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포스 RTX 5090이 대단한 성능과 대단한 가격으로 출시됐습니다. 벤치마크에서 이미 확인한 대로 https://gigglehd.com/gg/17027962 성능은 의심할 것도 없이 현재 나온 게이밍 그래픽카드 중에서 가장 뛰어나고요. 불행하게도 가격 역시 그 성능을 그대로 따라가 적당한 부유한 게이머의 취미용으로 사기엔 버거운 수준까지 올라갔습니다. 그럼 지포스 RTX 5090보다 한 단계 낮은 지포스 RTX 5080은 조금 덜 대단한 성능과 마찬가지로 저렴해진 가격을 지니고 나올 것이라 기대하게 되는데요. 지포스 RTX 50 시리즈 중에서는 분명 두 번째의 성능이지만 그렇다고 전 세대 플래그쉽인 지포스 RTX 4090과 비등한 수준까지는 아니고요. 가격은 5090보다는 저렴하긴 한데 그래도 여전히 아무나 살 수 있는 수준은 아닙니다. 하지만 지포스 RTX 50 시리즈의 DLSS4 멀티 프레임 생성을 지원하며 5090보다는 가격, 전력 사용량, 크기에서 부담이 많이 줄어들었다는 조건을 지키는 (현재로서는) 유일한 GPU이기도 합니다.
팔릿은 그래픽카드 시장의 경력이 199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유서깊은 회사이고, 이엠텍은 20년 넘게 한국 시장을 지켜온 그래픽카드 업계의 산 증인입니다. 지포스 RTX 50 시리즈부터는 팔릿의 그래픽카드를 이엠텍이 독점적으로 공급하고 있는데요. 이번 세대에서는 화려한 디자인의 고성능 모델인 게임락 시리즈, 과하지 않은 튜닝 디자인과 꼭 필요한 쿨링 시스템을 빼놓지 않은 게이밍 프로 시리즈의 두 가지 라인업을 준비했습니다. https://gigglehd.com/gg/17052244 그 중에서도 여기에선 지포스 RTX 5090보다는 더 대중적일 지포스 RTX 5080, 게임락보다는 조금 더 저렴한 게이밍 프로의 조합인 PALIT 지포스 RTX 5080 GAMINGPRO D7 16GB 이엠텍으로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좀 더 솔직하게 말하자면 이엠텍 발표회에 갔다가 경품으로 이걸 받아서요. 이 정도 물건이 생겼으면 리뷰 하나 정도는 당연히 써야 도리인 것 같아 올려 봅니다.
제품명 | PALIT 지포스 RTX 5080 GAMINGPRO D7 16GB 이엠텍 | ||||||||||||||||||||||||||||||||||||||||||||||||||||||||||||||||||||||||||||||||||||||||||
GPU | NVIDIA 지포스 RTX 5080 | ||||||||||||||||||||||||||||||||||||||||||||||||||||||||||||||||||||||||||||||||||||||||||
GPU 스펙(레퍼런스 기준) |
|
||||||||||||||||||||||||||||||||||||||||||||||||||||||||||||||||||||||||||||||||||||||||||
인터페이스 | PCI-E 5.0 x16 | ||||||||||||||||||||||||||||||||||||||||||||||||||||||||||||||||||||||||||||||||||||||||||
출력 포트 | HDMI 2.1b x1, DP 2.1b x3 |
||||||||||||||||||||||||||||||||||||||||||||||||||||||||||||||||||||||||||||||||||||||||||
최대 연결 디스플레이 수 | 4개 | ||||||||||||||||||||||||||||||||||||||||||||||||||||||||||||||||||||||||||||||||||||||||||
최대 해상도 | 7680x4320 | ||||||||||||||||||||||||||||||||||||||||||||||||||||||||||||||||||||||||||||||||||||||||||
