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라이젠 AI 프로세서와 OLED의 만남. MSI 프레스티지 A16 AI+ A3HMG-R9 WIN11

2025.02.21. 17:53:51
조회 수
373
10
댓글 수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DSC06556.JPG

 

AMD는 작년 하반기부터 새로 출시된 노트북용 프로세서의 이름에 AI를 붙이면서, 본격적인 AI 시대의 개막을 알렸습니다. 이름 뿐만이 아니라 최대 50TOPS의 AI 성능을 뽑아내는 NPU를 내장해 이름값을 하고, 고성능 젠5와 고효율 젠5c 코어를 탑재해 높은 성능과 긴 배터리 사용 시간을 확보했으며, 내장 그래픽의 강자는 여전히 AMD임을 증명하는 고성능 그래픽을 품었습니다. 올해 들어서는 라이젠 AI 7과 5, 프로 모델과 라이젠 AI 맥스까지 라인업을 확장하며 파트너를 늘려 나가고 있지요.

 

MSI 프레스티지 시리즈는 고해상도와 뛰어난 색 표현, 높은 밝기를 품은 고품질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고성능 프로세서와 대용량 배터리, 그리고 가볍고 날렵한 금속제 바디를 조합한 비즈니스 노트북입니다. 모델에 따라서는 압도적인 스펙의 화면을 지니거나 https://gigglehd.com/gg/14462977 가성비가 뛰어난 제품도 있고요. https://gigglehd.com/gg/16709235 MSI가 게이밍 노트북만 잘 만드는 게 아니라, 그냥 어떤 노트북이던 잘 만들 줄 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제품이기도 하지요. 

 

DSC06548.JPG

 

 

AMD AI 프로세서 이야기를 했다가 MSI 프레스티지 노트북 이야기를 했다가, 그 둘이 관련된 것도 아닌데 말이 오락가락한다고 생각하시는 분 계신가요? 예전에는 MSI 브라보 시리즈처럼 AMD CPU 전용 라인업을 따로 만들었고, 그것도 가성비 게이밍 노트북에 집중됐으니, AMD와 MSI 고급형 노트북 사이에 관련이 없다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다릅니다. MSI 프레스티지 같은 명실상부한 고급형 라인에도 AMD의 최신 고성능 프로세서가 탑재되어 출시되고 있거든요. 

 

MSI 프레스티지 A16 AI+ A3HMG-R9 WIN11는 AMD의 최신 하이엔드 프로세서인 라이젠 AI 9 365를 탑재해 10코어 20스레드 구성의 CPU와 50TOPS의 NPU, 그리고 라데온 880M 그래픽을 제공합니다. MSI 프레스티지의 정체성인 고품질 디스플레이는 여기서도 변하지 않아, 16인치 크기의 OLED가 UHD+ 해상도를 400니트의 밝기로 표시합니다. 또 고급스러운 느낌의 메탈 바디와 더불어 2개의 썬더볼트 4포트, HDMI 포트에 마이크로 SD 카드 리더기까지 갖춰 뛰어난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DSC06343.JPG

 

제품명  MSI 프레스티지 A16 AI+ A3HMG-R9 WIN11
CPU AMD 라이젠 AI 9 365
기본 TDP 28W, cTDP 15~54W, TSMC 4nm 공정, L2 10MB, L3 24MB
젠5 4코어 2~5GHz
젠5c 6코어 2~3.3GHz
20스레드
NPU: 50TOPS
메모리 LPDDR5x 32GB(온보드)  
그래픽 AMD 라데온 880M 그래픽(CPU 내장, 12CU, 2900MHz)  
스토리지 1TB NVMe M.2 SSD 
디스플레이 16인치(40.6cm), UHD+(3840x2400), 60Hz, 16:10 비율, OLED, 밝기 400nits, DCI-P3 색영역 약 100%, VESA 디스플레이HDR 600, 180도 개방 힌지
웹캠 1080p 30fps, HDR, IR 카메라, 얼굴 인식, 윈도우 헬로 지원, 프라이버시 셔터
입력 장치 화이트 LED 백라이트 키보드, 코파일럿 키, 대형 터치패드 
네트워크 퀄컴 패스트 커넥트 7800 WiFi 7+블루투스 5.4  
내장 스피커 2W x2 스피커(DTS & Hi-Res 오디오)
추가 기능 매트릭스 디스플레이: HDMI/USB-C 화면 동시 출력, 최대 3개의 외장 디스플레이 연결
메탈 바디
지문 센서
3개의 공간 어레이 마이크
MSI 센터 S
I/O 포트 USB 타입 C/썬더볼트 4 x2(PD 충전, DP Alt 모드 디스플레이 출력, 4K 60Hz 이상)
USB 3.2 Gen2 타입 A x1
마이크로 SD 카드 리더기 x1
HDMI 2.1 x1(8K 60Hz/4K 120Hz 출력) 
3.5mm 오디오 콤보 x1 
배터리 4셀, 82WHr
전원 100W USB PD 어댑터
크기 358x258.55x16.9~17.355mm
무게 1.9kg
운영체제 윈도우 11 프로 
참고  https://prod.danawa.com/info/?pcode=72300530
가격 2,119,000원(2025년 2월 다나와 최저가 기준)   

