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라 칼레니우스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CEO가 인천에서 열린 ‘미래 전략 간담회’에서 브랜드의 전동화·디지털화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메르세데스 벤츠가 한국 시장에서 브랜드 역사상 최대 규모의 신차 전략을 본격적으로 가동한다. 벤츠는 14일 인천 파라다이스시티에서 개최한 ‘미래 전략 간담회’에서 2026년부터 국내에 도입될 핵심 신차와 향후 비즈니스 전략을 공유하며 전동화 시대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번 행사에는 메르세데스 벤츠 그룹 AG의 올라 칼레니우스(Ola Källenius) 이사회 의장 겸 CEO가 직접 참석해 한국 시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벤츠는 순수전기차·플러그인 하이브리드·전동화 기반 내연기관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으로 구성된 40종 이상의 모델을 2027년까지 글로벌 시장과 국내 시장에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한국 시장에서 진행된 신차 계획 중 역대 최대 규모다.
올라 칼레니우스 CEO는 “메르세데스 벤츠는 ‘누구나 선망하는 자동차’를 만들기 위해 전동화와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며 “한국은 마이바흐 글로벌 Top3 시장이자 브랜드 전략을 실행하는 데 매우 중요한 국가”라고 말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벤츠코리아는 디 올 뉴 일렉트릭 GLC, 디 올 뉴 일렉트릭 CLA, 콘셉트 AMG GT XX, 비전 V(Vision V) 등 4종을 국내 최초로 선보였다. 메르세데스-벤츠가 준비 중인 차세대 제품 포트폴리오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모델들이다.
‘메르세데스-벤츠 미래 전략 간담회’ 행사장 외부에 전시된 메르세데스-벤츠 전동화 라인업. EQ 브랜드와 신형 GLC 등 주요 모델들이 한자리에 배치돼 브랜드의 미래 제품 전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이날 국내 시장에 첫 선을 보인 디 올 뉴 일렉트릭 GLC는 벤츠의 전기차 전용 아키텍처 MB.EA(Mercedes-Benz Electric Architecture)를 최초 적용한 모델이다. 새로운 크롬 그릴, 심리스 디자인의 MBUX 하이퍼스크린, 더욱 넓어진 실내 공간 등을 갖추며 중형 전기 SUV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디 올 뉴 일렉트릭 CLA는 벤츠 자체 개발 운영체제 MB.OS를 최초로 탑재한 모델로, 생성형 AI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EV와 하이브리드 모델로 구성되며 “가장 스마트하고 감성적인 CLA”라는 설명처럼 브랜드의 차세대 전략을 집약한 콤팩트 전동화 세단이다.
콘셉트 AMG GT XX는 향후 출시될 AMG 고성능 전기 아키텍처 AMG.EA 기반 4도어 고성능 스포츠카의 청사진을 보여 주는 모델이다.
3개의 축방향 자속 모터(axial-flux motor), F1에서 영감을 받은 고성능 배터리를 탑재해 초고출력과 반복 성능을 확보했다. 지난 8월에는 24시간 동안 5479km 주행을 포함한 25개 퍼포먼스 신기록을 세우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비전 V(Vision V)는 ‘프라이빗 라운지’를 콘셉트로 한 차세대 쇼퍼 드리븐 리무진 쇼카다. 전기 밴 아키텍처 VAN.EA 기반의 미래 플래그십 리무진 VLS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모델로, 여유로운 공간, 디지털 경험, 극대화된 안락함 등 메르세데스-벤츠가 생각하는 럭셔리 MPV의 새로운 기준을 보여준다.
메르세데스 벤츠는 이날 행사에서 LG·삼성 등 한국의 핵심 파트너사와 기술·비즈니스 미팅을 진행하며 우수한 전자·배터리 기술을 바탕으로 더욱 고도화된 차량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또한 지난 7월 서울 압구정에 오픈한 세계 최초 마이바흐 브랜드 센터를 언급하며 “한국은 마이바흐 전 세계 판매 Top3 시장이자 글로벌 럭셔리 전략의 핵심 거점”이라고 강조했다.
메르세데스 벤츠 코리아는 내년부터 새로운 판매 방식인 ‘리테일 오브 더 퓨처(Retail of the Future)’를 도입한다. 이 방식은 벤츠가 전 세계에 확산하고 있는 고객 중심의 판매 모델로 이미 12개국에서 높은 만족도를 기록하고 있다. 신차 가격 투명성, 단일 견적 시스템, 보다 단순한 구매 과정 등이 특징이다.
이날 벤츠의 미래 전략 간담회는 한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확고히 다지고 전동화·디지털·럭셔리 브랜드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출발점으로 평가된다. 오는 2027년까지 40종 이상의 신차 투입, 한국 파트너사와의 심층 협력, 미래 판매 전략 등 종합적 변화를 예고해 국내 시장에서의 경쟁은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