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언론에서 최근 기고문을 통해 국방과 방산 분야에 보다 고도화된 AI 시스템 도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기고문은 주변국의 군사기술 경쟁이 빠르게 격화되는 가운데, 기존의 감시 정찰 체계와 무기 운영 시스템만으로는 미래 전장 환경을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특히 실시간 위협 분석, 자동화된 의사결정 보조, 무인전력 통합 등에서 AI의 역할이 이미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글에서는 한국이 여전히 단편적 시범사업과 제한적 도입 수준에 머물러 있다며, 국가 차원의 체계적 투자와 장기 전략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위험 요소를 조기에 탐지하고 대응 속도를 높이는 데 AI가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데이터 확보 체계 정비, 고성능 연산 인프라 확충, 인력 양성 등 기반 요소가 먼저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방산 기업과 국방부, 연구기관 간의 협력 체계를 강화해 기술 개발과 실전 적용 속도를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이러한 주장들은 국방 AI 경쟁이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국가안보의 전략적 우위와 직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이 글로벌 흐름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단순한 장비 도입을 넘어서 AI를 전력 운영 전반에 통합하는 장기적 관점의 정책과 투자가 필요하다는 점이 다시 한번 강조되고 있다.
글 / 한만수 news@cowave.kr
(c) 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www.danaw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