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70Ti급 성능을 70 가격에. AMD 라데온 RX 9070 시리즈

2025.03.06. 11:19:26
조회 수
418
4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DSC06665.JPG

 

 

AMD가 RDNA4 아키텍처를 처음으로 적용한 그래픽카드, 라데온 RX 9000 시리즈를 출시했습니다. 참 오래 기다렸습니다. CES 2025에서 경쟁 상대가 메인스트림 급인 지포스 RTX 5070이 전 세대 플래그쉽인 지포스 RTX 4090 이상의 성능을 낸다는 충격적인 발표를 했을 때 AMD는 뭘 하고 있었던가요? 인텔을 확실하게 제친 CPU에 집중하고 그래픽카드를 언급조차 하지 않아, 이제는 GPU에 흥미를 잃어버린게 아닌가 걱정하게 만들었고요. 그 후에는 새로운 아키텍처에서 무엇이 바뀌는지를 설명하는 게 아니라, 난데없이 제품 번호를 바꾼다는 소식을 내놓으면서 혼란스러운 분위기를 더했습니다. 그 후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지포스가 5090부터 시작해서 5070 Ti까지 차곡차곡 내놓을 동안 뭐라도 확실하게 말을 해 준 것도 아니고요. 5070이랑 앞서거니 뒷서거니 하면서 발표와 출시를 연기한다는 소문만 파다하고, 심지어 아담하고 예쁜 레퍼런스 모델은 팔지 않는다는 말에 이어서 가격은 끝까지 공개를 하지 않았으니 불안, 불신, 불만이 계속해서 쌓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라데온 RX 9070 시리즈가 발표되면서 분위기가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여전히 혁신적이지만 컨슈머용 그래픽카드보다는 데이터센터용 연산 가속에 훨씬 잘 어울릴 칩렛 설계는 일단 내려두고 다시 모놀리식 싱글 다이 방식으로 돌아왔고요. 새로운 연산 유닛 구성과 미디어 엔진의 확장, FSR4를 도입했습니다. 또 시대의 흐름에 맞춰서 AI 성능을 보강한 2세대 AI 가속기를 탑재하고, 그 동안 AMD의 약점으로 취급됐던 레이 트레이싱도 3세대 레이 트레이싱 가속기로 출력을 늘렸습니다. 결정적으로 라데온 RX 9070 시리즈라는 이름을 붙이면서 성능과 가격 모두 지포스 RTX 5070 시리즈에 맞출 거라는 짐작을 깨고, 지포스 RTX 5070 Ti와 경쟁할 만한 성능을 내면서 가격은 훨씬 저렴한 549달러와 599달러라고 발표하면서, 그 동안 비싼 그래픽카드를 강요당하던 게이머들의 환호를 이끌어 냈습니다. 이제 남은 건 3가지입니다. 시장에서 AMD의 발표대로 가격이 형성될 것인가? 발표는 했는데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질 것인가? 마지막으로 AMD가 주장한 대로의 성능을 낼 수 있을까?

 

 

레퍼런스 기준 스펙 비교

 

DSC06664.JPG

 

제품명 AMD 라데온 RX 7900 GRE AMD 라데온 RX 9070 AMD 라데온 RX 9070 XT
제품명 나비 31 나비 48XL  나비 48XT
아키텍처 RDNA3 RDNA4
제조 공정 5nm GCD + 6nm MCD TSMC N4C(5nm)
트랜지스터 수 539억 개 539억 개
다이 크기 GCD 300제곱mm
MCD 220제곱mm
357제곱mm
컴퓨트 유닛 80 56 64
레이 엑셀레이터 80(2세대) 56(3세대) 64(3세대)
AI 엑셀레이터 160(1세대) 112(2세대) 128(2세대)
스트림 프로세서 5120 3584 4096 
게임 GPU 클럭 1880MHz 2070MHz  2400MHz 
부스트 GPU 클럭 2245MHz 2520MHz  2970MHz
최대 단정밀도 성능(FP32) 45.98TFLOPS 36.13TFLOPS 48.66TFLOPS  
최대 반정밀도 성능(FP16) 91.96TFLOPS 72.25TFLOPS  97.32TFLOPS 
최대 텍스처 필레이트 718.4GT/s 564.5GT/s 760.3GT/s
ROP 160 128
최대 픽셀 필레이트 359.2GP/s 322.6GP/s 380.2GP/s 
캐시 L2 6MB, L3 64MB L2 8MB, L3 64MB
메모리 16GB GDDR6 16GB GDDR6
메모리 속도 18Gbps  20Gbps
메모리 대역 576GB/s 644.6GB/s
메모리 버스 256비트 256비트
PCI 인터페이스 PCIe 4.0 x16 PCIe 5.0 x16
보조 전원 8핀 2개 8핀 2개  
TBP 260W 220W 304W
가격(MSRP) 549달러   549달러 599달러

 

 

XFX 라데온 RX 9070 시리즈

 

DSC06666.JPG

 

사람들이 라데온 RX 9070 시리즈에 갖고 있는 가장 큰 불만은 레퍼런스 모델의 부재라고 감히 말해봅니다. 그렇다고 오해는 하지 마세요. 파트너 제조사들이 만든 라데온 RX 9070도 좋은 그래픽카드거든요. 모든 라데온 RX 9070 시리즈를 다 써 본 건 아니지만, 최소한 이번 테스트에서 썼던 XFX 제품은 좋은 그래픽카드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티저 이미지에서 멋진 레퍼런스 그래픽카드를 그려놓고, 정작 출시로 이어지지 않은 건 아쉬운 일이긴 합니다. 그 이유야 어찌됐건 말이죠. 

