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2022년 10월부터 출시된 지포스 RTX 40 시리즈의 평가는 썩 좋지 않았다.
가격도 가격이지만, 이전 세대 제품과 같은 급의 GPU를 쓰는 제품의 모델을 더 높은 급의 제품에 사용하는, 달리 말하면 전세대와 동급 제품에 더 낮은 급의 GPU 코어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문제였다.
제품 디자인은 제조사 마음이지만, 최소한 기존 세대와 비교하는 소비자들을 충분히 납득시킬 근거를 제시해야 하는데 엔비디아는 그러지 못했다.
특히, 당초 지포스 RTX 4080 12GB로 계획되었던 지포스 RTX 4070 Ti는 게이머들의 비판에 결국 한 등급 낮은 모델명으로 바꿨고, 그 때문에 출시까지 연기된데다 파운더스 에디션도 없이 나오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그리고 논란의 중심에 선 지포스 RTX 4070 Ti 출시 후 약 1년 만에 엔비디아는 지포스 RTX 40 Super 시리즈의 하나로 지포스 RTX 4070 Ti Super를 내놓기에 이른다. GPU 스펙이 업그레이드된데 이어, 지포스 RTX 4070 Ti 논란의 중심에 있던 VRAM 스펙까지 업그레이드된 것은 다른 'Super' 모델과 다른 지포스 RTX 4070 Ti Super만의 특징이기도 하다.
일부 게이머에게는 아쉽게도, 지포스 RTX 4070 Ti와 같이 지포스 RTX 4070 Ti Super도 파운더스 에디션없이 제조사 커스텀 모델만이 시장에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번 기사에서는 디앤디컴이 국내 유통하는 게인워드 지포스 RTX 4070 Ti Super Phoenix 제품을 샘플로, 기존 제품 대비 얼마나 개선되었는지 살펴보겠다.
고해상도 고품질 게임을 위한 게인워드 지포스 RTX 4070 Ti Super 피닉스
방금 설명한 것 같이, 지포스 RTX 4070 Ti Super에서 눈에 띄는 특징은 바로 VRAM 스펙의 업그레이드다. GPU 스펙도 업그레이드되었지만, 지포스 RTX 4070 Ti에서 가장 비판받았던 부분이 부족한 VRAM 스펙이었던 만큼 눈에 띌 수 밖에 없다.
한가지 또 눈에 띄는 점을 꼽자면 GPU 코어가 지포스 RTX 4070 Ti의 AD104 기반에서 RTX 4080 (D)에 쓰인 AD103 기반 칩으로 업그레이드된 것. RTX 4070 Ti에는 AD104 풀칩이 쓰였기 때문에, 메모리 업그레이드와 GPU 코어 변경은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
지포스 RTX 4070 Ti Super의 GPU는 CUDA 코어 기준 RTX 4070 Ti 대비 10% 증가, RTX 4080 Super에 밀려 수명을 다한 RTX 4080의 87% 수준이다. 본격적인 성능 점검에, 앞서, 이번 기사에서 한 몸 바쳐 지포스 RTX 4070 Ti Super란 이런 제품이다라는 것을 알려준 샘플, 게인워드 지포스 RTX 4070 Ti Super 피닉스 모델을 잠시 살펴본다.
게인워드 지포스 RTX 4070 Ti Super 피닉스는 최근 고성능 그래픽 카드라면 기본급으로 여겨지는 트리플 쿨링팬 구성을 갖춘 모델이다. 제품 보호를 위한 백플레이트는 쾌적한 냉각 효과를 위한 스크린 쿨링 구조를 보여주고, 측면의 '피닉스' 로고와 쿨링팬 커버 상단과 하단에는 ARGB LED를 심어 유행 중인 LED 튜닝을 즐기는 게이머들에게 어필한다.
게인워드 지포스 RTX 4070 Ti Super 피닉스의 ARGB LED는 GAINWARD Expertool 유틸리티를 통해 자체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 PCIe 확장 슬롯 외에 추가 전원 공급을 위한 12VHPWR 커넥터 바로 옆에는, 메인보드나 다른 ARGB LED 제어 허브 연결을 통한 ARGB LED 통합 관리용 3핀 커넥트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12VHPWR 커넥터가 탑재된 ATX 3.0 규격 PSU 등장 초기인 만큼, 호환성 높은 PCIE 8핀 보조전원 커넥터를 변환 시켜주는 젠더가 번들되며, 다른 장비와 ARGB LED 동기화를 위한 케이블도 함께 제공된다.
쿨링팬은 난류를 방지하고 팬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윙팁이 부착된 사이클론 팬이 사용되었다. 윙팁은 와류에 의해 블레이드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해 냉각팬이 일정한 냉각성능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백플레이에는 '피닉스' 브랜드와 아이콘을 새기고, 절반에 달하는 면적에 스크린 쿨링을 구성했다. 아쉽지만 백플레이트의 기능은 방열판 효과없이, 제품 보호용이라는 기본 기능에 충실하다.
한편, 게인워드 지포스 RTX 4070 Ti Super 피닉스 제품의 클럭과 GPU 전력 세팅은 엔비디아 레퍼런스 규격을 따르고 있다. 쿨링 솔루션은 제조사마다 차이가 있는 만큼 감안해야 겠지만, 파운더스 에디션이 없는 RTX 4070 Ti Super 제품군의 성능과 특성을 살펴보는 기준 모델이 되어줄 수 있다.
