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AI가 '희망'이라는 감정을 이해할까? AI 희망 감지 대결서 구형 AI 모델이 압승

2025.11.26. 09:43:54
조회 수
58
2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미국 텍사스공대 연구팀이 문장 속 '희망'이라는 감정을 찾아내는 AI 실험을 했다. 놀랍게도 5년 전에 나온 구형 AI가 최신 AI들을 제치고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더 복잡하고 새로운 AI가 반드시 더 좋은 결과를 내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이 증명된 셈이다.

구형 BERT, 정확도 84%로 최신 AI들 제쳐

해당 연구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세 가지 AI를 비교했다. 2018년에 나온 BERT(버트)와 2019년 GPT-2(지피티-2), 그리고 2021년 DeBERTa(디버타)다. 이들에게 문장을 보여주고 '희망이 담긴 문장인지 아닌지' 구분하는 실험을 시켰다. 결과는 의외였다. 가장 오래된 BERT가 84.49%의 정확도로 1위를 차지했다. DeBERTa는 80.70%, GPT-2는 79.34%를 기록했다. 연구팀은 약 5,200개의 문장으로 AI를 훈련시키고, 1,900개의 문장으로 테스트했다.

더 복잡한 실험도 진행했다. 희망을 다섯 가지로 세분화해서 분류하는 것이다. '희망 없음', '막연한 희망', '현실적 희망', '비현실적 희망', '비꼬는 말' 등이다. 여기서도 BERT가 72.03%로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DeBERTa는 71.56%, GPT-2는 71.29%였다.


속도는 2배 빠른데 정확도는 더 높아

더 놀라운 건 처리 속도다. 간단한 실험에서 BERT는 학습에 443초가 걸렸다. GPT-2는 527초, DeBERTa는 704초였다. 복잡한 실험에서는 BERT와 GPT-2가 각각 539초와 530초로 비슷했지만, DeBERTa는 948초나 걸렸다. BERT보다 거의 두 배 느린 셈이다.

결국 DeBERTa는 학습 시간이 59% 더 오래 걸렸지만 성능은 오히려 떨어졌다. 연구팀은 BERT가 정확도와 속도 면에서 가장 균형 잡힌 선택이라고 결론 내렸다. 특히 컴퓨터 성능이 제한된 환경에서 실제로 사용할 때 이런 차이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GPT-2, 비꼬는 말 찾기에선 압도적 1위

각 AI마다 잘하고 못하는 게 달랐다. GPT-2는 전체 점수는 낮았지만, '비꼬는 말' 찾기에서는 92.46%로 압도적이었다. BERT는 77.38%, DeBERTa는 82.14%에 그쳤다. GPT-2가 더 많은 자료로 학습해서 미묘한 말투를 잘 알아채는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모든 AI가 어려워한 부분도 있다. '비현실적 희망'을 찾는 건 세 AI 모두 힘들어했다. BERT는 67.25%, GPT-2는 46.78%, DeBERTa는 50.29%만 맞췄다. 이 유형은 다른 희망 표현과 구분하기가 애매해서 자주 헷갈렸다.

GPT-2는 문장을 '희망 있음'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강했다. 민감도는 93.77%로 높았지만, 특이도는 66.40%로 낮았다. 반면 BERT는 민감도 84.20%, 특이도 84.75%로 균형이 잘 잡혀 있었다.

문장 손질 방법에 따라 결과 달라져

연구팀은 흥미로운 사실을 하나 더 발견했다. 처음 실험에서 BERT는 복잡한 분류에서 74.87%의 정확도를 보였다. 그런데 나중 실험에서는 모든 AI가 71~72% 정도만 맞췄다. 원인은 문장을 정리하는 방식 차이였다. 처음에는 문장을 거의 손대지 않고 그대로 학습시켰다. 나중에는 대소문자를 통일하고, 인터넷 주소를 지우고, 해시태그와 특수문자를 모두 제거했다.

과도하게 정리한 게 오히려 독이 됐다. 대문자 강조, 느낌표 사용, 해시태그 같은 요소들이 희망의 미묘한 뉘앙스를 표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이다. 이를 다 지우니까 AI가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때로는 최소한의 손질이 더 나은 결과를 낸다는 다른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FAQ (※ 이 FAQ는 본지가 리포트를 참고해 자체 작성한 내용입니다.)

