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NAVER)가 자사 뉴스룸을 통해 기존 모델 대비 40% 수준의 크기로 더 강력한 성능을 구현한 하이퍼클로바X(HyperCLOVA X) 신모델을 20일(한국 시간) 공개했다. 신모델은 대표적인 AI 성능 평가 지표인 'MMLU(Massive Multitask Language Understanding)'에서 79.6%의 정답률을 기록했다. 이는 유사한 규모의 해외 빅테크 AI 모델과 견줄만한 수준이다. 한국어, 영어, 코딩·수학 분야의 19개 벤치마크 테스트에서도 기존 모델보다 우수한 평균 점수를 달성했다.
텍스트와 이미지를 동시에 처리하는 기존의 멀티 모달리티(Multi-modality) 기능이 한층 개선됐다. 시각적 질의응답과 차트·도표 이해 능력이 글로벌 최고 수준으로 향상됐으며, 영상 이해 기능도 새롭게 추가됐다.
효율적인 모델 구조 설계로 운영 비용을 기존 대비 50% 이상 절감했다. 이는 네이버의 '온 서비스 AI(On-Service AI)' 전략에 따라 검색, 커머스 등 대규모 서비스에 AI 기술을 안정적으로 도입하는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NAVER CLOUD) 하이퍼스케일 AI 기술 총괄은 "수천만 명이 사용하는 서비스에 AI를 안정적으로 접목하기 위해 저비용 고성능 기술을 꾸준히 연구해왔다"며 "향후 추론 능력 향상, 모달리티 확장 등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AI 기술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3월 중 대화형 AI 서비스 클로바X(CLOVA X)에 신모델을 탑재하고, 추후 클라우드 플랫폼의 AI 개발 도구인 클로바 스튜디오(CLOVA Studio)를 통해 기업 고객에게도 제공할 계획이다.
해당 기사의 원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미지 출처: 네이버
기사는 클로드 3.5 Sonnet과 챗GPT-4o를 활용해 작성되었습니다.
AI Matters 뉴스레터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