 

인심 좋은 AMD는 라데온 RX 9070 XT와 라데온 RX 9070을 모두 보냈습니다. 솔직히 말하면요. 박스가 똑같고 글자만 다르길래, 그래픽카드 사진은 한 번만 찍고 재탕해도 될 거라는 글러먹은 생각을 아주 잠깐 했습니다. 하지만 박스를 열어보니 완전히 다르게 생기고, 완전히 다른 색상의 그래픽카드 2장이 나와서, 몹시 성실하게도 그래픽카드 사진은 2장 다 찍었습니다. 

 

DSC06663.JPG

 

라데온 RX 9070 XT는 XFX 머큐리 시리즈의 블랙 모델입니다. 3개의 8핀 보조전원을 사용하며 그래픽카드 측면에는 라데온과 XFX 로고가 새겨진 대형 RGB LED 바가 있습니다. 이 RGB LED 바는 ARGB LED 케이블을 메인보드나 컨트롤러 보드에 직접 연결해서 LED를 따로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라데온 RX 9070은 XFX 스위프트 시리즈의 화이트 모델입니다. 머큐리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간단한 LED가 달려 있는데요. 끝 부분의 XFX 로고에만 화이트 LED가 켜집니다. 둘 다 바이오스 전환 스위치로 고성능 모드나 저소음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나, 고성능 모드에서도 충분히 조용하고 낮은 온도를 보여주었습니다. 

 

둘 다 3개의 대형 쿨링팬과 백플레이트를 장착해 뛰어어난 쿨링 성능을 제공합니다. 쿨러 크기에 비해 기판은 작은 편이라, 기판이 없는 백플레이트 끝 부분에는 공기 흐름을 도와주도록 큰 통풍구를 뚫었습니다. 테스트를 해 보니 라데온 RX 9070 시리즈 정도 되는 모델에서 굳이 3팬 쿨러를 썼을 필요가 있을까 궁금증이 들기도 하더라고요. 하이엔드 그래픽카드니까 당연히 트리플 팬을 달아야 게이머들을 만족시킬 수 있을 거라고 판단한 이유는 납득이 되지만, 잘 만든 2팬 쿨러로도 온도와 소음 관리에는 문제가 없었을거란 생각도 듭니다. 앞으로 다양한 그래픽카드 파트너들이 2팬 모델을 출시하길 기대해 봅니다.

 

DSC06606.JPG

 

DSC06607.JPG

 

 

XFX 라데온 RX 9070 시리즈의 박스

 

DSC06660.JPG

DSC06658.JPG

 

DSC06659.JPG

 

XFX 라데온 RX 9070 시리즈의 크기 비교.

 

DSC06667.JPG

 

XFX 라데온 RX 9070 XT 머큐리 블랙입니다.

자세히 보기

DSC06609.JPG

 

박스 내부

 

DSC06611.JPG

 

ARGB LED 케이블과 그래픽카드 지지대를 줍니다.

 

DSC06610.JPG

 

지지대는 길이를 95mm까지 늘릴 수 있습니다.  

 

DSC06612.JPG

 

바닥 부분은 자석입니다.

 

DSC06613.JPG

 

그래픽카드의 비닐 포장

 

DSC06614.JPG

 

포트와 슬롯의 보호 캡

 

DSC06625.JPG

 

XFX 라데온 RX 9070 XT 머큐리 블랙

 

DSC06629.JPG

 

길이. 350mm에 육박하는 대형 카드입니다.

 

DSC06630.JPG

 

높이. 대형 쿨링팬을 사용해서 높이도 꽤 되는 편입니다. 

 

DSC06631.JPG

 

두께. 차지하는 공간만 3슬롯이니 원활한 쿨링을 위해서는 최소 3.5슬롯은 비워놔야 합니다.

 

DSC06628.JPG

 

무게는 1.6kg

 

DSC06623.JPG

 

전면

 

DSC06624.JPG

 

뒷면

 

DSC06621.JPG

 

 

DSC06619.JPG

 

아래

 

DSC06620.JPG

 

출력 포트

 

DSC06622.JPG

 

뒷부분

 

DSC06637.JPG

 

전면의 쿨링팬. 날개 테두리를 고리로 감싸 풍량과 효율을 높였습니다. 