지원 API | 다이렉트 X 12 얼티밋, 오픈GL 4.6, 오픈CL 3.0, 벌칸 1.4, 쿠다 10.1, 쉐이더 모델 6.8 | ||||||||||||||||||||||||||||||||||||||||||||||||||||||||||||||||||||||||||||||||||||||||||
최대 사용 전력 | 360W | ||||||||||||||||||||||||||||||||||||||||||||||||||||||||||||||||||||||||||||||||||||||||||
권장 파워 서플라이 | 850W | ||||||||||||||||||||||||||||||||||||||||||||||||||||||||||||||||||||||||||||||||||||||||||
보조 전원 커넥터 | 12V-2x6 16핀 1개(8핀 3개 변환) | ||||||||||||||||||||||||||||||||||||||||||||||||||||||||||||||||||||||||||||||||||||||||||
그래픽카드 크기 | 331.9x127.1x60mm | ||||||||||||||||||||||||||||||||||||||||||||||||||||||||||||||||||||||||||||||||||||||||||
전체 무게 | 1.6kg |
||||||||||||||||||||||||||||||||||||||||||||||||||||||||||||||||||||||||||||||||||||||||||
참고 링크 | https://prod.danawa.com/info/?pcode=75184250 |
||||||||||||||||||||||||||||||||||||||||||||||||||||||||||||||||||||||||||||||||||||||||||
가격 | 2,541,170원(2025년 2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
묵직하고 단단하지만 적당히 큰 게이밍프로
팔릿의 하이엔드 그래픽카드를 처음 접해본 건 아니지만, 이번 게이밍프로 시리즈는 잡자마자 묵직하고 단단하다는 느낌이 가장 먼저 들더라고요. 게임락이 더 비싸니까 게이밍프로는 적당히 타협을 한 모델일거라 지레짐작했는데 튼튼한 빌드 퀄리티를 느껴보니 그런건 아니고, 그냥 RGB LED를 줄이고 오버클럭을 좀 덜 공격적으로 해서 차별화를 둔 모델이라고 보는게 맞을 듯 합니다. 길이는 332mm, 두께는 3슬롯으로 지포스 RTX 5080 정도 되는 하이엔드 그래픽카드를 노린 게이머들에게 크게 부담되는 수준은 아닙니다. 어지간한 시스템이라면 이 정도 카드는 다 들어갈거고, 오히려 이보다 작거나 가벼웠다면 쿨링 성능이 부족하지 않을까 의심했을텐데, 딱 지포스 RTX 5080이라는 그래픽카드의 체급에 맞는 덩치로 나왔다는 인상입니다. 제품 박스 안에는 그래픽카드 외에도 3개의 8핀 보조전원을 12V-2x6으로 바꿔주는 어댑터와 마우스 패드가 함께 들어 있습니다.
전면에는 구경 100mm의 쿨링팬 3개가 달려 있습니다. 이 쿨링팬은 팔릿의 터보팬 4.0으로 공기 흐름을 최적화해 저항과 소음을 낮추고, 2개의 볼 베어링을 넣어 안정성과 내구성을 높였습니다. 최신 세대 그래픽카드답게 아이들 시에는 팬을 멈춰 소음을 없애는 0dB 기술도 지원합니다. 팬 아래에는 30도의 각도로 구부러져 소음을 줄이고 공기 흐름 효율을 높인 방열핀과, 고성능 베이퍼 챔버에 복합 히트파이프로 구성된 대형 히트싱크가 있습니다. 팬과 히트싱크의 두께를 모두 더하면 3개의 슬롯을 차지하는데, 지포스 RTX 5080이라는 체급을 생각하면 당연히 트리플 팬에 트리플 슬롯은 나와줘야 되겠지요. 그래픽카드 뒷면에는 금속재 벡플레이트를 부착해 기판을 보호하고 기판 뒷면의 열을 분산시켜 줍니다. 뒷면에는 저소음 모드와 고성능 모드를 전환하는 스위치가, 측면에는 그래픽카드를 완벽하게 감싸는 금속재 다이캐스팅 프레임과 함께 12V-2x6 보조전원 커넥터가 1개 있습니다. 또 전면에서 측면으로 이어지는 RGB LED는 5V ARGB LED 커넥터를 사용해서 직접 동기화 설정이 가능합니다.