 

 

날렵하고 단단한 은빛 메탈 바디

 

DSC06342.JPG

 

프레스티지, Prestige는 고급, 일류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MSI 프레스티지 시리즈 노트북은 그 이름 값을 충분히 해 냅니다. 고급형을 표방하는 노트북에서 금속 외에 다른 재질은 상상할 수도 없지 않을까요? MSI 프레스티지 시리즈는 금속제 섀시를 사용해 단단하면서도 고급스러운 느낌을 내고요. MSI 프레스티지 시리즈 중에서도 이 모델은 어반 실러 컬러를 입혀서 우아함을 더했습니다. 화면 크기가 16인치로 작은 편은 아니지만 두께는 가장 두꺼운 곳을 기준으로도 17.35mm, 무게는 1.9kg로 억제해 가방에 넣고 휴대하기도 나쁘지 않습니다. 화면 힌지는 180도까지 열리고 시야각은 상하좌우 어느 각도로든 178도를 제공하기에, 가장 편안한 각도로 화면을 펼쳐두고 볼 수 있으며 다른 사람과 화면 내용을 공유하기도 편리합니다. 

 

16인치의 대형 OLED 화면 양 옆은 베젤 폭을 최대한으로 줄였습니다. 화면 상단 베젤을 줄였다는 말을 하지 않은 건, 위쪽에 달린 게 많아서입니다. 1080p 30fps 웹캠이 달려 있으며 물리적인 프라이버시 셔터 스위치가 있어 개인정보 유출을 완벽하게 차단합니다. 웹캠 옆에는 IR 카메라가 달려 있어 윈도우 헬로 얼굴 인식 기능도 쓸 수 있습니다. 16인치의 큰 화면에 맞춘 키보드는 풀사이즈 키와 더불어 숫자 키패드가 달려 있고요. AI 시대의 노트북답게 코파일럿 전용 키도 넣었습니다. 또 모든 키에 화이트 백라이트를 넣어 어두운 곳에서도 구분이 쉽습니다. 팜레스트에는 16:10 비율 화면에 맞춘 대형 터치패드를 넣었고, 그 옆에는 지문 인식 센서가 있어 비밀번호를 일일이 넣을 필요 없이 손가락을 센서에 대기만 해도 로그인이 끝납니다. 

 

얇고 가벼운 고급형 노트북이라고 주장하면서 정작 달려있는 포트는 인색한 제품들이 있습니다. 사과 그림이 그려진 노트북들이 특히 그렇죠. 하지만 MSI 로고가 그려진 이 노트북은 그렇지 않습니다. 왼쪽에는 USB 타입 C 모양의 썬더볼트 4 포트 2개가 있습니다. 최대 100W PD 충전, 40Gbps의 데이터 고속 데이터 전송, 4K 이상의 디스플레이 출력까지 지원하는 만능 포트지요. 우측에는 3.5mm 오디오, 마이크로 SD 슬롯, USB 3.2 타입 A, HDMI 2.1 포트가 각각 하나씩 있어, USB-C와 썬더볼트 같은 최신 규격을 활용할 수 없는 환경에서도, 도크나 허브의 도움 없이도 노트북에 주변기기를 바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DSC06174.JPG

 

DSC06175.JPG

 

외부 박스.

 

DSC06177.JPG

 

MSI 탑로드 백을 증정합니다.

 

DSC06180.JPG

 

전형적인 서류가방 형태의 크로스백이죠. 

 

 

DSC06181.JPG

 

크기는 16인치 노트북에 딱 맞춰서 만들었고, 캐리어 손잡이에 끼워둘 수 있습니다.

 

 

DSC06202.JPG

 

MSI 프레스티지 A16 AI+ A3HMG-R9 WIN11를 넣어 봤습니다. 딱 맞네요.

 

DSC06182.JPG

 

어깨걸이 끈은 안에 들어 있고요.

 

DSC06183.JPG

 

바깥 주머니에 충전기나 자잘한 물건들을 넣어둘 수 있습니다. 

 

DSC06184.JPG

 

DSC06185.JPG

 

내부 박스

 

DSC06186.JPG

 

박스를 열면 윗칸엔 노트북이, 아랫칸엔 충전기가 있습니다.

 

DSC06188.JPG

 

빠른 사용자 가이드와 품질 보증서

 

DSC06189.JPG

 

MSI 블루투스 마우스를 줍니다. 

 

DSC06190.JPG

 

동글동글한 디자인의 블루투스 마우스.

 

DSC06192.JPG

 

위쪽엔 MSI 로고.