 

 

DSC06633.JPG

 

DSC06634.JPG

 

DSC06635.JPG

 

팬은 3개 모두 똑같이 100mm 구경입니다.

 

DSC06640.JPG

 

백플레이트 끝부분엔 바람이 통하도록 큰 구멍을 뚫었습니다.

 

DSC06641.JPG

 

 

8핀 보조전원은 3개를 사용합니다. 이건 비레퍼라 그렇고, 레퍼런스를 준수하는 모델은 8핀 보조전원 2개면 됩니다.

 

DSC07108.JPG

 

입출력 단자 가까이에 바이오스 전환 스위치와 RGB LED 케이블 단자가 있습니다.

 

 

DSC06668.JPG

 

XFX 라데온 RX 9070 스위프트 화이트입니다.

자세히 보기

 

DSC06616.JPG

 

박스 내부

 

DSC06617.JPG

 

하얀색 그래픽카드라 그런가 포장재도 하얀색입니다.

 

DSC06618.JPG

 

슬롯과 포트의 보호 캡.

 

DSC06656.JPG

 

XFX 라데온 RX 9070 스위프트 화이트

 

DSC06653.JPG

 

길이는 300mm가 조금 넘지만

 

DSC06654.JPG

 

대구경 팬을 사용해서 높이는 마찬가지로 높고요

 

DSC06655.JPG

 

두께는 3슬롯입니다.

 

DSC06646.JPG

 

전면

 

DSC06647.JPG

 

뒷면

 

DSC06644.JPG

 

 

DSC06642.JPG

 

아래

 

 

DSC06643.JPG

 

출력 포트

 

DSC06645.JPG

 

끝 부분

 

DSC06650.JPG

 

DSC06651.JPG

 

DSC06652.JPG

 

3개의 100mm 대구경 팬 탑재

 

DSC06648.JPG

 

백플레이트 끝 부분에는 큰 구멍을 뚫어 공기 흐름을 돕습니다.

 

DSC06649.JPG

 

보조전원은 8핀 2개를 사용합니다.

 

DSC07107.JPG

 

출력 포트 옆에는 바이오스 전환 스위치가 있습니다. 

 

 

테스트 환경 소개

 

라데온 RX 9070 시리즈를 비롯한 RDNA4 아키텍처의 설명에 대해서는 이 글을 참고하세요.

AMD, RDNA4 아키텍처의 라데온 RX 9000 시리즈 발표 https://gigglehd.com/gg/17148704

 

DSC06872.JPG

 

9070xt.png

 

XFX 라데온 RX 9070 XT 머큐리  

 

DSC06867.JPG

 

9070.png

 

XFX 라데온 RX 9070 스위프트 

 

Cap 2025-02-25 20-26-38-554.png

 

AMD 라이젠 7 9800X3D https://gigglehd.com/gg/16668422

 

Cap 2025-02-25 20-26-39-888.png

 

MSI MPG X870E 카본 WiFi https://gigglehd.com/gg/16796772

 

Cap 2025-02-25 20-26-41-122.png

  

DDR5-6000 32GB 듀얼채널 

 

DSC06874.JPG

 

MSI MEG 코어리퀴드 S360 https://gigglehd.com/gg/11407122           

MSI MEG Ai1300P PCIE5 80PLUS PLATINUM https://gigglehd.com/gg/13318499      

운영체제: PCIe M.2 SSD, 게임 저장: SATA 6Gbps SSD
윈도우 11 24H2   

 

비교용 제품들

자세히 보기

 

5080.png

 

PALIT 지포스 RTX 5080 GAMINGPRO D7 16GB 이엠텍 https://gigglehd.com/gg/17067988

 

5070ti.png

 

MSI 지포스 RTX 5070 Ti 게이밍 트리오 OC 플러스 D7 16GB 트라이프로져4 (리뷰 예정)

 

5070.png

 

MSI 지포스 RTX 5070 게이밍 트리오 OC D7 16GB 트라이프로져4 https://gigglehd.com/gg/17169700

 

4070tis.png

 

MSI 지포스 RTX 4070 Ti SUPER 벤투스 3X OC D6X 16GB https://gigglehd.com/gg/15503759

 

7900gre.png

 

AMD 라데온 RX 7900 GRE https://gigglehd.com/gg/15623571

 

 

그냥 성능: 월등한 가성비

 

라데온 RX 9070 시리즈의 성능은 이미 크게 스포일러 당한지 오래입니다. 지난주에 있었던 공식 발표에서 보여준 차트 이야기를 하는 게 아닙니다. 나름대로 역사와 전통을 지닌 라데온 시리즈의 모델 넘버를 바꾼다고, 그것도 첫 모델이 9070 시리즈가 된다고 했을 때부터 다들 대충 짐작은 하고 있었을 겁니다. 아, 이 녀석은 대충 지포스 RTX 5070 시리즈와 함께 놀겠구나라고요. 5080 급이었다면 9080이 됐겠지 9070이라고 내놓을 리가 없잖아요? 지난주의 성능 발표에서도 AMD가 아주 많은 그래프를 공개한 것은 아니지만 4K 울트라 셋팅에서 지포스 RTX 5070 Ti와 라데온 RX 9070 XT의 성능을 직접적으로 비교하면서, 새 라데온 그래픽카드의 상대가 누구인지를 명확히 했습니다. 그럼 실제로는 어떨까요? AMD는 거짓말을 하지 않았습니다.

