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기아가 전동화 경쟁력의 근간이 되는 배터리 기술을 강화하기 위해 경기도 안성에 그룹 최초의 대규모 배터리 특화 연구개발 거점을 구축한다. ‘미래 모빌리티 배터리 안성 캠퍼스’는 약 19만7천㎡ 부지에 연면적 11만1천㎡ 규모로 조성되며, 총 1조2천억 원이 투입된다. 현대차·기아는 28일 열린 상량식을 통해 본격적인 R&D 인프라 구축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현대차·기아 R&D본부장 양희원 사장, 전략기획실장 김동욱 부사장, 전동화에너지솔루션담당 김창환 부사장을 비롯해 김동연 경기도지사, 윤종군 안성시 국회의원, 산업통상부 최우혁 첨단산업정책관, 김보라 안성시장 등 정부·지자체 관계자가 참석해 미래 배터리 산업의 조성을 위한 협력 의지를 함께 다졌다.
셀 제조 전 공정 갖춘 ‘그룹 최초’ 배터리 특화 캠퍼스
배터리 캠퍼스는 전극·조립·활성화 등 셀 제조 전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첨단 설비를 갖추고, 차량 적용까지 고려한 종합 검증을 수행하는 고난도 실증 연구 거점으로 운영된다. 기존 남양·의왕연구소가 단위 공정·선행 기술 개발을 담당했다면, 안성 캠퍼스는 양산 수준의 품질·안전성을 통합 검증하는 역할을 맡는다.
전기차·EREV 등 차세대 전동화 차량용 고성능 리튬이온 배터리가 주요 연구 대상이며, 시장 흐름에 따라 소재·설계·팩 구조 등 다양한 기술로 연구 영역을 확대하게 된다. 연구 과정에는 데이터 해석 기술, 시험 자동화, AI 기반 예측 모델도 적용해 ‘디지털 검증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배터리 생태계 확장·미래 모빌리티 대응 핵심 거점
현대차·기아는 안성 캠퍼스를 중심으로 K-배터리 기업들과의 협업 범위를 더욱 넓혀 배터리 개발·검증 데이터를 공유하고, 소재부터 차량 시스템까지 전 주기 연구 체계를 내재화한다는 전략이다. 로보틱스·AAM 등 배터리 활용 분야가 급격히 확대되는 상황에서 배터리 기술 경쟁력은 그룹 미래사업의 기반으로 평가된다.
이번 프로젝트는 울산 수소연료전지 공장, 화성 기아 PBV 전용 공장에 이은 대규모 국내 투자 프로젝트로, 현대차그룹이 발표한 125조2천억 원 국내 투자 전략을 전동화 R&D 영역에서 구체화한 사례다.
경기도·안성시와 MOU 체결… 차세대 배터리 허브 육성
상량식 행사에서는 현대차·기아, 경기도, 안성시, 경기주택도시공사 등이 배터리 산업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각 기관은 안성 캠퍼스를 지역 2차전지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차세대 배터리 허브로 성장시키기 위해 협력한다.
양희원 현대차·기아 R&D본부장은 “배터리 캠퍼스는 국내 배터리 생태계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출발점”이라며 “전동화 시장을 선도하는 핵심 동력이자 국가 경쟁력 강화를 이끄는 중추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