 

DSC06193.JPG

 

옆에서

 

DSC06194.JPG

 

바닥엔 전원 스위치, 2.4GHz 무선과 블루투스 변환 버튼이 있습니다.

 

DSC06195.JPG

 

배터리 커버를 열면 그 안에 2.4GHz 수신기를 함께 수납할 수 있습니다. 전원은 AAA 건전지 2개를 사용합니다.

 

DSC06196.JPG

 

USB PD 100W 전원 어댑터와 전원 케이블. 

 

DSC06197.JPG

 

전원 어댑터의 제조사는 치코니, 5V 3A 15W부터 시작해서 20V 5A 100W 출력까지 가능합니다.

 

DSC06198.JPG

 

크기는 100W 출력 어댑터 치고는 평범한 편입니다. 특별히 작거나 크진 않네요.

 

DSC06199.JPG

 

클로버 타입의 전원 케이블을 연결합니다. 

 

DSC06201.JPG

 

전원 어댑터와 케이블 무게는 384g.

 

DSC06340.JPG

 

MSI 프레스티지 A16 AI+ A3HMG-R9 WIN11입니다. 

 

DSC06328.JPG

 

크기 358x258.55mm.

 

DSC06337.JPG

 

두께 16.9~17.355mm
 

DSC06329.JPG

 

무게 1.9kg. 저울이 작아서 손으로 받치면서 찍다보니 실제보다 조금 더 나왔네요.

 

DSC06339.JPG

 

MSI 로고 외에 아무것도 없는 심플 그 자체.

 

 

DSC06332.JPG

 

뒷면, 보다 정확히는 화면과 키보드 사이에 배기구가 있습니다.

 

DSC06333.JPG

 

왼쪽에는 USB-C 모양의 썬더볼트 4 포트 2개, 오른쪽에는 3.5mm 오디오, 마이크로 SD 슬롯, USB 타입 A, HDMI 2.1 포트가 하나씩 있습니다. 

 

DSC06341.JPG

 

힌지는 180도로 열립니다.

 

DSC06344.JPG

 

노트북 내부.

 

DSC06345.JPG

 

16인치 크기의 화면.

 

DSC06346.JPG

 

얇은 베젤.

 

DSC06349.JPG

 

화면 상단에는 1920x1080 30fps의 웹캠이 있으며 물리 셔터 스위치를 밀어서 완벽하게 가릴 수 있습니다. 이 웹캠은 HDR을 지원하며 ALS 센서를 사용해 노이즈를 줄여주기도 합니다. 그 옆에는 IR 카메라가 있습니다. 적외선으로 얼굴을 인식해 윈도우 헬로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DSC06350.JPG

 

4K HDR OLED 디스플레이와 MSI 로고

 

DSC06546.JPG

 

화면과 키보드 사이의 배기구

 

DSC06351.JPG

 

키보드와 팜레스트

 

DSC06352.JPG

 

풀사이즈 키보드

 

DSC06356.JPG

 

키패드가 달려 있고요.

 

DSC06526.JPG

 

화이트 백라이트가 있습니다.

 

DSC06355.JPG

 

코파일럿+ PC답게 코파일럿 키를 따로 넣었습니다. 한자는 한/영키와 공유합니다. Fn을 누르면서 한/영키를 누르면 한자 버튼으로 작동합니다. 

 

DSC06353.JPG

 

넓어진 화면에 맞춰 터치패드의 면적 역시 넓혔습니다.

 

DSC06354.JPG

 

 

오른쪽엔 지문 센서가 있습니다. 얼굴 인식 뿐만 아니라 지문 인식으로도 로그인이 가능합니다. 

 

DSC06357.JPG

 

라이젠 AI 9, 라데온 그래픽, HDMI 로고.

 

DSC06336.JPG

 

바닥의 흡입구와 제품 시리얼.

 

 

CPU 하나가 다 해주지만 팬은 2개

 

DSC06360.JPG

 

게이밍 노트북이라고 주장하는 제품들을 뜯어보면 2개의 쿨링팬과 히트파이프로 도배된 구성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노트북은 게이밍 노트북이 아니고 CPU 하나에서 모든 작업을 다 수행하는데도 쿨링팬과 히트파이프를 2개씩 넣어주는 후한 인심을 보여줍니다. 그래서 라이젠 AI 9 365 프로세서의 모든 성능을 발휘하도록 도와주는 것은 물론, 조용한 환경에서 노트북을 쑬 수 있도록 해줍니다. 다만 사용자가 직접 업그레이드할 여지는 많지 않습니다. 라이젠 AI 300 시리즈 프로세서는 메모리가 함께 패키징되어 있기에 램 업그레이드는 불가능하며, 1개의 M.2 슬롯은 기본 장착된 1TB NVMe M.2 SSD가 차지하고 있거든요. 팜레스트 아래에는 82WHr 용량의 4셀 배터리가, 그 옆에는 2개의 2W 스피커가 좌우 하나씩 자리잡고 있습니다. 