박스 전면. 이엠텍 3년 무상 보증을 강조합니다.
박스 뒷면. 터보팬 4.0을 비롯한 쿨러의 소개가 눈에 띕니다.
내부 박스
위에는 각종 브로슈어와 마우스 패드가 있습니다.
마우스 패드는 장패드까지는 아니어도 충분히 큰 편입니다.
그래픽카드와 보조전원 변환 어댑터.
3개의 8핀 보조전원을 1개의 12V-2x6 커넥터로 바꿔줍니다.
그래픽카드 봉인 씰. 이거 뜯기 전까지 솔직히 고민 좀 했습니다.
그래픽카드 전면.
100mm 구경의 터보팬 4.0 3개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측면.
12V-2x6 커넥터와 ARGB LED 커넥터가 있습니다.
전면에서 측면으로 이어지는 ARGB LED의 표시 효과.
그래픽카드 뒷면에는 통풍구가 뚫린 백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있고요.
고성능 모드와 저소음 모드 바이오스 전환 스위치가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아래에는 통풍구가 있습니다.
출력 포트는 DP 3개, HDMI 1개의 평범한 구성.
그래픽카드 반대편.
크기는 331.9x127.1x60mm
3개의 슬롯을 차지합니다.
무게는 1.6kg.
4090 급은 아니지만 DLSS 4의 멀티 프레임 생성은 대단했다
지포스 RTX 5090이 압도적인 성능을 보여 주었으니, 그 아래 모델인 지포스 RTXX 5080에 거는 기대도 적진 않았는데요. 아쉽게도 5090과 5080 사이에는 꽤나 큰 성능 차이가 존재합니다. 그래서 5080과 5090 사이에 5080 슈퍼부터 시작해서 Ti에 Ti 슈퍼까지 채워 넣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그렇다고 전 세대 플래그쉽인 지포스 RTX 4090은 5080으로 잡을 수 있느냐면 그것도 아닙니다. 일부 게임에서는 매우 근접한 성능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상황에서는 5080과 5090 사이의 딱 중간에 4090이 위치한다는 느낌입니다. 이건 스펙의 CUDA 코어 숫자만 비교해도 뻔히 나오는 결과이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지포스 RTX 5080의 성능이 떨어진다는 건 아닙니다. 급하게 테스트한거라 비교용으로 쓸 지포스 RTX 4080/슈퍼를 구하진 못했지만, 라이젠 7 9800X3D 출시 때 비슷한 조건으로 테스트한 지포스 RTX 4080 슈퍼와 성능을 비교하면 https://gigglehd.com/gg/16668422 분명한 성능 향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포스 RTX 5080은 4080 슈퍼보다 트랜지스터 수는 오히려 줄어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코어 수는 소폭 늘었고, GDDR7 메모리를 도입하면서 메모리 대역폭도 향상됐으며, 여기에 DLSS4의 멀티 프레임 생성까지 지원하기에 앞으로 기대 성능은 훨씬 더 높습니다. 현재 지포스 RTX 4080 정도 카드를 사용 중이라면 굳이 5080으로 건너갈 필요는 없겠지만, 그 아래 등급이라면 DLSS4까지 감안해서 업그레이드를 생각해 볼만 합니다.
테스트 환경이 좀 춥긴 하지만 그래도 하이엔드 그래픽카드에 수냉도 아닌 공냉이니까 온도가 다소 높을 거라 각오를 하고 켰는데, 트리플 슬롯에 트리플 팬으로 무장한 터보팬 4.0 쿨러의 진가를 알고 있었더라면 그런 쫄보같은 생각은 하지 않았을 겁니다. 풀로드에서 60도를 조금 넘는 수준이고 그래픽카드 표면 온도도 매우 낮았기에 온도 걱정은 할 필요가 없고요. 소음도 '팬이 돌고는 있다'고 알려주는 수준이라, 케이스 옆판만 잘 닫고 쓴다면 매우 쾌적한 환경에서 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전력 사용량의 경우 지포스 RTX 4090보다는 덜 먹는 편입니다. 성능 차이를 생각한다면 조근 더 다이어트를 할 수도 있지 않았을까 생각이 들지만, 그래도 전 세대 플래그쉽 만큼 전기를 쓰지 않으며 요구하는 파워 용량도 850W라 부담이 적습니다.
