 완전한 주식 보상을 받게 된다.
‘AI 기업 테슬라’로의 전환 선언
머스크는 주총에서 “테슬라는 이제 자동차 회사를 넘어 인공지능, 로보틱스, 에너지, 인간형 로봇 등 새로운 산업의 융합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보상안 승인으로 테슬라가 추진하는 AI 중심 전환 전략과 로보틱스 생태계 구축이 더욱 속도를 낼 전망이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