 

DSC06358.JPG

 

하판 내부.

 

DSC06359.JPG

 

노트북 내부

 

DSC06364.JPG

 

2개의 쿨링팬과 2개의 히트파이프

 

DSC06365.JPG

 

쿨링팬 위에 커버를 부착해서 정확한 크기를 알기 어려우나, 아주 큰 팬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DSC06366.JPG

 

넓은 히트파이프

 

DSC06369.JPG

 

팬 왼쪽에는 비어있는 공간과 여러 포트들이 있네요. 포트는 아래에서 설명하고, 저 공간은 2.5인치 드라이브 장착을 염두에 두고 만들었지만 실제로 탑재는 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DSC06367.JPG

 

HDMI 포트 아래에는 Parade PS8419 HDMI 2.1 지터 클리닝 리피터 칩이 있습니다.

 

DSC06369.JPG

 

USB 3.2 Gen1 포트 아래에는 Paade 8811 USB 3.1 Gen2 10Gbps 리타이머 칩이, 마이크로 SD 리더기 아래에는 리얼텍 5250S 칩이 있어 각 포트를 컨트롤합니다. 

 

DSC06368.JPG

 

3.5mm 사운드 포트 주변에는 리얼텍 ALC274 오디오 칩과 리얼텍 ALC1316 오디오 칩이 있습니다. 

 

DSC06370.JPG

 

퀄컴 패스트 커넥트 7800 WiFi 7+블루투스 5.4 모듈

 

DSC06371.JPG

 

마이크론 2500 !TB NVMe SSD

 

DSC06372.JPG

 

CPU 주변에는 전원 공급 회로와 컨트롤러 칩이 있습니다. 

 

DSC06374.JPG

 

오른쪽의 썬더볼트 4 포트는 Parade PS8833 USB4 리타이머 칩과 썬더볼트 컨트롤러 등이 한 쌍씩 배치됐습니다. 

 

DSC06375.JPG

 

ITE IT5571VG-128, 인피니언 SL89672, 윈본드 256Gb 플래시 메모리 칩 등이 있습니다.

 

DSC06377.JPG

 

배터리 용량은 5280mAh 혹은 15.2V 80.26Wh.

 

DSC06378.JPG

 

배터리 양 옆의 2W 스피커 2개

 

DSC06380.JPG

 

배터리 하단 공간. 

 

 

고성능 CPU, GPU, NPU 다 있는 라이젠 AI 9 365

 

DSC06543.JPG

 

라이젠 AI 9 300 시리즈는 기본 TDP가 28W로 설정된 프로세서입니다. 고성능보다는 고효율에 맞춰서 설계됐다는 소리죠. 그래서 전력 사용량과 배터리 유지 시간, 낮은 온도와 저렴한 소음 등 성능이 아닌 다른 부분에서 쾌적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렇게 쓰고 끝낸다면 그럼 성능은 그닥 높지 않을 거라고 지레짐작하는 분이 나올지도 모르겠는데, 성능도 낮은 편이 아닙니다. 기본 TDP가 45W를 넘어가는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의 하이엔드 CPU에 비교할 수준은 아니지만, 같은 전력 사용량의 고효율 프로세서 중에서는 꽤 괜찮은 성능을 뽑아냅니다. 설정이나 쿨링 조건에 따라서 달라지겠지만, 벤치마크에서는 인텔의 전 세대 하이엔드 프로세서인 코어 i9-13900H와 비교할 정도의 성능을 제공합니다. 전력 사용량은 그보다 훨씬 낮은데도 말이죠. 그래서 작업용으로 굴리기에도 충분한 성능을 내 줄 뿐만 아니라, 효율 역시 매우 높은 모바일 프로세서라 평가됩니다. 

 

노트북 테스트에서 가장 시간을 많이 잡아 먹는 건 배터리 측정인데, 그건 어렵지 않습니다. 켜두고 다른 일을 하면 되니까요. 눈을 땔 수 없는 테스트 중에서 시간을 가장 많이 쓰는 거라면 게임 성능인데요. 처음 이 노트북을 받았을 때는 게이밍 노트북도 아니고 내장 그래픽이니까 게임 몇 개 대충 하고 치우면 될테니, 게임 테스트가 금방 끝날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아니네요. 게임 옵션을 낮추고 해상도도 1920x1200으로 설정하긴 했지만, 라데온 880M 내장 그래픽은 게임 플레이가 가능한 수준의 성능을 제공합니다. 요구 스펙이 높기로 유명한 게임도 평균 프레임 20 중반은 나오거든요. 여기에 FSR과 프레임 생성까지 더한다면 체감 프레임은 더욱 높아지고요. 그래서 게이밍 노트북은 아니지만 게임 플레이 자체는 충분히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NPU가 있습니다. AMD 라이젠 AI 9 300 시리즈 프로세서에 내장된 NPU는 최고 50TOPS의 AI 처리 성능을 지녀,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PC의 요구 기준을 가볍게 충족합니다. AI 연산 자체는 CPU나 GPU로도 처리할 수 있지만, AI 연산에 최적화된 NPU를 활용하면 더욱 효율적으로 로컬에서 AI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NPU의 활용처가 아주 많진 않지만 AI의 중요성은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으니, 앞으로를 대비하겠다면 고성능 NPU가 탑재된 노트북을 고를 필요가 있겠습니다. 

