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기술 노동시장이 인공지능 확산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AI 도입이 가속화되면서 기존 엔트리 레벨 기술 직종의 수요가 20퍼센트에서 25퍼센트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 코딩, 기본 운영 업무, 반복적 유지보수와 같은 직무가 자동화되거나 AI 보조 시스템으로 대체되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인력 구조 자체가 변화하고 있다.

대신 중간 숙련도 이상의 전문 인력 수요는 오히려 늘어나는 양상이 관측되고 있다. 데이터 엔지니어링, 모델 운영, AI 애플리케이션 구축 등 고부가가치 분야에서의 필요 인력은 확대되는 반면, 입문 단계 인력은 채용 축소의 직접적 영향을 받고 있다. 기업들은 더 적은 인력으로 더 많은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AI 기반 도구를 적극 도입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기존 인력 구성은 다이아몬드 형태로 재편되는 모습이다.
중립적으로 보면 이러한 변화는 AI 기술의 확산이 가져오는 전형적인 노동시장 재조정 현상으로 해석된다. 기술 혁신은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특정 직무의 쇠퇴를 불러올 수 있으며, 인도 역시 예외가 아니다. 향후 노동시장 불균형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재교육 프로그램 강화, 중간 기술 인력 양성, 산업별 수요 변화에 맞춘 정책적 대응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글 / 한만수 news@cowave.kr
(c) 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www.danaw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