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이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국내에 총 125조 2천억 원이라는 사상 최대 규모의 중장기 투자를 단행한다. 이는 직전 5년간(2021년~2025년) 투자액인 89조 1,000억 원을 약 36조 1,000억 원 상회하는 규모로, 연평균 투자액이 40% 이상 증가한 액수다.
현대차그룹의 이번 대규모 투자는 그룹의 근원적인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차원이며, 대한민국을 글로벌 모빌리티 혁신 허브로 공고히 하고 AI/로봇 산업 육성 및 그린 에너지 생태계 발전을 통해 국가 경제 활력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총 투자 금액 125조 2,000억 원 중 가장 많은 비중인 50조 5,000억 원은 AI, SDV, 전동화, 로보틱스, 수소 등 미래 신사업 분야에 집중 투입된다. 나머지 38조 5천억 원은 기존 모빌리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R&D에, 36조 2천억 원은 경상투자에 배분된다.
특히 이번 투자는 국내 AI/로봇 산업 육성과 그린 에너지 생태계 발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향후 5년간 AI 기술 고도화를 기반으로 한 로보틱스 등 신사업에 집중 투자되어 국내 AI/로봇 혁신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전망이다. 이를 위해 고전력 AI 데이터센터 건립과 로봇 완성품 제조 및 파운드리 공장 조성을 추진한다.
그린 에너지 분야에서는 재생 에너지가 풍부한 서남권에 1GW 규모 PEM 수전해 플랜트 건설을 추진하고, 수소 출하센터 및 충전소 등 인프라 구축을 병행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모빌리티 생산 중추 거점으로서 한국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할 방침이다. 신차 투입을 위한 각 지역 생산 거점 라인 고도화와 함께 현대차 울산 전기차 전용공장 준공, 기아 화성 $\text{PBV}$ 전용 신규 전기차 거점 구축 등 국내 전기차 전용공장을 글로벌 마더 팩토리 및 수출 기지로 육성한다.
이를 통해 지난해 218만 대였던 완성차 수출을 2030년 247만 대로 늘리고, 그중 전동화 차량 수출은 지난해 69만 대에서 2030년 176만 대로 2.5배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국내 자동차 산업 생태계 안정화를 위해 현대차·기아 1차 협력사가 올해 부담하는 대미 관세 전액을 소급 적용하여 지원한다. 이는 협력사의 운영자금 확보와 경영 안정화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되며, 1차 협력사뿐 아니라 2·3차 중소 협력사까지 포괄하는 다양한 상생 협력 프로그램도 확대 운영한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역대 최대 규모의 중장기 국내 투자와 혁신으로 대한민국 경제 활력 제고에 기여하고, 협력사 관세 지원과 상생협력 프로그램을 확대해 국내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도 힘쓰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