 

모든 게임/조건에서 다 그렇다고 단정짓진 않겠지만, 라데온 RX 9070은 지포스 RTX 5070을 상대로 확실한 우위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수의 게임에서는 지포스 RTX 5070 Ti와 비교해도 뒤쳐지지 않는 성능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라데온 RX 9070이 그 정도인데 라데온 RX 9070 XT는 더 말할 것도 없겠죠. 지포스 RTX 5080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지포스 RTX 5070 Ti와 비교하면 성능으로는 지지 않습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가격입니다. 라데온 RX 9070 XT가 599달러인데 지포스 RTX 5070 Ti는 749달러고요. 그나마도 지포스 RTX 5070 Ti는 없어서 못 사고 웃돈이 잔뜩 붙어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라데온 RX 9070 시리즈가 정가대로 넉넉한 양이 공급된다면, 굳이 지포스 RTX 50 시리즈를 살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3D마크

자세히 보기

Cap 2025-03-05 13-12-58-060.png

 

스피드웨이

 

Cap 2025-03-05 13-13-10-156.png

 

스틸 노매드

 

Cap 2025-03-05 13-14-03-860.png

 

스틸 노매드 라이트

 

Cap 2025-03-05 13-14-14-304.png

 

포트 로얄

 

Cap 2025-03-05 13-14-24-454.png

 

솔라 베이

 

Cap 2025-03-05 13-14-35-454.png

 

타임 스파이 익스트림

 

Cap 2025-03-05 13-14-43-084.png

 

타임 스파이

 

Cap 2025-03-05 13-15-33-934.png

 

파이어 스트라이크 울트라

 

Cap 2025-03-05 13-15-44-508.png

 

파이어 스트라이크 익스트림

 

Cap 2025-03-05 13-15-56-442.png

 

파이어 스트라이크

 

 

 

1920x1080

자세히 보기

Cap 2025-03-05 13-17-02-386.png

 

검은 신화: 오공 

 

Cap 2025-03-05 13-17-48-724.png

 

마블 라이벌즈

 

Cap 2025-03-05 13-18-04-054.png

 

퍼스트 디센던트

 

Cap 2025-03-05 13-18-32-614.png

 

프로스트펑크 2

 

Cap 2025-03-05 13-19-18-154.png

 

호그와트 레거시

 

Cap 2025-03-05 13-19-47-556.png

 

발더스 게이트 3

 

Cap 2025-03-05 13-20-16-023.png

 

사이버펑크 2077

 

Cap 2025-03-05 13-21-12-456.png

 

F1 22

 

Cap 2025-03-05 13-21-32-803.png

 

고스트 오브 쓰시마

 

Cap 2025-03-05 13-21-51-833.png

 

호라이즌 제로 던

 

Cap 2025-03-05 13-22-34-105.png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1

 

Cap 2025-03-05 13-24-07-933.png

 

몬스터 헌터 와일즈 

 

Cap 2025-03-05 13-24-30-903.png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

 

Cap 2025-03-05 13-24-51-533.png

 

워해머 40K: 스페이스 마린 2

 

Cap 2025-03-05 13-25-14-633.png

 

아바타: 프론티어 오브 판도라

 

Cap 2025-03-05 13-25-33-733.png

 

어새신 크리드: 미라지

 

Cap 2025-03-05 13-25-50-770.png

 

디아블로 4

 

Cap 2025-03-05 13-26-43-883.png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Cap 2025-03-05 13-27-04-603.png

 

레드 데드 리뎀션 2

 

2560x1440

자세히 보기

Cap 2025-03-05 13-27-45-383.png

 

검은 신화: 오공

 

Cap 2025-03-05 13-28-23-518.png

 

마블 라이벌즈

 

Cap 2025-03-05 13-28-36-717.png

 

퍼스트 디센던트

 

Cap 2025-03-05 13-29-12-163.png

 

프로스트펑크 2

 

Cap 2025-03-05 13-30-13-393.png

 

호그와트 레거시

 

Cap 2025-03-05 13-30-45-113.png

 

발더스 게이트 3

 

Cap 2025-03-05 13-31-04-823.png

 

사이버펑크 2077

 

Cap 2025-03-05 13-32-02-875.png

 

F1 22

 

Cap 2025-03-05 13-32-25-265.png

 

고스트 오브 쓰시마

 

Cap 2025-03-05 13-32-43-232.png

 

호라이즌 제로 던

 

Cap 2025-03-05 13-34-14-113.png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1

 

Cap 2025-03-05 13-35-29-812.png

 

몬스터 헌터 와일즈

 