 

Cap 2025-02-12 07-02-40-366.png

 

작업 관리자에서 인식한 라이젠 AI 9 365 프로세서 

 

Cap 2025-02-10 11-04-49-701.png

 

CPU-Z에서 확인한 라이젠 AI 365 프로세서의 스펙. 4P+6E 코어에 20스레드를 표시하며 AVX512까지 지원합니다. 

 

Cap 2025-02-10 11-04-50-915.png

 

칩셋과 바이오스 정보. 

 

 

Cap 2025-02-10 11-04-52-287.png

 

 

메모리는 LPDDR5x 32GB이며 마이크론의 8GB 칩을 사용합니다. 

 

Cap 2025-02-12 07-02-43-593.png

 

작업 관리자에서 인식한 라데온 880M 내장 그래픽

 

Cap 2025-02-11 06-34-39-231.png

 

GPU-Z에서 인식한 라데온 880M 내장 그래픽

 

Cap 2025-02-12 07-00-34-221.jpg

 

4K 영상 재생시 CPU/GPU 점유율

 

Cap 2025-02-12 07-02-16-935.jpg

 

8K 영상 재생시 CPU/GPU 점유율. GPU에 내장된 영상 처리 엔진을 사용하기에 고해상도 영상에서도 CPU 점유율은 낮게 유지됩니다.

 

Cap 2025-02-12 07-02-38-993.png

 

라이젠 AI 시리즈 프로세서는 AI라는 이름답게 NPU가 내장됩니다. 

 

Cap 2025-02-11 05-31-30-180.png

 

50TOPS의 AI 성능을 갖춘 제품답게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PC의 기준을 충족시키고요.

 

Cap 2025-02-12 06-47-15-396.jpg

 

Cap 2025-02-12 06-56-41-134.jpg

 

로컬에서 다양한 AI 활용이 가능합니다. 

 

Cap 2025-02-10 15-04-54-692.jpg

 

메모리와 캐시 대역폭

 

Cap 2025-02-21 08-23-38-565.png

 

CPU-Z 

 

 

Cap 2025-02-21 08-31-59-675.png

 

 

y-cruncher 5억 자리 파이 연산 

 

Cap 2025-02-21 08-30-25-376.png

 

7Zip

 

Cap 2025-02-21 08-30-57-642.png

 

시네벤치 2024

 

Cap 2025-02-21 08-31-09-109.png

 

시네벤치 R23

 

Cap 2025-02-21 08-31-34-358.png

 

핸드브레이크 영상 인코딩

 

Cap 2025-02-21 08-31-50-492.png

 

Vray 벤치마크

 

Cap 2025-02-21 08-32-17-326.png

 

X.264 1080p 영상 인코딩

 

Cap 2025-02-21 08-29-37-543.png

 

블렌더 CPU

 

Cap 2025-02-21 08-29-48-692.png

 

블렌더 GPU

 

Cap 2025-02-21 08-28-49-095.png

 

긱벤치 AI ONNX CPU

 

Cap 2025-02-21 08-28-57-346.png

 

긱벤치 AI ONNX DirechML

 

Cap 2025-02-21 08-32-26-575.png

 

코로나 벤치마크

 

Cap 2025-02-21 08-21-46-284.png

 

PC마크 10

 

Cap 2025-02-21 08-23-06-963.png

 

 

3D마크 CPU 프로파일

 

Cap 2025-02-21 08-22-16-933.png

 

3D마크

 

Cap 2025-02-21 08-21-03-399.png

 

3D마크 파이어 스트라이크 

 

Cap 2025-02-21 08-18-37-920.png

 

3D 게임: 1920x1200, 가장 낮음 

 

Cap 2025-02-21 08-19-21-152.png

 

 

3D 게임: 1920x1200, 가장 낮음, FSR 균형

 

Cap 2025-02-21 08-20-08-683.png

 

3D 게임: 1920x1200, 가장 낮음, FSR 균형, 프레임 생성 

 

 

 

3840x2400의 고해상도와 400니트 밝기의 OLED

 

DSC06553.JPG

 

