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 라이젠 7000X3D 시리즈 프로세서가 L3 캐시를 강화하여 게이밍 PC용 CPU로 각광을 받고 있지만 보다 더 많은 PC 자원을 요구하는 워크스테이션 분야는 여전히 Zen3 아키텍처 기반 AMD 라이젠 스레드리퍼 프로(Ryzen Threadripper PRO) 시리즈가 현역으로 활동 중이다.
AMD 라이젠 스레드리퍼 프로 5000 WX 시리즈는 최대 64코어 128스레드와 8채널 DDR4-3200MHz 메모리, 128개의 PCIe 4.0 레인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수많은 PCIe 확장 슬롯 및 새로운 sWRX8 CPU 소켓이 적용된 AMD WRX80 칩셋 기반 플랫폼으로 일반 데스크탑 PC는 물론 하이엔드 데스크탑(HEDT)도 뛰어넘는 확실한 워크스테이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STCOM에서 국내 유통하는 ASUS PRO WS WRX80E-SAGE SE WIFI는 예전에 보드나라 AMD 라이젠 스레드리퍼 프로 5975WX/5995WX 프로세서 리뷰에서 잠깐 소개된 적이 있었는데, 오늘은 CPU가 아닌 메인보드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라이젠 워크스테이션 보드, ASUS PRO WS WRX80E-SAGE SE WIFI
ASUS PRO WS WRX80E-SAGE SE WIFI STCOM은 AMD 라이젠 스레드리퍼 프로 5000 WX 시리즈를 지원하기 위해 만든 sWRX8 소켓 방식의 워크스테이션 메인보드다.
일반 ATX 메인보드보다 더 큰 30.98 x 33.02cm 크기의 Extended-ATX(EEB) 폼 팩터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E-ATX 메인보드를 지원하는 케이스가 필요하다. 데스크탑 PC용 메인보드라면 게이밍 또는 오버클럭에 최적화된 디자인과 기능을 강조했겠지만, 워크스테이션 시장을 겨냥하는 이 제품은 확장성과 효율성에 중점을 두고 설계됐다.
메인보드 후면을 거의 덮어버리는 메탈릭 블랙 알루미늄 돌출부와 스테인리스 스틸 블랙 메시 커버는 깔끔하고 세련된 디자인을 완성하는 동시에 고사양 그래픽 카드나 무거운 CPU 쿨링 솔루션 등을 장착해도 메인보드가 휘어지지 않도록 유지하면서 후면부까지 배치된 일부 컴포넌트들이 시스템 조립시 케이스에 닿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맡는다.
sWRX8 CPU 소켓은 데스크탑용 라이젠 5000 시리즈에 들어간 Zen3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통합 8코어 CCX(Core Complex) 구조로 만들어진 라이젠 스레드리퍼 프로 5000 WX 시리즈를 지원한다. 기본 TDP는 라이젠 스레드리퍼 3000 시리즈와 동일한 280W에 코어 수 증가에 따라 베이스 클럭을 낮춰 발열을 제어한다.
CPU 장착 방식이나 쿨러 설치 등은 기존 라이젠 스레드리퍼 시리즈와 동일하다. 사용자가 직접 CPU를 소켓에 설치하다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2중 가이드 구조로 만들었고 데스크탑 플랫폼은 소켓 AM5에 와서야 도입하기 시작한 LGA 방식을 스레드리퍼 시리즈는 초기부터 사용해왔다.
AMD 라이젠 스레드리퍼 프로 5000 WX 시리즈의 성능에 대해서는 보드나라의 이전 기사 '워크스테이션에 32코어/64코어 Zen3를, AMD 라이젠 스레드리퍼 프로 5975WX/5995WX'를 참고하기 바란다.