Cap 2025-03-05 13-36-05-880.png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

 

Cap 2025-03-05 13-36-37-113.png

 

워해머 40K: 스페이스 마린 2

 

Cap 2025-03-05 13-36-57-422.png

 

아바타: 프론티어 오브 판도라

 

Cap 2025-03-05 13-37-13-972.png

 

어새신 크리드: 미라지

 

Cap 2025-03-05 13-37-43-322.png

 

디아블로 4

 

Cap 2025-03-05 13-39-41-542.png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Cap 2025-03-05 13-40-02-444.png

 

레드 데드 리뎀션 2

 

3840x2160

자세히 보기

Cap 2025-03-05 13-40-19-103.png

 

검은 신화: 오공

 

Cap 2025-03-05 13-40-52-123.png

 

마블 라이벌즈

 

Cap 2025-03-05 13-41-03-861.png

 

퍼스트 디센던트

 

Cap 2025-03-05 14-05-37-728.png

 

발더스 게이트 3

 

Cap 2025-03-05 13-41-39-943.png

 

호그와트 레거시

 

Cap 2025-03-05 13-42-38-108.png

 

사이버펑크 2077

 

Cap 2025-03-05 13-45-18-906.png

 

F1 22

 

Cap 2025-03-05 13-46-04-473.png

 

고스트 오브 쓰시마

 

Cap 2025-03-05 13-46-28-806.png

 

호라이즌 제로 던

 

Cap 2025-03-05 13-47-58-806.png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1

 

Cap 2025-03-05 13-48-37-870.png

 

몬스터 헌터 와일즈

 

Cap 2025-03-05 13-49-24-335.png

 

쉐도우 오브 더 툼레이더

 

Cap 2025-03-05 13-49-45-595.png

 

워해머 40K: 스페이스 마린 2

 

Cap 2025-03-05 13-50-08-965.png

 

아바타: 프론티어 오브 판도라

 

Cap 2025-03-05 13-50-59-104.png

 

어새신 크리드: 미라지

 

Cap 2025-03-05 13-51-19-854.png

 

디아블로 4

 

Cap 2025-03-05 13-52-01-670.png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Cap 2025-03-05 13-52-16-070.png

 

레드 데드 리뎀션 2

 

 

레이 트레이싱: 성공적인 변화 

 

AMD 그래픽카드는 괜찮은 성능을 보여주다가도 레이 트레이싱에서는 유독 약한 모습을 보여주곤 했습니다. 그래서 CU당 레이 트레이싱 출력을 2배로 늘렸다는 3세대 레이 트레이싱 가속기를 탑재한 라데온 RX 9000 시리즈의 RDNA4 아키텍처에 기대를 하지 않을 수가 없는데요. 정말 전 세대보다는 확연하게 달라진 레이 트레이싱 성능을 볼 수 있었습니다. 경쟁 상대인 지포스 RTX 5070 시리즈를 찍어 누른다고 할 정도는 아닙니다. 여전히 레이 트레이싱은 NVIDIA의 손을 들어조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비교가 가능한 수준이고요. 레이 트레이싱만 켰다 하면 성능이 크게 떨어지고, 특정 환경에서는 정상적인 게임조차 불가능했던 전 세대와 비교하면 이제서야 레이 트레이싱을 제대로 지원한다고 떳떳하게 말할 수 있습니다.

 

1920x1080

자세히 보기

Cap 2025-03-05 13-17-35-984.png

 

검은 신화: 오공

 

Cap 2025-03-05 13-18-17-534.png

 

퍼스트 디센던트

 

Cap 2025-03-05 13-19-33-484.png

 

호그와트 레거시

 

Cap 2025-03-05 13-20-31-872.png

 

사이버펑크 2077: 울트라

 

Cap 2025-03-05 13-20-48-774.png

 

사이버펑크 2077: 오버드라이브

 

Cap 2025-03-05 13-23-44-713.png

 

몬스터 헌터 와일즈

 

Cap 2025-03-05 13-26-11-769.png

 

디아블로 4

 

2560x1440

자세히 보기

Cap 2025-03-05 13-28-06-993.png

 

검은 신화: 오공

 

Cap 2025-03-05 13-28-55-252.png

 

퍼스트 디센던트

 

Cap 2025-03-05 13-30-29-783.png

 

호그와트 레거시

 

Cap 2025-03-05 13-31-21-343.png

 

사이버펑크 2077: 울트라

 

Cap 2025-03-05 13-31-43-783.png

 

사이버펑크 2077: 오버드라이브

 

Cap 2025-03-05 13-35-46-072.png

 

몬스터 헌터 와일즈

 

Cap 2025-03-05 13-38-04-052.png

 

디아블로 4

 

3840x2160

자세히 보기

Cap 2025-03-05 13-40-35-608.png

 

검은 신화: 오공

 

Cap 2025-03-05 13-55-40-415.png

퍼스트 디센던트

 

Cap 2025-03-05 13-41-56-242.png

 

