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이트론(JOYTRON)에서 플라이디지(Flydigi)의 최신 기술이 적용된 게임 컨트롤러 APEX4를 출시했다.
콘솔 게임기에 최적화된 콘솔용 게임패드도 추가적인 커스텀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 버전이 별도로 판매되지만 콘솔 최적화 설계로 PC에서는 100% 기능 활용이 어려운데, APEX4는 부품 하나마다 사용자 커스텀이 가능한 기능 조절 및 PC 외에 모바일 장치와 닌텐도 스위치까지 지원하는 호환성을 갖췄다.
풀커스텀 지원하는 멀티플랫폼 게임패드 Flydigi APEX4
플라이디지 제품을 해외 직구로 구매하는 사람도 있지만 조이트론이 한국 공식 수입 업체로 파트너십을 맺고 있기 때문에 조이트론에서 판매하는 정품 인증 제품만 A/S 및 펌웨어 업데이트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게임 패드 특성상 사람의 손을 많이 타고 스틱이나 버튼 등을 반복적으로 조작하면 고장이나 부품 교체가 필요할 수 있는데, 이런 점을 고려했을 때 국내에서 빠르게 제품 상담 및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공식 수입 제품을 선택하는 것을 권장한다.
APEX4 디자인을 보면 콘솔 게임기 가운데 PC와 가장 연관성이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Xbox 게임패드와 동일한 배열을 하고 있다. 2개의 아날로그 스틱과 D패드의 위치는 물론 A/B/X/Y 버튼의 위치도 똑같다. 소니 플레이스테이션은 아날로그 스틱 배치 방식이, 닌텐도 스위치는 A/B/X/Y 버튼 위치가 다르다.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으로 손에 쥐었을 때 자연스럽게 손에 착 감기는 느낌이며, 후면 그립 부분에는 미끄러짐 방지 처리를 해서 장시간 게임을 하거나 진동이 올 때도 게임패드가 손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했다.
플라이디지 로고가 보이는 상단에는 SELECT 버튼과 START 버튼이 들어갔으며, 전원을 켰을 때 보여지는 스마트 인터랙티브 스크린을 통해 애니메이션 효과를 보여주거나 게임패드 상태 표시, 메뉴 설정 등의 간단한 조작을 할 수 있다. 맨 아래에는 FN(O) 버튼과 HOME 버튼이 들어갔다.
RGB LED 조명은 진동 모터가 탑재된 양쪽 그립 부분 및 왼쪽 그립에 위치한 플라이디지 로고에서 들어오는데, 전용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손쉽게 조명 색상 및 효과 조절도 가능하다.
게임패드 상단은 마그네틱 방식으로 고정되는 투명 커버로 덮어 놓았는데, 2개의 아날로그 스틱(썸스틱)과 D패드를 뽑으면 마그네틱 방식으로 붙어있는 투명 커버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는 내부를 잘 보여주기 위한 튜닝 효과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아날로그 스틱 감도를 직접 조절하고 RGB 조명이 표시되는 로고를 바꿀 수 있는 커스텀 기능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2개의 아날로그 스틱에는 댐핑 포스 조절 합금스틱을 사용한다. 기존 모델도 부드러운 조작이 가능한 ALPS 아날로그 스틱이 들어갔지만 장기간 사용시 휠 쏠림 현상이 발생하기 쉬웠는데, APEX4의 댐핑 포스 조절 합금스틱은 합금 베어링과 홀 센서를 통해 쏠림없이 정확한 중심 복귀를 지원한다.
게임패드 내부에 수납된 자석식 노브 드라이버를 꺼내 스틱 옆에 보이는 다이얼을 돌려 30gf에서 100gf까지 스틱의 댐핑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Xbox 게임패드의 아날로그 스틱 댐핑이 55gf 고정값을 가졌다면, APEX4는 댐핑 포스를 낮춰 민첩하게 조작하거나 더욱 높여서 정교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양쪽 아날로그 스틱에 각각 다른 댐핑 값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예를 들어 FPS 게임에서 캐릭터 움직임은 민첩하게, 총기 조준은 정교하게 하는 식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미세한 조작감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높이(6mm, 8mm, 10mm)를 가진 썸스틱과 D패드 세트(별매)를 구입해 사용자 손에 잘 맞는 스틱으로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D패드(D-PAD)는 4방향 십자키에 비해 정교한 입력이 가능한 8방향 십자 키캡을 사용하고 있으며, 부드러운 회전 및 일정한 감도를 유지하는 방식으로 설계되고 100만 클릭 이상의 수명을 가진 TACT 스위치를 사용하고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를 탑재한 2.0 버전 기계식 A/B/X/Y 버튼은 일반 게임패드의 멤브레인 버튼에 비해 일관된 조작감과 반응성을 제공하며 개선된 내구성을 기대할 수 있다.
