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현대차 아이오닉 5 N 자가정비의 권리와 관련된 논란이 불거졌다(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자동차 자가정비 문화가 뿌리 깊은 미국에서 현대자동차 '아이오닉 5 N'이 차주의 사소한 정비에도 과도한 제한을 두고 있다는 논란이 불거졌다.
한 아이오닉 5 N 차주는 직접 브레이크 패드를 교체하려다 제조사의 소프트웨어 접근 제한에 가로막혔다며 현대차가 오너의 정비 권리를 침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해당 이슈는 전기차 시대의 자가수리 권리에 대한 논쟁에 불을 지피고 있다.
현지시각으로 10일, 미국 내 주요 매체는 아이오닉 5 N 오너가 레딧 커뮤니티에 올린 게시물을 바탕으로 전기차 시대 자가정비 이슈가 새로운 논쟁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해당 게시물을 올린 이는 "직접 후륜 브레이크 패드를 교체하려 했지만,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와 연동된 시스템으로 인해 결국 부품 교체가 불가능했다"라고 주장했다.
소셜미디어에는 한 아이오닉 5 N 사용자가 자거로 후륜 브레이크 패드를 교체하려 했지만 할 수 없었다고 언급했다(오토헤럴드 김훈기 기자)
아이오닉 5 N의 후륜 브레이크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모듈과 연결돼 있어, 패드를 교체하려면 먼저 모터를 완전히 해제한 뒤 교체 후 다시 캘리브레이션 초기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 이 과정에선 현대차 전용 진단 프로그램이 반드시 필요하다.
문제는 해당 진단 툴 'J2534'는 일반 소비자에게 사실상 접근 불가능하다는 부분. 해당 오너는 현대차의 공식 테크 포털에서 주간 60달러 구독료를 내고, 2000달러 상당의 인증 하드웨어 어댑터까지 구매했지만 작동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이후 시스템 운영 기관인 NASTF로부터 "자가정비 사용자는 접근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받았다고 덧붙였다.
해당 게시물을 작성한 이는 "정작 현대차 딜러들은 별도의 안드로이드 기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어 문제없이 작업을 수행한다. 소유자나 독립 정비소는 사실상 배제된 상태"라고 지적했다.
현지 언론들은 이와 관련해 명백한 소비자 권리 침해라고 비판했다(출처: 현대차)
이런 내용은 커뮤니티에서 빠르게 확산되며 현지 자동차 전문 매체 카스쿱스를 비롯한 여러 외신이 이를 인용하며 "브레이크 패드 교체 같은 기본 정비조차 제조사 허락 없이는 불가능하다면 이는 명백한 소비자 권리 침해"라고 비판했다.
한편 이번 사례는 단순 한 차주의 불만을 넘어, 전기차 보급 확대와 함께 복잡해진 차량 전자제어 시스템이 정비 독점 문제로 번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과거 내연기관차는 차주가 직접 오일류를 교체하거나 브레이크 패드를 교환하는 일이 가능했지만 전기차는 모터, 배터리, 전자식 브레이크 등 복합한 제어 구조로 인해 소프트웨어 접근이 필수적이다. 제조사 입장에서는 안전과 품질 보증을 이유로 제한을 둘 수 있지만, 소비자와 독립 정비업체는 지나친 통제라는 반발이 계속될 수 밖에 없다.
업계 전문가들은 "전기차 유지보수는 점점 더 소프트웨어 중심 서비스로 바뀌고 있다"라며 "정부 차원의 정비 데이터 접근성 보장, 인증 정비 인프라 확대 등이 병행돼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김훈기 기자/hoon149@gmail.com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