테스트 환경입니다.
AMD 라이젠 7 9800X3D https://gigglehd.com/gg/16668422
MSI MPG X870E 카본 WiFi https://gigglehd.com/gg/16796772
DDR5-6000 32GB 듀얼채널
MSI MEG 코어리퀴드 S360 https://gigglehd.com/gg/11407122
MSI MEG Ai1300P PCIE5 80PLUS PLATINUM https://gigglehd.com/gg/13318499
운영체제: PCIe M.2 SSD, 게임 저장: SATA 6Gbps SSD
윈도우 11 24H2
572.02 게임레디 드라이버
비교에 사용한 지포스 RTX 5090과 4090은 여기를 참고하세요.
https://gigglehd.com/gg/17027962
지포스 RTX 5080의 GPU-Z 정보.
3D마크
3D마크 그래픽 스코어
검은 신화: 오공
검은 신화: 오공(RT)
마블 라이벌즈
퍼스트 디센던트
퍼스트 디센던트(RT)
프로스트펑크 2
호그와트 레거시
호그와트 레거시(RT)
사이버펑크 2077: 팬텀 리버티
사이버펑크 2077: 팬텀 리버티(RT 울트라)
사이버펑크 2077: 팬텀 리버티(RT 오버드라이브)
F1 22
고스트 오브 쓰시마
워해머 40K: 스페이스 마린 2
디아블로 4
디아블로 4(RT)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
아바타: 프론티어 오브 판도라
어쌔신 크리드: 미라지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레드 데드 리뎀션 2
POE 2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1
호라이즌 제로 던
발더스 게이트 3
배틀그라운드
컴패니 오브 히어로즈 3
사이버펑크 2077의 멀티 프레임 생성
호그와트 레거시의 멀티 프레임 생성
Vray 벤치마크
블렌더 벤치마크
시스템 전체 전력 사용량
온도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그래픽카드 표면 온도
30cm 거리에서 측정한 소음
PALIT 지포스 RTX 5080 GAMINGPRO D7 16GB 이엠텍
지포스 RTX 5080과 5090 사이의 성능 격차는 크고, 5080이 4090의 성능을 따라잡지도 못했습니다. 하지만 그게 지포스 RTX 5080의 수요에 영향을 주진 못할 겁니다. 5090과 4090은 아무나 살 수 있는 가격의 그래픽카드가 아니니까요. 지포스 RTX 5080도 싸진 않지만 그래도 전 세대에 비해 향상된 성능과 함께 DLSS4 멀티 프레임 생성이 추가되어, 더 높은 프레임을 체감할 수 있으니 현실적인 하이엔드 게이밍 그래픽카드가 될 것입니다.
지포스 RTX 50 시리즈는 어떤 모델이던 현재 극심한 공급 부족과 가격 상승을 겪고 있습니다. 팔릿 관계자가 음력설 이후에는 공급이 차차 정상화될 것이라고 했으니 더 나아지길 기대해 봅니다. 그리고 가격과 공급이 안정세에 접어든다면 튼튼하면서도 깔끔한 만듬새와 더불어 뛰어난 성능과 조용한 소음을 지닌 PALIT 지포스 RTX 5080 GAMINGPRO D7 16GB 이엠텍을 주목해 보시라 말씀드려 봅니다. 뛰어난 품질과 더불어 이엠텍의 3년 A/S까지 있으니, 선택할 이유는 충분하겠지요.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주간뉴스 2/9 - 데이터센터 실적, CPU 코어 증가? RTX 50 안정성, 삼성 반도체 1위, FM 25 취소, 문명 7 평... |
이엠텍, PALIT 브랜드 국내 정식 런칭 세미나 개최 |
LED 빼고 나무 넣은 앱코 SUITMASTER MF360 리얼우드 |
가짜와 A/S의 위험부담 대신 믿을 수 있는 AMD 정품 CP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