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기아가 공급망 전반의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민관 공동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현대차·기아는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및 부품 협력사들과 ‘공급망 탄소 감축 상생 프로그램 업무 협약’을 체결하며 협력사와의 저탄소 전환을 본격적으로 확대해 나간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현대차·기아가 그동안 추진해온 공급망 탄소 감축 전략을 한 단계 더 확장한 조치다. 기업과 정부가 함께 지원 체계를 구축해 협력사들의 중장기 탄소 감축 계획 수립부터 설비 투자, 역량 강화까지 전 과정을 함께 추진하는 것이 핵심이다.
협약에 따라 산업부와 현대차·기아는 1차 부품 협력사의 탄소감축 설비 교체 비용을 공동으로 지원한다. 이어 1차 협력사는 지원받은 금액 일부를 2차 협력사에 환원해 설비 구매를 도울 계획이며, 중기부는 이에 맞춰 2차 협력사를 대상으로 탄소중립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공급망 전체를 하나의 구조로 연결해 저탄소 전환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구상이다.
현대차·기아는 생산·운행·폐기 전 과정에서 탄소 순배출 제로화를 목표로 설정하고 2045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지속 추진 중이다. 올해 4월에는 협력사들을 대상으로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를 열어 기술과 설비를 공유하고 지속가능경영 역량을 높이기 위한 활동을 강화했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기업과 정부, 공공기관이 함께 추진하는 협력 모델로 공급망 저탄소 전환의 실천적 기반을 만들었다”며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중요한 마중물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