APEX4 상단에 위치한 LB/RB 버튼은 손가락이 닿았을 때 확실한 구분감이 들도록 버튼 형태와 질감이 다르고, 그 아래 달린 트리거(RT/LT)는 포스 피드백을 지원한다. 가운데는 내장 배터리 충전 및 케이블 연결로 유선 게임패드처럼 쓸 수 있는 USB Type-C (USB-C) 포트가 있고, 양쪽으로 iOS 및 안드로이드 지원 스마트폰을 거치해 모바일 게임패드로 쓸 수 있는 스마트폰 홀더(별매) 슬롯이 들어간다.
초정밀 서보 모터와 미세한 기어 구조가 적용된 트리거 버튼은 게임 및 사용자 설정에 맞춰 사용한 포스 피드백으로 게임 경험을 향상시킨다. 레이싱 모드에서 자동차의 주행 질감을 느끼거나 FPS 게임에서 총기가 발사되는 듯한 반동을 실감나게 구현할 수 있다.
APEX4 제품 후면에는 사용자 설정이 가능한 4개의 백 버튼(M1~M4)과 함께 사용하지 않을 때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는 전원(ON/OFF) 스위치가 들어갔다.
내장 배터리 용량은 1,500mAh이며 5V USB 전원 어댑터 또는 PC의 USB 포트에 연결하여 약 3~4시간을 충전하면 최대 30시간까지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고속 충전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9V 이상의 고속 충전기는 회로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으니 사용하지 말 것을 주의하고 있다.
배터리 충전은 상단의 USB-C 포트를 통해서도 가능하지만 하단의 무선 충전 단자를 통해 별도로 판매되는 컨트롤러 차징독으로 USB-C 케이블을 매번 연결할 필요 없이 편하게 충전할 수 있다.
APEX4는 윈도우 PC를 비롯해 iOS, 안드로이드, 닌텐도 스위치 등 멀티 플랫폼을 지원하며, 2.4GHz 무선 리시버 및 블루투스 v5.0 무선 게임패드로 사용할 수 있다. FlySync 하이 폴링레이트 기술로 무선 모드에서도 1000Hz 폴링레이트 및 1ms 초저지연 연결을 통해 지연없이 게임을 즐길 수 있다.
함께 제공되는 USB Type-C to A 케이블은 APEX4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USB 포트에 연결해서 유선 게임패드로 사용하기 위해 필요하다. 선꼬임을 방지하는 패브릭 직조 재질에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벨크로 타이가 달려있다.
APEX4에 동봉된 퀵 가이드는 영문 및 중문으로만 되어 있으므로 한글로 된 사용자 설명서는 플라이디지 국내 공식 파트너사인 조이트론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PDF 파일 형태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APEX4의 스크린 언어 기본 설정은 중문 상태로 되어 있는데 이를 영문으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해 멀티 플랫폼 연결 및 모드 변환 방법 등도 매뉴얼에 자세히 나와있다.
플라이디지 로고가 새겨진 라이트 패널 카드를 사용자가 직접 디자인한 패널로 교체할 수 있도록 4개의 라이트 패널 카드와 각인 핀이 동봉되어 있다.
Flydigi Space 소프트웨어로 폭넓은 사용자 커스텀 제공
APEX4 제조사인 플라이디지 홈페이지 Flydigi Game Center에서 APEX4를 지원하는 Flydigi Space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면 APX4 하드웨어로 가능한 설정 외에 더욱 다양한 게임패드 사용자 설정을 할 수 있다.
