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라리 849 테스타로사 스파이더.(페라리)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페라리가 브랜드 라인업 최상위 모델, ‘849 테스타로사’ 및 ‘849 테스타로사 스파이더’를 공개했다.
두 모델은 트윈터보 V8 엔진과 세 개의 전기모터가 결합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탑재, 총 출력은 1050cv로 SF90 모델 대비 50cv 더 높다. cv는 유럽에서 사용하는 출력 단위로 ‘미터법 마력(cavallo vapore)’의 약자다. 1cv는 약 0.986마력(hp)으로 1050cv는 약 1036마력을 의미한다.
페라리 849 테스타로사 스파이더.(페라리)
849 테스타로사 및 849 테스타로사 스파이더는 압도적인 성능과 주행의 짜릿함은 물론, 편안한 승차감과 세련된 인테리어, 미래지향적이면서도 전통에 뿌리를 둔 디자인을 바탕으로 페라리 라인업의 최상위에 자리한다.
테스타 로사(Testa Rossa)는 1956년 500 TR에서 처음 사용됐으며 페라리의 가장 강력하고 상징적인 레이싱 엔진에 사용된 캠 커버의 빨간 색상을 지칭하는 용어다. 1984년에는 이 전통이 로드카에 이어져 ‘테스타로사’라는 차량명으로 공식 채택됐다.
페라리 849 테스타로사 스파이더.(페라리)
849 테스타로사와 849 테스타로사 스파이더의 심장은 V8 트윈터보로 페라리 양산차 사상 최대 크기의 신형 터보차저로 엄청난 가속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후방 전기모터와 전륜 차축의 두 유닛으로 구성되어 총 220cv를 발휘한다. 여기에 온디맨드(주행 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 사륜구동과 토크 벡터링이 더해져 어떤 주행 조건에서도 최고의 성능을 보장한다.
주행 역동성과 한계 상황에서의 조작 반응을 향상시키기 위해, 849 테스타로사 및 849 테스타로사 스파이더에는 최신 세대 브레이크-바이-와이어 시스템과 페라리의 ABS 에보(Evo) 컨트롤러를 적용했다.
페라리 849 테스타로사.(페라리)
새로운 브레이크 시스템과 결합된 이 기술은 모든 주행 조건에서 제동의 정밀도와 일관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스프링과 댐퍼 세팅이 전면적으로 재설계되어, 접지력의 한계에 가까운 상황에서도 차량의 움직임이 한층 안정적이고 정교해졌다. 또한 폭넓은 경량화를 통해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음에도 SF90 모델과 동일한 중량을 유지하며, 라인업 사상 최고의 출력 대 중량비를 달성했다.
스타일링 측면에서도 849 테스타로사와 849 테스타로사 스파이더는 페라리 V8 미드리어 베를리네타 및 베를리네타 스파이더 개념에 혁신을 가져왔다. 1970년대 스포츠 프로토타입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은 날카로운 기하학적 라인과 결합해, 독창적이면서도 시대를 초월한 조형미를 구현한다. 이러한 형태와 기능의 조화는 뛰어난 공기역학 성능으로 이어졌다.
페라리 849 테스타로사.(페라리)
시속 250km에서 발생하는 다운포스는 총 415kg으로, SF90 모델 대비 25kg 증가했다. 파워트레인과 브레이크 냉각 성능 역시 15% 향상되었다.
실내는 이전보다 더욱 감싸는 듯한 구조로 설계된 콕핏으로 인체공학적 성능을 강화했다. F80에서 영감을 받은 센트럴 세일 모티프(중앙부에 돛처럼 솟아오른 디자인)와 통합 기어 체인지 게이트는 구성 요소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배치해 조작 편의성을 높였다.
페라리 849 테스타로사.(페라리)
신형 스티어링 휠에는 아이코닉한 엔진 스타트 버튼을 포함한 기계식 버튼들이 장착돼 있어, 최신 세대 페라리 스티어링 휠의 높은 기능성을 유지하면서도 주행 경험을 한층 끌어올렸다. 마지막으로 새롭게 도입된 HMI 시스템은 차량과 더욱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만든다.
849 테스타로사 스파이더의 경우, 페라리의 접이식 하드톱(RHT)을 탑재해 쿠페와 스파이더의 매력을 모두 즐길 수 있다. 시속 45km까지는 루프 개폐가 가능하고 시간은 단 14초 밖에 걸리지 않는다. 또한 윈드 캐처(wind catcher) 시스템을 개발해 실내 난기류를 최소화했다.
김흥식 기자/reporter@autoherald.co.kr
ⓒ 오토헤럴드(http://www.autoherald.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