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배터리 성능에서 브랜드별 차이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출처: 랜드로버)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독일 자동차클럽 ADAC가 실시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배터리 내구성 조사에서 메르세데스-벤츠가 가장 안정적인 성능을 보인 반면 미쓰비시가 가장 낮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ADAC는 오스트리아 배터리 분석업체 아빌루와 함께 지난 6년에 걸쳐 총 2만 8500대 이상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고전압 배터리 상태지수(SoH, State of Health)를 측정하고 그 데이터를 지난 주말 공개했다.
그리고 이 결과, 브랜드별 배터리 성능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났으며 고가 브랜드일수록 열관리 및 충방전 제어 기술이 정교하게 적용된 것으로 분석됐다.
메르세데스-벤츠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주행거리 20km까지 배터리 성능 저하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출처: 벤츠)
예를 들어 이번 조사에서 메르세데스-벤츠는 주행거리 20만km까지 배터리 성능 저하가 거의 없는 수준으로 유지돼 전체 브랜드 중 가장 우수한 결과를 기록했다.
또한 BMW와 볼보, 폭스바겐그룹의 모델들은 평균적인 열화율을 보였으며 대부분 20만km 이상 주행 후에도 배터리 성능의 80% 이상을 유지했다.
반면 포드 차량은 특정 사용자와 관계없이 비교적 이른 시점부터 배터리 용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미쓰비시는 낮은 주행거리에서도 뚜렷한 성능 저하가 관찰돼 최하위를 기록했하더니 이후 다소 안정화되지만 전체적인 열화 수준은 가장 높았다.
ADAC는 배터리 수명은 셀품질보다 BMS, 냉각 기술, 충전 제어 로직 등의 영향이 크다고 분석했다(출처: 미쓰비시)
ADAC은 “배터리 장기 수명은 셀 품질보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과 냉각 기술, 충전 제어 로직의 정교함 등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프리미엄 브랜드들은 배터리 충방전 스트레스를 줄이는 설계를 통해 장기적 안정성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20만km 주행 후에도 80~90% 수준의 배터리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메르세데스-벤츠와 일부 BMW 모델은 90% 이상을 유지했다.
연구진은 전기모드 주행 비중이 높은 차량일수록 충전 주기가 짧아 배터리 열화가 빠르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고 밝히고 반대로 내연기관과 병행 주행이 많은 운전 습관일수록 배터리 수명이 길게 유지된다고 분석했다.
김훈기 기자/hoon149@gmail.com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