Q1. 희망 감지 AI는 어디에 쓰나요?

A: 정신 건강 상담, 소셜미디어 분석, 재난 상황 대응 등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담 기록을 분석해서 환자의 심리 상태 변화를 추적하거나, 재난 상황에서 SNS 글을 분석해 대중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는 데 쓰일 수 있습니다.

Q2. BERT가 최신 AI보다 더 정확한 이유는 뭔가요?

A: BERT는 문장의 앞뒤를 모두 살펴보면서 단어의 의미를 파악합니다. 반면 GPT-2는 앞쪽 단어만 보고 판단해서 전체 맥락 파악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희망이라는 감정은 문장 전체의 흐름을 봐야 제대로 이해할 수 있어서, BERT 방식이 더 유리했던 것입니다.

Q3. 희망을 다섯 가지로 나눈 기준은 뭔가요?

A: '희망 없음'(희망이 없는 문장), '막연한 희망'(구체적이지 않은 일반적인 낙관), '현실적 희망'(근거 있는 기대), '비현실적 희망'(실현 가능성이 거의 없는 기대), '비꼬는 말'(겉으로는 희망적이지만 실제로는 반대 의미)입니다. 이렇게 세분화하면 문장 속 희망의 성격을 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해당 기사에 인용된 논문 원문은 arvix에서 확인 가능하다.

논문명: Classification of Hope in Textual Data using Transformer-Based Models

이미지 출처: 이디오그램 생성

해당 기사는 챗GPT와 클로드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AI Matters 뉴스레터 구독하기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일반뉴스 전체 둘러보기
1/1
"눈으로 보고, 글로 계산"… AI 추론 능력 끌어올리는 해법 찾았다 AI matters
"여기 어디야?" 사진 한 장에 위치 맞추는 AI 등장… 간판, 건물 모양, 표지판 분석해 장소 찾는다 AI matters
건설 현장 사망사고 20%가 '추락'… AI가 안전모 미착용까지 잡아낸다 AI matters
'즐거운 쇼핑은 내가, 지루한 업무는 AI가'… 일본인들의 생성형 AU 사용 실태 조사 보니 다나와
퍼플렉시티, '이용자 중심'의 대화형 쇼핑 어시스턴트 기능 공개 다나와
AI에 "넌 가난한 학생이야" 역할 줬더니… 취향 물을 땐 역할 충실, 시험 보면 본색 드러내 AI matters
"역대 대통령 순서대로 나열해봐"... AI에게 시켜봤더니 생긴 일 AI matters
AI한테 마피아 게임 시켰더니… 최신 AI 12개 전부 거짓말쟁이 못 찾아 AI matters
AI가 '희망'이라는 감정을 이해할까? AI 희망 감지 대결서 구형 AI 모델이 압승 AI matters
AI가 준 조언, 심각한 문제에도 62%가 실천했지만... 2주 후 효과는 '제로' AI matters
중소기업 직장인이 가장 위험하다… AI 시대, 한국 직무 교육 참여율 OECD 꼴찌 AI matters
[위클리AI] 퍼플렉시티, 코멧 안드로이드 버전 출시…챗GPT 쇼핑 기능 도입 (2) IT동아
AI뉴스 구글 나노바나나 Pro, Gemini 3, 그록 4.1, GPT‑5.1CodexMax, Meta SAM 3D, AI TOP 100, Sunday Robotics 등 (2) 동영상 있음 조코딩 JoCoding
'굿바이, GPT-4o' OpenAI, GPT-4o API 접속 2026년 2월 종료 발표 다나와
MS AI 수장 “AI가 시시하다고? 그게 더 놀랍다”...윈도우·코파일럿 논란 속 반발에 공개 반박 다나와
이제 챗GPT가 고른 식당만 성공한다? 100곳 중 17곳만 추천받는 AI 시대 마케팅 전략 (1) AI matters
AI는 답 모르면 무조건 "아니요"… 서울대 연구진, 챗GPT의 숨겨진 습관 발견 AI matters
챗GPT에 1,000번 물어봐도 비슷한 답변뿐... 베이징대 연구진이 해결책 찾았다 AI matters
한국 AI 스타트업, 개인정보보호법 규제로 혁신 난항… 데이터 활용 간극 여전 다나와
중국, ‘AI 플러스’ 전략으로 산업과 일상 전면 재편 추진 다나와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