AD104서 AD103으로 업그레이드, DrMOS 11 페이즈 전원부 구성
게인워드 지포스 RTX 4070 Ti Super 피닉스의 쿨러를 분리하면 PCB와 쿨링 솔루션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GPU와 VRAM, 전원부를 구성하는 DrMOS, 초크의 발열을 모두 커버하는 구조며, 메인 쿨링 솔루션과 PCB 사이에 추가로 제품 변형 방지를 위한 프레임을 더했다.
전체 전원부는 9+2 페이즈 구성으로, 최대 50A DrMOS인 NCP302150이 사용되었다.
게인워드 지포스 RTX 4070 Ti Super 피닉스의 GPU 코어는 AD103-275-A1으로 확인된다. 전작인 지포스 RTX 4070 Ti에는 GPU가 AD104 기반 코어가 사용된 것과 달리, 확실히 상위 칩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3DMark Time Spy Stress Test에서 게인워드 지포스 RTX 4070 Ti Super 피닉스의 시스템 전력은 지포스 RTX 4070 Ti와 같은 수준으로 측정된 것을 감안하면, TGP 기준 전력 스펙을 동일하게 책정했다는 엔비디아의 발표가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이때 GPU 온도는 최대 62℃ 수준이고, 팬 소음과 수명 개선을 위한 제로 RPM FAN 기술은 온도 상승시 52℃ 지점부터 쿨링팬의 회전이 시작되고, 이후 다시 온도가 낮아질 때는 34℃를 기준으로 팬의 회전이 멈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출력포트는 3개의 DP 포트와 1개의 HDMI 포트로 레퍼런스 규격을 따르고 있다. 쿨링 솔루션이 강화된 만큼 두께는 3슬롯을 살짝 넘기는 수준이기 때문에, 그래픽 카드외에 확장 카드를 사용 중이라면 메인보드의 확장슬롯 배치에도 신경 쓸 필요가 있다.
지포스 RTX 4070 Ti Super의 성능 향상폭은?
지포스 RTX 4070 Ti Super의 성능 확인을 위해 3DMark 기본 테스트를 구동했다.
GPU 스코어 기준 RTX 4070 Ti보다 약 5%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RTX 4080 FE와 교했을 때는 약 88% 수준의 성능, RTX 4080 FE이 RTX 4070 Ti Super보다 약 16% 가량 높은 성능을 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포스 RTX 4070 Ti Super의 레이 트레이싱 성능은 지포스 RTX 4070 Ti 보다 약 8% 높은 것으로 나타나 래스터 환경보다 조금 더 나은 향상폭을 기대할 수 있고, RTX 4080 FE와 비교해서는 약 88% 수준으로 나타나, 래스터 성능과 거의 비슷한 비율이 기대된다.
게인워드 지포스 RTX 4070 Ti Super 피닉스 기준, 지포스 RTX 4070 Ti Super와 다른 그래픽 카드의 대략적인 성능 차이를 정리했다.
테스트에 쓰인 지포스 RTX 4070 Ti가 소폭 오버클럭된 모델임은 감안할 필요가 있지만, RTX 4070 Ti Super와의 성능 차이가 QHD 이하에서는 약 5%~6%, UHD에서는 약 8% 가량 높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CUDA 코어 기준 GPU 스펙이 10% 증가한 것과, 앞서 RTX 4070 Super의 경우를 감안하면 딱 예상 수준의 성능 향상이다.
참가로, 각 게임별 세부 결과는 기사 말미에 따로 정리했다.
전 모델 완벽 대채 지포스 RTX 4070 Ti Super
지포스 RTX 4070 Ti Super는 이름처럼 기존의 지포스 RTX 4070 Ti보다 높은 성능을 내준다. 게다가 가격이 동결되면서 새롭게 구매하려는 게이머에게 더욱 반가운 제품임은 부정할 수 없다.
하지만 지포스 RTX 4070 Super와 같이 TGP를 소폭이라도 올렸다면 이보다 더 나은 성능, 예를 들면 RTX 4070 Ti보다 RTX 4080 FE에 가까운 성능을 기대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살짝 아쉬움이 남는다.
아마도 다음 주 출시 예정인 지포스 RTX 4080 Super와의 성능 차이를 유지하기 위한 조치로 판단되는데, 지포스 RTX 4070 Ti Super의 TGP도 지포스 RTX 4070 Ti와 동일하게 동결되지 않았나 생각된다.
테스트 시스템과 게임별 성능 차트
게인워드 지포스 RTX 4070 Ti Super 피닉스 기반 테스트는 위와 같은 환경에서 진행되었다
테스트는 크게 레이트레이싱과 업스케일링 옵션을 제외한 각 게임의 가장 고품질 프리셋을 적용한 래스터 테스트(1), 여기에 게임에 따라 레이 트레이싱 최고 프리셋을 더한 환경(2), 추가로 업스케일링 기술(3, RTX On)을 적용한 상태의 결과를 비교했다.
RTX On의 경우 게임에서 프레임 생성(FG)을 지원한다면 프레임 생성을 결합하고, 업스케일링 기술의 세부 옵션은 '품질'을 적용했다.
참고로, 테스트 게임 중 메트로 엑소더스 EE와 아바타 판도라의 개척자는 프리셋 자체에 레이 트레이싱이 기본 활성화된 특성상 레스터 성능 비교 타이틀에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1. 래스터 성능 비교
2. 레이 트레이싱 성능
3. RTX On 성능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보드나라 미디어국. www.bodnar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