호그와트 레거시

 

Cap 2025-03-05 13-43-23-835.png

 

사이버펑크 2077: 울트라 

 

Cap 2025-03-05 13-43-45-425.png

 

사이버펑크 2077: 오버드라이브

 

Cap 2025-03-05 13-49-03-687.png

 

몬스터 헌터 와일즈

 

Cap 2025-03-05 13-51-39-054.png

 

디아블로 4

 

 

FSR4: 화질과 편의성 

 

NVIDIA는 DLSS4에서 멀티 프레임 생성이라는 기술을 도입, 프레임 생성을 3배, 4배로 뻥튀기했습니다. 또 트랜스포머 모델이라는 새로운 AI 모델을 도입해서 화질도 높였고요. AMD도 FSR4에서 여러 변화가 있었음을 강조하고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꼽은 것이 AMD RDNA4 아키텍처에 맞춰 개발하고, 높은 품질과 낮은 레이턴시, 그리고 FSR 3.1에서 쉬운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는 내용입니다. 저 쉬운 업그레이드라는 건 말 그대로입니다. FSR4를 적용 가능한 게임의 경우, 라데온 RX 9000 시리즈를 장착한 시스템에서 드라이버의 FSR4 옵션을 켜면 바로 쓸 수 있거든요. 아직까지는 모든 게임에서 다 가능한 건 아니며, 이번 테스트에서는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1, 워해머 40,000: 스페이스 마린 2, 마블 라이벌에서 FSR4를 써볼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FSR4를 켜니 FSR3보다 프레임이 늘어나는 게 아니라 오히려 줄어들더라고요? 위에서 열거한 3개의 게임 모두에서 말이죠. 그래서 AMD에게 문의했더니 이런 답변을 들었습니다. "FSR 4는 FSR 3에 비해 훨씬 더 높은 충실도의 재구성을 제공하는 차세대 업스케일러입니다. 따라서, 새로운 업스케일 기능은 기존 알고리즘 대비 프레임 당 더 많은 연산 리소스를 필요로 합니다." 한마디로 더 많은 연산이 필요한 만큼 성능은 조금 떨어진다는 소리 되겠습니다. 하지만 AMD의 저런 답변에 별 불만은 없었는데, 우선 FSR4에서 프레임이 떨어졌다고 해봤자 그 차이는 크지 않고요. 여전히 높은 프레임을 제공하고요. 무엇보다 나아진 화질을 눈으로 체감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프레임을 여기서 더 높여봤자 초 고가의 게이밍 모니터가 아니면 체감하기 힘들테니, 그보다는 더 높은 그래픽을 제공하는데 치중한 것도 일리가 있는 발전 방향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FSR3와 FSR4의 비교

자세히 보기

Cap 2025-02-26 16-56-49-432.png

 

라데온 RX 9000 시리즈 그래픽카드를 장착하고, 드라이버에서 피델리티FX 슈퍼 해상도 4를 켜면 FSR4 적용 가능한 게임에서 FSR4가 작동합니다. 

 

ezgif.com-animated-gif-maker.gif

 

ezgif.com-animated-gif-maker (1).gif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1에서 FSR3와 FSR4의 그래픽 비교. 둘 다 같은 장면, 퍼포먼스 모드에서 찍었습니다. 

 

ezgif.com-animated-gif-maker (2).gif

 

ezgif.com-animated-gif-maker (3).gif

 

워해머 40K: 스페이스 마린 2에서 FSR3와 FSR4의 그래픽 비교. 둘 다 같은 장면, 퍼포먼스 모드에서 찍었습니다. 

 

무엇이 FSR3이고 무엇이 FSR4인지 설명이 필요하진 않을 거라 생각합니다. 더 선명한 쪽이 FSR4입니다.

 

Cap 2025-03-05 14-47-41-661.png

 

라데온 RX 9070: 마블 라이벌즈

 

Cap 2025-03-05 14-48-33-719.png

 

라데온 RX 9070: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1

 

Cap 2025-03-05 14-49-30-658.png

 

라데온 RX 9070: 워해머 40K 스페이스 마린 2

 

Cap 2025-03-05 14-48-03-168.png

 

라데온 RX 9070 XT: 마블 라이벌즈

 

 

Cap 2025-03-05 14-48-54-588.png

 

라데온 RX 9070 XT: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1

 

Cap 2025-03-05 14-49-50-124.png

 

라데온 RX 9070 XT: 워해머 40K: 스페이스 마린 2

 

FSR4를 켜면 FSR3일 때보다 다소 성능 하락이 있지만, 그 이상의 화질 향상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FSR/DLSS 초해상 기능 적용 시 성능

자세히 보기

Cap 2025-03-05 13-53-06-051.png

 

검은 신화: 오공

 

Cap 2025-03-05 13-53-16-295.png

 

검은 신화: 오공(레이 트레이싱)

 

Cap 2025-03-05 13-53-31-095.png

 

마블 라이벌즈

 

Cap 2025-03-05 13-53-54-145.png

 