MSI 프레스티지 시리즈는 고급형 노트북을 목표로 하는 제품입니다. 전원을 켜기 전에는 메탈 케이스를 두른 우아한 디자인을 보고 고급형이라 여기겠지만, 전원을 켜고 난 뒤에는 '고급형'이라는 수식어의 대상은 화면으로 옮겨가게 됩니다. 여기에 탑재된 16인치 크기의 대형 OLED 화면은 3840x2400의 초 고해상도로 화면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400니트의 높은 밝기와 DCI-P3 100%에 달하는 넓은 색영역을 제공합니다. 그래서 넓은 작업 공간, 높은 그래픽 묘사, 야외에서도 쓰는데 불편함이 없는 밝은 화면, 정확한 색 표현이 꼭 필요한 그래픽이나 디자인 작업도 충분히 해낼 수 있습니다. 게이밍 노트북이 아니니 주사율은 기본인 60Hz이지만, 시야각은 상하좌우 어떤 각도로던 178도까지 표시해 180도로 열리는 힌지와도 매우 잘 어울립니다.  

 

 

60Hz 게임 테스트, 60Hz UFO 테스트, 프레임 스킵, 티어링, VRR 테스트 영상.

 

Cap 2025-02-10 11-01-17-023.png

 

3840x2400 60Hz 표시가 가능한 노트북 내장 디스플레이, HDMI 포트나 USB-C 포트의 DP Alt 모드를 사용해서도 4K 이상의 고해상도 출력이 가능합니다.

 

DSC06533.JPG

 

3840x2400의 고해상도.

 

P3090923.JPG

 

픽셀 구성. OLED 특유의 배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SC06530.JPG

 

좌우 시야각 178도

 

DSC06531.JPG

 

상하 시야각 178도

 

DSC06537.JPG

 

명암 표현

 

DSC06538.JPG

 

색상 표현

 

DSC06534.JPG

 

사진 표시

 

DSC06535.JPG

 

영상 재생

 

Cap 2025-02-12 07-23-34-987.jpg

스파이더에서 측정한 색 영역은 sRGB 100%, P3도 100%, 어도비 RGB는 95%를 기록했습니다. 색 영역이 넓은 OLED다운 표현입니다.

 

Cap 2025-02-12 07-23-42-447.png

 

감마는 표준과 일치하는 2.2

 

Cap 2025-02-12 07-23-48-842.png

 

밝기는 공식 스펙인 400니트에 근접한 375를 기록했습니다. OLED라서 대비는 제대로 인식하질 못했네요.

 

Cap 2025-02-12 07-23-59-810.png

 

색상 밝기 균일성 100%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2-12 07-24-03-984.png

 

색상 밝기 균일성 83%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2-12 07-24-07-630.png

 

색상 밝기 균일성 67%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2-12 07-24-12-704.png

 

색상 밝기 균일성 50%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2-12 07-24-16-630.png

 

광도 밝기 균일성 100%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2-12 07-24-22-487.png

 

광도 밝기 균일성 83%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2-12 07-24-26-954.png

 

광도 밝기 균일성 67%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2-12 07-24-33-302.png

 

광도 밝기 균일성 50%에서 화면 표현

 

Cap 2025-02-12 07-24-39-552.png

 

색상 정확도는 평균도 아닌 최대가 1.58의 매우 정확한 값을 보여주었습니다. 디자이너와 전문가를 위한 고급 모니터가 평균 델타E 2 미만이라고 강조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매우 우수한 값입니다. 

 

 

올 데이 컴퓨팅이 가능한 배터리, 100W PD 충전

 

DSC06550.JPG

 

화면 밝기를 최대한으로 올리고,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최고 성능 모드로 설정해서도 8시간이 넘도록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었습니다. 밝기와 성능 모드 등을 조절한다면 MSI 주장대로 13시간 사용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 보입니다. 충전은 USB-PD를 사용하며 배터리 잔량이 20~80% 사이일 때는 최대 100W를 공급합니다. 그 외에는 배터리 수명을 보호하기 위해 출력을 자동으로 조절합니다. 번들 제공하는 MSI PD 충전기를 권장한다고는 하지만, 개인적으로 보유하는 고속 충전기와 케이블에서도 100W 충전에는 아무 문제가 없었으며, 2개의 썬더볼트4 USB-C 포트 모두에서 차별 없이 100W 충전이 가능했습니다.

 

전력 사용량은 시네벤치 멀티코어나 3D마크, 게임 플레이처럼 시스템의 모든 자원을 끌어 쓰는 상황에서도 90W가 되지 않았습니다. 16인치 UHD+ 400니트 OLED까지 포함된 시스템 전체 전력 사용량임을 감안하면 상당히 효율적인 편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또 모든 작업이 라이젠 AI 9 365 프로세서에 집중됐음에도 불구하고 2개의 쿨링팬을 함께 굴리는 설계 덕분에, 최고 온도는 73도, 소음도 46dB에 그쳤습니다. 그래서 노트북을 오랫동안 사용해도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Cap 2025-02-21 08-24-39-961.png

 

시스템 전체 전력 사용량

 

DSC06300.JPG

 

PD 충전기에서 최대 100W의 전력 공급이 가능합니다. 