PRO WS WRX80E-SAGE SE WIFI는 라이젠 스레드리퍼 프로의 8채널 메모리 아키텍처를 위해 8개의 메모리 슬롯이 들어가고 최대 DDR4-3200MHz 메모리를 슬롯당 256GB씩 최대 2048GB까지 확장 가능하다. 또한 데이터 손상을 자동 감지하고 수정할 수 있는 ECC 메모리도 지원한다
전원부(VRM)는 TDP 280W의 라이젠 스레드리퍼 프로 5000 WX 시리즈 프로세서가 요구하는 전력과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는 16 페이즈 전원부로 구성된다.
24핀 ATX 전원 커넥터와 메탈 커버를 적용한 2개의 ATX 12V 전원 커넥터 및 PCIe 8핀 전원 커넥터, 그리고 시스템이 고사양 그래픽 카드로 멀티 GPU를 구성할 때 전원 출력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2개의 추가 PCIe 6핀 전원 커넥터가 달려있다.
AMD 라이젠 스레드리퍼 프로 CPU 및 AMD WRX80 칩셋 조합을 통해 일반 데스크탑 메인보드보다 더 많은 스토리지 옵션을 제공하는 것도 PRO WS WRX80E-SAGE SE WIFI의 특징이다.
메인보드에 들어간 3개의 M.2 슬롯은 3개로 분리되는 방열판으로 덮여 있어 스토리지 부하로 인한 발열로 스로틀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깔끔한 워크스테이션 보드 디자인을 유지하도록 만들었다. M.2 스토리지를 이용한 NVMe RAID 구성도 지원한다.
3개의 M.2 슬롯은 모두 M.2 2242/2260/2280/22110 규격의 PCIe 4.0 x4 또는 SATA 모드의 M.2 SSD를 지원하며, U.2 NVMe 장치 및 최대 4개의 SATA 장치를 지원 가능한 2개의 U.2 슬롯, 그리고 WRX80 칩셋 및 ASMedia ASM1061 컨트롤러를 합쳐 8개의 SATA 6Gb/s 포트를 제공한다.
WRX80 칩셋에는 6만 시간 이상의 수명을 가진 고내구성 베어링을 적용한 커스텀 저소음 팬이 달린 방열판을 통해 시스템 외부 환경에 의존하지 않고도 능동적인 칩셋 쿨링을 지원한다.
뜨거워진 바람을 사방에 퍼뜨리는 일반 칩셋 쿨러 방식이 아닌 그래픽 카드 쿨러처럼 배기 경로에 표면적을 최대화시킨 방열핀을 배치해 효율성을 높였는데, 이는 WRX80 메인보드 칩셋 뿐만 아니라 ASPEED AST2500 고급 PCIe 그래픽 및 원격 관리 프로세서 쿨링까지 동시에 담당하기 때문이다.
ASPEED의 6세대 서버 관리 프로세서인 AST2500은 ARM11 임베디드 프로세서와 DDR4 메모리, 그리고 1920x1200 해상도 출력을 지원하는 2D 온보드 그래픽 컨트롤러가 들어간다. AST2500 옆에 삼성 512MB DDR4 메모리가 달린 것을 볼 수 있다.
7개의 풀사이즈 PCIe 4.0 x16 슬롯으로 고성능 외장 그래픽 카드나 다양한 PCIe 확장 카드를 장착할 수 있으며, 멀티 GPU 구성을 위한 엔비디아 4-Way/3-Way/2-Way SLI 기술을 지원한다.
어떤 PCIe x16 슬롯을 사용하더라도 크고 무거운 고사양 그래픽 카드를 버틸 수 있도록 ASUS가 재설계한 SafeSlot을 적용했다. 인서트 성형 공정을 사용하여 단일 단계로 제조되며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메탈 재질로 슬롯을 강화했다.
메인보드 하단에는 각종 커넥터가 일렬로 배치되어 필요한 장치를 빠르게 연결하고 더 갈끔한 라우팅, 더 쉬운 관리를 위한 능률적인 설치 작업을 가능하게 만든다. 일반 데스크탑 메인보드에서 볼 수 없는 서버/워크스테이션 환경을 위한 통합 BMC(Baseboard Management Controller) 관련 스위치 및 각종 커넥터도 제공된다.