윈도우 PC에 Flydigi Space Station을 설치하면 다양한 플라이디지 PC 컨트롤러 지원 리스트를 볼 수 있으며, 설치 화면에서 언어 선택은 영어와 중국어만 가능하지만 설치 후 설정에서 한국어로 변경할 수 있다.
플라이디지 게임패드가 PC에 연결되면 자동으로 연결된 모델을 해당 게임 컨트롤러에 최적화된 메뉴 화면을 보여준다. APEX4의 경우 장치 구성 정보에는 버튼, 조이스틱, 자이로 센서, 트리거, 기타 항목들의 현재 설정 상태를 보여주며, 사용자가 게임 종류에 따라 4가지 프리셋을 구성할 수 있도록 일반/사격/격투/레이싱 항목을 제공한다.
일반 게임패드는 펌웨어 업데이트 기능이 없거나 본체에 대해서만 업데이트를 제공하는데 비해 플라이디지는 소프트웨어는 물론 컨트롤러, 동글, 트리거, LCD까지 주요 기능별로 개별 업데이트를 지원한다.
버튼 설정 항목에서는 APEX4의 아날로그 스틱을 비롯해 방향키, A/B/X/Y 버튼, LB/RB, LT/RT, START/SELECT, 그리고 후면에 위치한 M1~4까지 모든 버튼을 사용자가 원하는 구성으로 바꿀 수 있다. 소니의 PS나 닌텐도 스위치처럼 A/B/X/Y 버튼 배치를 바꾸는 것은 물론 연사, 매크로, 마우스 메뉴 설정 등의 기능키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날로그 스틱의 댐핑 포스는 하드웨어로 조절할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를 통해 데드존과 민감도 곡선도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으로 바꿀 수 있다. 좌측과 우측 조이스틱을 각각 따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게임패드를 지원하지 않는 키보드/마우스 입력 방식 게임에서 아날로그 스틱을 맵핑하여 마우스 및 키보드 이동키로 설정할 수 있다.
게임패드를 기울이는 방향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자이로 센서는 기본 설정에서 비활성화되어 있으며 소프트웨어에서 FPS 또는 레이싱 게임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 맵핑은 좌측/우측 조이스틱 또는 마우스 동작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조이스틱에서는 민감도와 데드존 보정, 마우스에서는 X축과 Y축 감도를 조절해서 쓰면 된다.
초정밀 서보 모터와 미세 기어 구조가 적용된 트리거 버튼은 일반 모드 외에 포스 피드백이 적용된 다양한 모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진동 세기와 빈도 등도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다.
기타 항목에서는 APEX4에 들어간 RGB LED 조명의 색상 및 동작 방식, 밝기와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양쪽 그립 부분에 들어간 진동 모터의 세기도 조절 가능하다.
포스 피드백 트리거 메뉴에서는 APEX4의 포스 피드백을 지원하는 다양한 게임에서 동작 유무를 설정할 수 있다. 지원 게임에서는 동작, 상황, 이벤트에 맞춰 트리거의 패턴과 장력이 자동 제어되는 방식이다.
다만 게임별 설정 방법이 다를 수 있으며 플랫폼에 따라 MOD를 지원하지 않거나 불법 프로그램으로 탐지할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 설명서에서도 이 기능으로 인해 발생하는 책임은 사용자 본인에게 있다고 경고하고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APEX4에 들어간 스마트 인터랙티브 스크린의 애니메이션 효과도 소프트웨어로 변경할 수 있으며 기본 GIF를 변경하여 나만의 디스플레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와 연결 상태 등을 보여주는 상태바 표시 유무도 선택 가능하다.
PC에 연결된 APEX4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또는 모든 사용자 커스텀 설정이 의도한 대로 적용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 항목에서 아날로그 스틱을 비롯해 주요 버튼의 동작 및 반응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게임패드를 조작할 때마다 폴링레이트가 실시간으로 표시되어 동작 성능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끝으로 닌텐도 스위치 모드 설정이 별도의 항목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메뉴 자체는 PC 버전과 비슷하지만 자이로 센서나 키보드/마우스 맵핑 등 PC에서만 지원되는 기능들이 빠져있다.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보드나라 미디어국. www.bodnar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