 

Cap 2025-02-21 08-25-53-931.png

 

배터리 사용/충전 시간. 밝기 100%에 고성능 모드에서도 8시간 이상 사용이 가능하며, 80% 충전은 1시간이 채 걸리지 않습니다. 

 

 

Cap 2025-02-21 08-26-39-579.png

 

각종 환경에서의 온도

 

WZLS8757.JPG

 

노트북 표면 온도. 키보드와 화면 사이의 배기구 온도가 가장 높고, 나머지는 30도 중반 정도입니다.

 

Cap 2025-02-21 08-28-06-176.png

 

30cm 거리에서 측정한 소음 

 

Cap 2025-02-21 08-27-20-461.png

 

30cm 거리에서 측정한 스피커 출력

 

Cap 2025-02-10 15-11-36-904.png

 

기본 탑재된 NVMe M.2 SSD의 성능. 순차 읽기 7GB/s, 순차 쓰기 6GB/s의 PCIe 4.0 SSD입니다.

 

 

Cap 2025-02-10 16-27-39-112.png

 

 

더티 테스트에서는 캐시 영역을 소진하는 81%부터 성능 하락이 보이긴 하지만, 낮은 속도를 계속해서 유지하는 게 아니라 3000MB/s대로 계속해서 올라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최고의 인터페이스 썬더볼트 4. 더욱 간단해진 MSI 센터 S

 

DSC06559.JPG

 

확장성과 부가 기능도 우수합니다. 썬더볼트 4 포트의 빠른 속도와 다재다능함은 더 말할 필요도 없겠죠. 2개의 썬더볼트 포트와 1개의 HDMI 포트를 동원해 3개의 외부 디스플레이에 출력 가능하며, 마이크로 SD 슬롯이 있어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바로 옮길 수 있습니다. 여기에 5.8Gbps의 속도를 내는 고속 네트워크인 Wi-Fi 7을 지원합니다. 화면 상단의 웹캠은 프라이버시 셔터 외에도 어두운 곳에서 노이즈를 줄여주는 ALS 센서를, 3개의 공간 어레이 마이크를 동원해 선명한 음질을 포착합니다. 2개의 스테레오 스피커는 DTS 오디오와 Hi-Res 오디오를 지원해, 고해상도 음원의 풍부함을 그대로 재생해 줍니다. 

 

바이오스에서는 기본적인 설정만 가능하며, 절대 다수의 기능 설정은 번들 프로그램인 MSI 센터에 맡겼다는 점은 지금까지의 MSI 제품과 같습니다. 하지만 이번 세대부터는 더욱 간단해진 MSI 센터 S를 사용합니다. MSI 센터는 모듈식 구성을 제공해 원하는 기능만 골라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건 MSI 메인보드에 여러 MSI 제품들을 조립해서 사용할 경우에 그 장점이 극대화되는 것이고요. 출고 상태 그대로 사용하게 되는 노트북에서는 굳이 모듈식 설계를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한 장의 페이지에서 모든 설정이 가능한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MSI 센터 S로 업그레이드해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구성은 간단해졌지만 노트북의 기능과 성능 설정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제공한다는 점은 예전과 같습니다. 

 

bios.gif

 

바이오스 설정

 

d1.gif

 

NPU, PSP, 플루톤 보안 프로세서, TPM 2.0

 

d2.gif

 

퀄컴 패스트커넥트 7800 Wi-Fi 7 무선 랜과 블루투스 어댑터, 풀HD 카메라와 적외선 카메라  

 

d3.gif

 

PCIe 카드 리더기, 지문 센서, USB4 포트

 

GIF.gif

 

키보드 동시 입력

 

sound.gif

 

사운드 설정

 

rts.gif

 

DTS 오디오 설정

 

Cap 2025-02-11 05-32-46-130.jpg

 

한 화면 안에서 모든 설정을 끝내는 MSI 센터 S

 

Cap 2025-02-11 05-33-26-263.jpg

 

성능 프리셋과 AI 최적화 설정, 하드웨어 모니터를 한 화면에서 처리합니다. 왼쪽에는 USB 전원과 배터리 충전 설정, 최대 절전 모드 등을 설정합니다.

 

Cap 2025-02-11 05-33-00-082.png

 

시스템 정보

 

Cap 2025-02-11 05-33-07-692.png

 

하드웨어 모니터링

 

Cap 2025-02-11 05-33-22-111.png

 

고급 설정

 

Cap 2025-02-11 05-33-30-093.jpg

 

AI 존에서는 AI 노이즈 캔슬링, 스튜디오 이펙트, AI 팬 관리자, 밝기 조정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Cap 2025-02-11 05-34-40-148.jpg

 

카메라의 노이즈 보정과 특수 효과

 

Cap 2025-02-11 05-35-00-684.jpg

 

AI 랜 관리자

 

Cap 2025-02-11 05-35-11-950.jpg

 

실시간 업데이트와 복구, 지원, 제품 등록

 

Cap 2025-02-11 05-35-17-785.jpg

 

복구 드라이브 제작

 

Cap 2025-02-11 05-35-30-896.jpg

 

제품 지원

 

Cap 2025-02-11 05-35-36-755.jpg

 

제품 등록 

 

 

Cap 2025-02-11 05-35-44-462.jpg

 

MSI 센터 S의 설정.