퍼스트 디센던트

 

Cap 2025-03-05 13-56-07-450.png

 

퍼스트 디센던트(레이 트레이싱)

 

Cap 2025-03-05 13-59-24-675.png

 

프로스트펑크 2

 

Cap 2025-03-05 13-59-39-325.png

 

호그와트 레거시

 

Cap 2025-03-05 14-21-34-231.png

 

호그와트 레거시(레이 트레이싱)

 

Cap 2025-03-05 14-10-45-887.png

 

호라이즌 제로 던

 

Cap 2025-03-05 14-06-00-128.png

 

발더스 게이트 3

 

Cap 2025-03-05 14-06-20-445.png

 

사이버펑크 2077

 

Cap 2025-03-05 14-07-13-494.png

 

사이버펑크 2077(레이 트레이싱 울트라)

 

Cap 2025-03-05 14-07-41-894.png

 

사이버펑크 2077(레이 트레이싱 오버 드라이브)

 

Cap 2025-03-05 14-08-04-908.png

 

F1 22

 

Cap 2025-03-05 14-08-19-785.png

 

고스트 오브 쓰시마

 

Cap 2025-03-05 14-08-38-485.png

 

라스트 오브 어스 파트 1

 

Cap 2025-03-05 14-08-53-585.png

 

몬스터 헌터 와일즈

 

Cap 2025-03-05 14-09-06-359.png

 

몬스터 헌터 와일즈(레이 트레이싱)

 

Cap 2025-03-05 14-09-40-576.png

 

워해머 40K: 스페이스 마린 2

 

Cap 2025-03-05 14-11-44-710.png

 

아바타: 프론티어 오브 판도라

 

Cap 2025-03-05 14-12-01-835.png

 

어새신 크리드: 미라지

 

Cap 2025-03-05 14-12-22-141.png

 

디아블로 4

 

Cap 2025-03-05 14-12-43-424.png

 

디아블로 4(레이 트레이싱)

 

Cap 2025-03-05 14-13-03-841.png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Cap 2025-03-05 14-13-18-689.png

 

레드 데드 리뎀션 2

 

프레임 생성 기능 적용 시 성능

자세히 보기

Cap 2025-03-05 14-19-24-320.png

 

검은 신화: 오공

 

Cap 2025-03-05 14-19-47-920.png

 

검은 신화: 오공(레이 트레이싱)

 

Cap 2025-03-05 14-20-02-213.png

 

마블 라이벌즈

 

Cap 2025-03-05 14-20-14-215.png

 

퍼스트 디센던트

 

Cap 2025-03-05 14-20-25-253.png

 

퍼스트 디센던트(레이 트레이싱)

 

Cap 2025-03-05 14-20-37-581.png

 

프로스트펑크 2

 

Cap 2025-03-05 14-20-59-687.png

 

사이버펑크 2077

 

Cap 2025-03-05 14-25-19-800.png

 

사이버펑크 2077(레이 트레이싱 울트라)

 

Cap 2025-03-05 14-25-36-684.png

 

사이버펑크 2077(레이 트레이싱 오버드라이브)

 

Cap 2025-03-05 14-25-50-184.png

 

고스트 오브 쓰시마

 

Cap 2025-03-05 14-26-07-847.png

 

몬스터 헌터 와일즈

 

Cap 2025-03-05 14-26-25-396.png

 

몬스터 헌터 와일즈(레이 트레이싱)

 

Cap 2025-03-05 14-26-48-178.png

워해머 40K: 스페이스 마린 2

 

 

전력 / 소음 / 온도

라데온 RX 9070 XT와 라데온 RX 9070의 가격 차이가 크지 않아, 저럴거면 XT 사지 누가 노말 모델을 사나 싶었는데요. 이제보니 노말과 XT는 성능이 다르기도 하지만 컨셉부터가 다른 제품이었습니다. 라데온 RX 9070은 뛰어난 전력 대 성능비를 보여줍니다. 전 세대는 물론 경쟁 상대와 비교해도 출중한 성능 대 전력 사용량을 보여줍니다. 그에 비해 라데온 RX 9070 XT는 더 높은 성능을 뽑아내기 위해 전력 사용량을 더 높게 허용한 모델입니다. 테스트에 사용한 모델이 레퍼런스 모델보다 더 많은 8핀 보조전원 3개를 사용하는 제품이라 그런가, 전력 사용량 역시 레퍼런스에 비해 더 높다고 보여집니다. 하지만 라데온 RX 9070과 XT 모두 온도는 매우 낮았고, 그만큼 조용한 소음을 유지했기에 쾌적한 사용 환경 구축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Cap 2025-03-05 13-15-08-460.png

 

시스템 전체 전력 사용량: 3D마크 타임 스파이

 

Cap 2025-03-05 14-22-15-430.png

 

시스템 전체 전력 사용량: 사이버펑크 2077

 

Cap 2025-03-05 15-06-14-743.png

 

GPU 온도: 라데온 RX 9070

 