서버급 원격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PRO WS WRX80E-SAGE SW WIFI는 IPMI 아키텍처에 인텔리전스를 제공하기 위해 BMC 전용 포트 1개와 인텔(Intel) X550 듀얼 10기가비트(10Gbps) 이더넷 컨트롤러를 사용한다. 이를 통해 멀티 테라바이트 전송 작업을 짧게 수행하고 대기 시간이 짧은 서버급 연결을 제공한다.
내장 사운드는 리얼텍(Realtek) ALC4080 7.1채널 오디오 코덱을 사용하여 고품질 120dB SNR 스테레오 재생 출력 및 113dB SNR 녹음 입력을 제공한다. 신호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좌우 채널을 EMI 차폐 및 별도의 PCB 레이어로 지원하며, 프리미엄 오디오 캐패시터를 사용한다. 또한 몰입감 있는 3D 공간 오디오를 위한 DTS:X Ultra 기술도 지원한다.
후면 I/O 구성은 CPU나 메모리가 없어도 손쉽게 메인보드 바이오스를 업데이트 할 수 있는 BIOS 플래시백 버튼과 CMOS 클리어 버튼, 인텔 WiFi6 AX200 무선 네트워크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2개의 무선 안테나 단자, 9개의 USB 3.2 Gen 2 포트(Type-A 8개 및 Type-C 1개), USB 3.2 Gen 2x2 Type-C 포트, 듀얼 10Gbps 이더넷 포트, 5개의 오디오 잭과 S/PDIF 광 출력 단자로 구성된다.
사전 장착된 I/O 쉴드로 시스템 조립 과정을 좀더 편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안쪽 방열판(SOC 히트싱크)은 전원부 쿨링과 함께 세미 패시브 팬이 듀얼 10G LAN 칩에서 발생하는 열을 투명 스모키 그레이 I/O 커버를 거쳐 시스템 바깥으로 빼내는 역할도 담당한다.
ASUS 고급형 메인보드에도 많이 사용되는 Q-LED 및 Q-Code 기능이 탑재되어 시스템 부팅 과정을 각각의 LED(CPU/DRAM/VGA/BOOT)로 확인하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에러 코드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케이스에 장착하거나 전원/리셋 버튼을 연결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스템을 테스트 할 수 있는 전원 버튼과 리셋 버튼도 달려있다.
PCIe M.2 SSD 확장 카드와 기타 구성품
최신 데스크탑 플래그십 메인보드에 비해 다소 부족해보이는 M.2 슬롯과 NVMe RAID 기능은 별도로 제공되는 ASUS Hyper M.2 x16 Gen4 카드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메인보드에 풍부하게 달린 PCIe 4.0 x16 슬롯 가운데 하나를 사용하여 최대 4개의 PCIe 3.0 x4 M.2 SSD로 일반 PCIe 3.0 NVMe M.2 SSD보다 8배 빠른 처리량을 가진 RAID Array를 구성할 수 있다. 거대한 알루미늄 방열판과 쿨링 팬을 통해 M.2 SSD 발열도 효율적으로 처리 가능하다.
다만 AMD WRX80 플랫폼에서 RAID는 최대 10개의 NVMe SSD로 제한된다.
그 밖에 메인보드 구성품으로는 사용자 안내서와 빠른 시작 설명서, 드라이버 및 유틸리티 지원 DVD, ASUS 2x2 듀얼밴드 WiFi 무빙 안테나, SATA 데이터 케이블 6개, 온보드 그래픽용 VGA(D-Sub) 케이블, M.2 설치 나사 및 스탠드 오프, Q-커넥터 등이 제공된다.
ASUS PRO WS WRX80E-SAGE SE WIFI STCOM은 ASUS 메인보드 공인대리점 STCOM으로부터 3년 동안 무상보증 AS를 받을 수 있다.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보드나라 미디어국. www.bodnar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