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정 수준의 최신 플랫폼 기반 제품이라면 노트북은 물론이고 데스크탑 PC용 메인보드에도 와이파이 6E 지원 랜카드가 기본 탑재되면서 와이파이 6E 시장에 속도가 붙고 있다. 공유기와 스마트폰도 와이파이 6E 제품이 등장 중인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와이파이 6E의 핵심 특징이라면 기존 규격 제품은 사용하지 못하는 새로운 6GHz 주파수를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더욱 쾌적한 와이파이 환경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당연하지만 와이파이 6E를 지원하는 공유기가 필요하고, 와이파이 6E를 지원하지 않는 기존 시스템에서는 와이파이 6E 연결을 위한 무선 랜카드가 필요하다.
이번 기사의 주인공인 넷기어 나이트호크 AXE3000(모델명 A8000, 이하 넷기어 A8000)은 와이파이 6E를 지원하는 USB 무선 랜 카드로, 5Gbps의 USB 3.0 Type-A 인터페이스 규격을 통해 어떤 시스템이나 손쉽게 와이파이 6E를 경험할 수 있다.
USB 드라이브 형태의 와이파이 6E 무선 랜카드, 넷기어 A8000
제품 형태는 전형적인 넷기어의 USB 무선 랜카드 디자인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크기 자체는 USB 커넥터 돌출부를 포함해 31.4mm x 93mm x 14.45mm로 살짝 큰 편이라, 데스크탑 PC 메인보드 후면이나 노트북 측면 같이 다양한 I/O 포트가 인접된 곳에서는 다른 장비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이처럼 인접 장비와 간섭이 우려되는 곳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USB 연장 크래들이 제공된다. 케이블 길이는 약 1m로, 책상 밑에 위치한 데스크탑 PC 후면 I/O 포트에 연결해 장애물이 없는 책상 위로 넷기어 A8000을 올려 신호 수신 감도를 개선하기에 충분하다.
USB 커넥터와 플립형 안테나 연결부 및 상단부를 제외한 3면에는 통풍구를 뚫어 동작시 발생하는 열을 자연스럽게 배출하도록 설계되었고, 한쪽 측면에는 제품의 동작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파란색 LED가 심어져 있다.
넷기어 A8000은 2개의 내장 안테나를 통해 2.4GHz/ 5GHz/ 6GHz 트라이밴드를 지원하며, 각 주파수 대별로 600Mbps/ 1200Mbps/ 1200Mbps 대역폭을 제공한다. 플립형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안테나는 거의 150˚ 가량 조절이 가능해 크래들과 함께 신호 수신이 양호하도록 조정하는데 유리하다.
넷기어 A8000은 와이파이 6E를 지원하는 무선 어댑터인 만큼 와이파이 6E 규격의 무선 공유기와 독립적인 6GHz 주파수 연결을 지원한다. 규격상 최대 1200Mbps 링크 속도를 지원하며, 최신 암호화 규격인 WPA3를 통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500Mbps 인터넷 회선을 사용 중인 보드나라 사무실에서 넷기어 와이파이 6E 지원 공유기인 오르비 RBRE960과 넷기어 A8000을 와이파이 6E 규격의 6GHz 밴드로 연결해 테스트했을 때, 최대 460Mbps의 성능과 3ms의 레이턴시를 기록했다. 테스트 환경에 따라 결과는 조금씩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도, 유선 연결에 준하는 성능을 기대할 수 있는 결과다.
쾌적한 최신 와이파이 6E를 어디서나, 넷기어 A8000
USB 3.0 규격 무선 랜카드인 넷기어 A8000는 쾌적한 와이파이 환경을 꾸미고자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품이다. 무선 대역폭 자체는 와이파이 6 규격 제품과 큰 차이가 없지만,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해 더 많은 채널과 대역폭, 빠른 연결 및 혼선 최소화 기능 등이 업그레이드된 와이파이 6E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다.
여기에 보다 고도화된 암호화 규격인 WPA3도 지원해 4K/ 8K 스트리밍, 화상회의 및 온라인 게임 등 고대역폭과 안정적인 연결이 필요한 컨텐츠를 즐기기에 적합해졌고, USB 크래들과 플립형 안테나로 어떤 환경에서도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기존 와이파이가 고장났거나 오래되어 답답함을 느끼고 있는 경우, 혹은 와이파이 6E 공유기나 메시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하면서 성능을 제대로 경험하려는 사용자, 3년 보증 기간으로 오랫동안 안심하고 쓰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넷기어 A8000은 어울리는 선택이 될 것이다.
마침, 출시와 더불어 정상 가격에서 15% 가량 할인된 119,000원에 판매를 시작한다.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보드나라 미디어국. www.bodnar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