56fed8b6e848d49e4422d224f8c43cce.png

 

GPU 온도: 라데온 RX 9070 XT

 

Cap 2025-03-05 15-06-06-010.png

 

30cm 거리에서 소음: 라데온 RX 9070(아이들 상태에는 팬이 멈춤)

 

Cap 2025-03-05 15-07-59-713.png

 

30cm 거리에서 소음: 라데온 RX 9070(아이들 상태에는 팬이 멈춤)

 

 

AMD 라데온 RX 9070 시리즈

 

DSC06662.JPG

 

AMD 라데온은 지금까지 게이밍 그래픽카드 시장에서 수세에 몰려 있었던 것이 사실입니다. 이런 판도를 뒤집기 위해 라데온 RX 9070 시리즈에서는 많은 것을 바꿨습니다. 우선 아키텍처를 바꾸고, 대세에 맞춰 AI를 강화하고, 약점이었던 레이 트레이싱을 보강했습니다. 또 새로운 제품군에 맞춰서 모델 넘버를 바꾸고, 플래그쉽 모델을 고집하지 않고 가장 많은 이들이 찾는 제품부터 출시했습니다. 그것도 경쟁 상대와 비교해도 뒤쳐지지 않을 성능의 제품을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했지요. 엔비디아 지포스 RTX 50 시리즈는 성능 향상은 크지 않으며 DLSS4에만 의존한다는 평을 듣고 있고요. 무엇보다 가격은 비싼데 공급까지 부족한 상태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AMD는 준수한 성능과 매력적인 가격을 제시하는 라데온 RX 9070 시리즈를 발표했습니다. 이 가격 그대로, 공급만 넉넉하게 이루어진다면 게이밍 그래픽카드 시장에도 큰 변화가 생길 수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저작권자(c) 기글하드웨어(https://gigglehd.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글하드웨어 인기글

주간뉴스 3/1 - 라데온 9070, NVIDIA 실적, 인텔 밸류팩, 삼성 9100 프로, 시그마 BF, 애플 C1 성능, 샤오...
충동구매를 부르는 가격. MSI MP242L850 IPS 100 시력보호
디자인이 예술이네. 마이크로닉스 WIZMAX 아트리안
은근히 고사양인 몬스터 헌터: 와일즈. AMD가 필요한 이유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리뷰] 의외로 재미와 섬세한 콘텐츠의 조합 '마비노기 모바일' 게임동아
쿨링에 진심, 마이크로닉스 WIZMAX ML-360 WIDE BTF 케이벤치
광활한 21:9 화면 비율로 게임 승률이 올라간다! [프리미엄 리포터V] 동영상 있음 다나와
잘 팔리니 바로 태세 전환! 기아 또 왜 이러나?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미국에서 유행하는 Z세대의 콜라 ‘올리팝’ 마시즘
RX9070XT는 RTX5070을 넘을 수 있을까? ASUS PRIME 라데온 RX 9070 XT OC D6 16GB 동영상 있음 보드나라
LCD 모듈 추가된 올인원 수랭 쿨러, 잘만 알파 II DS A36 화이트 보드나라
든든한 엔트리급 메인보드, ASUS H810M AYW GAMING WIFI 코잇 케이벤치
출시되자마자 품절대란;; LG 스탠바이미2 극한 사용기 동영상 있음 THE EDIT
국내 최초 AMD Ryzen AI 7 350 크라켄포인트 노트북 입수! 레노버 아이디어패드 슬림5 성능은?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먹는 스프레이, 갓김치 김밥, 급식대가~ 4월 첫째 주 편의점 신제품 리뷰 동영상 있음 맛상무
31밴드 하드웨어 EQ의 손맛! 주파수를 내맘대로 만져보자! (feat. dbx 231s) 동영상 있음 Producer dk
출시 전 미리 살펴봤습니다! AMD 크라켄포인트 LG 그램 (퍼포먼스, 전성비, 발열, 배터리 췤!) 동영상 있음 라이브렉스
망원 2억 화소요..? 카메라에 스마트폰을 집어 넣어버린 샤오미 15 울트라 언박싱! (사진 진짜 예쁘게 찍힘!) 동영상 있음 주연 ZUYONI
인체공학 끝판왕? 에르고휴먼 H2 컴포트 I 100만 원짜리 의자, 허리 살릴 수 있을까? 새로운 데스크셋업 동영상 있음 톡써니
5090 나와! 두 개 나와! MSI MEG AI1600T PCIe 5.0 기글하드웨어
DLSS4를 통해 더 높아진 프레임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70 BLACK OC D7 12GB’ 미디어픽
DLSS4를 통해 더 높아진 프레임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70 BLACK OC D7 12GB’ 미디어픽
하이엔드PC를 위한 필수품 '마이크로닉스 WIZMAX ML-360 WIDE BTF' 미디어픽
하이엔드PC를 위한 필수품 '마이크로닉스 WIZMAX ML-360 WIDE BTF' 미디어픽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