 

 


MSI 프레스티지 A16 AI+ A3HMG-R9 WIN11

 

DSC06560.JPG

 

MSI의 프리미엄 비즈니스 노트북인 프레스티지 시리즈에 AMD의 최신 고성능 고효율 AI 프로세서인 라이젠 AI 9 365가 탑재됐습니다. 전력 사용량과 온도는 낮지만 전 세대 하이엔드 프로세서에 필적하는 높은 성능을 제공하며, AI 시대에 맞춰서 코파일럿+ PC의 기준을 넘어서는 NPU를 탑재했습니다. 라데온 880M은 내장 그래픽 명가 AMD답게, 화면 표시가 전부가 아니라 정말 게임 플레이가 가능한 3D 그래픽 성능을 제공하지요. 여기에 MSI 프레스티지 시리즈만의 특징인 고급스러운 메탈 바디 안에 고해상도/높은 밝기/넓은 색영역의 3박자를 두루 갖춘 고품질 OLED를 탑재해고, 썬더볼트4와 Wi-Fi 7을 비롯한 고속 인터페이스와 대용량 배터리를 제공합니다. AI를 대비하는 고효율 프로세서와 넓은 작업 공간, 뛰어난 화질을 갖춘 비즈니스 노트북으로 추천할 만한 제품입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1.4인치 센서 탑재, 캐논 파워샷 V1 발표
세계에서 가장 얇은 폴더블 폰, 오포 파인드 N5
스팀 평가 매우 긍정적. 퍼스트 버서커: 카잔에 어울리는 AMD 시스템
꽉 찬 육각형 게이밍 모니터. MSI MAG 32CQ6F 게이밍 WQHD 180 HDR400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리뷰] 의외로 재미와 섬세한 콘텐츠의 조합 '마비노기 모바일' 게임동아
쿨링에 진심, 마이크로닉스 WIZMAX ML-360 WIDE BTF 케이벤치
광활한 21:9 화면 비율로 게임 승률이 올라간다! [프리미엄 리포터V] 동영상 있음 다나와
잘 팔리니 바로 태세 전환! 기아 또 왜 이러나?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미국에서 유행하는 Z세대의 콜라 ‘올리팝’ 마시즘
RX9070XT는 RTX5070을 넘을 수 있을까? ASUS PRIME 라데온 RX 9070 XT OC D6 16GB 동영상 있음 보드나라
LCD 모듈 추가된 올인원 수랭 쿨러, 잘만 알파 II DS A36 화이트 보드나라
든든한 엔트리급 메인보드, ASUS H810M AYW GAMING WIFI 코잇 케이벤치
출시되자마자 품절대란;; LG 스탠바이미2 극한 사용기 동영상 있음 THE EDIT
국내 최초 AMD Ryzen AI 7 350 크라켄포인트 노트북 입수! 레노버 아이디어패드 슬림5 성능은?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먹는 스프레이, 갓김치 김밥, 급식대가~ 4월 첫째 주 편의점 신제품 리뷰 동영상 있음 맛상무
31밴드 하드웨어 EQ의 손맛! 주파수를 내맘대로 만져보자! (feat. dbx 231s) 동영상 있음 Producer dk
출시 전 미리 살펴봤습니다! AMD 크라켄포인트 LG 그램 (퍼포먼스, 전성비, 발열, 배터리 췤!) 동영상 있음 라이브렉스
망원 2억 화소요..? 카메라에 스마트폰을 집어 넣어버린 샤오미 15 울트라 언박싱! (사진 진짜 예쁘게 찍힘!) 동영상 있음 주연 ZUYONI
인체공학 끝판왕? 에르고휴먼 H2 컴포트 I 100만 원짜리 의자, 허리 살릴 수 있을까? 새로운 데스크셋업 동영상 있음 톡써니
5090 나와! 두 개 나와! MSI MEG AI1600T PCIe 5.0 기글하드웨어
DLSS4를 통해 더 높아진 프레임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70 BLACK OC D7 12GB’ 미디어픽
DLSS4를 통해 더 높아진 프레임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70 BLACK OC D7 12GB’ 미디어픽
하이엔드PC를 위한 필수품 '마이크로닉스 WIZMAX ML-360 WIDE BTF' 미디어픽
하이엔드PC를 위한 필수품 '마이크로닉스 WIZMAX ML-360 WIDE BTF' 미디어픽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