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2월 마지막 날, 오랫동안 기다려온 AMD의 라데온 RX 9000 시리즈에 대한 정보가 공개되어다. QHD 급 가격으로 4K 경험을 제공한다는 내용을 전면에 내세운, 쉽게 말해 이번에도 가성비를 추구하는 것이 라데온 RX 9000 시리즈의 특징이다.
라데온 RX 9000 시리즈는 기존의 xx90, xx80 모델없이 이번에 발표된 라데온 RX 9070 시리즈가 최고 사양 모델인, 기존 제품군 중에서 메인스트림 모델까지만 출시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음 세대를 위해 기운을 모으기 위해 잠시 쉬어가는 모델로 볼 수 있는데, 2월 말 발표 당시 공개된 아키텍처와 플랫폼 업그레이드에 대한 내용에 이어, 이번 기사에서는 실제 성능을 점검해 보겠다.
라데온 RX 9000 시리즈 아키텍처 관련 내용은 기존 보드나라 기사를 참고하기 바란다.
지포스 RTX 4070 시리즈 대응, 라데온 RX 9070 XT/ RX 9070 시리즈
라데온 RX 9070 시리즈는 지포스 RTX 4070 시리즈에 대응하는 모델로, 2월 말 발표 당시 라데온 RX 9070 XT는 지포스 RTX 5070 Ti에 대응한다. 라데온 RX 9070은 자연히 지포스 RTX 5070 또는 RTX 4070 Ti에 대응하는 포지션이다.
라데온 RX 9070 XT 네이밍상 메인스트림급 모델임에도 라데온 RX 7900 XT에 대응한다고 발표된데다, 공식 가격(RX 9070 XT 599달러 | RX 9070 549달러)을 감안하면 경쟁 모델 및 전 세대 모델 대비 높은 가성비를 기대할 수 있다.
한가지 불안한 점은 레퍼런스 모델없이 제조사 커스텀 모델만 출시되는데다, 현재 환율과 엔비디아 신제품의 물량 부족 사태가 AMD 라데온 RX 9070 시리즈에서 재현될지 여부다. 이들은 제품이 출시되는 3월 6일 이후 확인할 수 있을테니, 본 기사에서는 실제 성능을 점검한다.
XT와 Non-XT,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시리즈 2종
라데온 RX 9070 시리즈는 레퍼런스없이 제조사 커스텀 모델만 출시되는 관계로, 이번 기사에서는 제이씨현에서 국내 공식 출시하는 기가바이트의 라데온 RX 9070 시리즈 제품,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XT 어로스 엘리트 제이씨현 모델과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게이밍 OC 제이씨현 두 모델을 이용해 테스트했다.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게이밍 OC 제이씨현(좌)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XT 어로스 엘리트 제이씨현(우)
두 제품 모두 팩토리 오버클럭된 제품으로, 기가바이트의 독특한 윈드포스 쿨링 솔루션을 기반으로 발열을 해소하며, 쿨링팬은 독수리 날개의 공기역학 디자인에서 영감을 받아 쿨링 성능을 최대 12.5% 향상 시킨 호크 팬(HAWK FAN)이 탑재되었다.
중앙 팬의 회전 방향을 양 측면의 팬과 반대 방향으로 설정해 쿨링팬 사이에서 발생하는 난류를 최소화해 소음과 쿨링 성능을 개선한 Alternate Spinning, GPU 온도와 로드율, 전력 상태에 따라 팬 동작을 결정하는 3D Active Fan 기술도 적용되었다.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게이밍 OC 제이씨현(좌)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XT 어로스 엘리트 제이씨현(우)
두 제품 모두 금속재 백플레이트를 이용해 PCB 보호와 함께 냉각 성능 개선을 위한 스크린 쿨링 디자인이 적용된 것도 특징이다.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XT 어로스 엘리트 제이씨현 모델의 백플레이트의 'AORUS' 브랜드 로고에는 ARGB LED가 심어져 있다.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게이밍 OC 제이씨현(상)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XT 어로스 엘리트 제이씨현(하)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XT 어로스 엘리트 제이씨현은 쿨링팬 프레임에 원형 ARGB LED와 측면 'AORUS' 로고, 쿨링팬과 측면 돌출 부위에도 ARGB LED가 심어져 있고,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게이밍 OC 제이씨현은 상단 측면에 제조사인 'GIGABYTE' 로고가 슬라이드 형태로 심어진 ARRGB LED를 제공한다.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시리즈 모델 2종에는 나사 고정형 그래픽 카드 지지대 연결을 위한 나사 홀이 모두 제공된다. 이중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XT 어로스 엘리트 제이씨현 모델에는 해당 나사홀을 활용하는 지지대가 번들된다.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게이밍 OC 제이씨현(상)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XT 어로스 엘리트 제이씨현(하)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XT 어로스 엘리트 제이씨현 모델은 세 개의 8핀 보조전원 커넥터,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게이밍 OC 제이씨현 모델은 2개의 8핀 보조전원 커넥터를 갖췄다.
각 보조전원 커넥터에는 해당 커넥터의 이상 유무를 직관적으로 표시해주는 디버그 LED가 심어졌고, 고성능 | 저소음 듀얼 바이오스 전환 스위치도 제공한다.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게이밍 OC 제이씨현(상)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XT 어로스 엘리트 제이씨현(하)
한편,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게이밍 OC 제이씨현과 기가바이트 라데온 RX9070 XT 어로스 엘리트 제이씨현 모델은, VRAM과 전원부 발열을 써멀블록에 전달하기 위해 서버급 써멀 컨덕티브 젤을 사용했다.
'젤' 이라는 이름처럼, 일반적인 써멀패드보다 액상에 가까운 물성을 보이기 때문에 제품 분해시 사방으로 퍼지기 쉽고, 이후 재 조립시 밀착성이 낮아져 냉각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번 기사에서는 제품 분해를 하지 않았다.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XT 어로스 엘리트 제이씨현과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게이밍 OC 제이씨현 그래픽 카드의 온도와 전력 소비량을 측정했다. 결과 확인 시 라데온 RX 9000 시리즈와 비교를 위한 지포스 RTX 시리즈 모두 제조사 커스텀 모델이며, 라데온 RX 7900 XT는 레퍼런스 모델인 점을 감안하기 바란다.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시리즈의 온도는 트리플 쿨링팬과 써멀 컨덕티브 젤, 호크 팬 디자인 등의 영향으로, 풀로드 시에도 50℃ 중반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한다.
GPU 온도 및 시스템 소비전력 테스트에서, 듀얼 바이오스를 지원하는 그래픽 카드는 모두 '고성능' 바이오스를 선택한 상태에서 진행되었다.
소비전력은 전체 시스템을 기준으로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게이밍 OC 제이씨현은 경쟁 모델 대비 적절한 수준을 보이지만,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XT 어로스 엘리트 제이씨현은 레퍼런스 기준 RX 9070 보다 84W 높은 TDP 스펙 영향으로 상당히 유독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라데온 RX 9070 XT를 가시권에 놓고 있다면 자신의 PSU 출력이 충분한지 미리 점검해둘 필요가 있다. 참고로 제조사인 기가바이트 홈페이지의 상품 설명에 따르면, 라데온 RX 9070 XT 어로스 엘리트 제이씨현의 권장 PSU 출력은 850W, 라데온 RX 9070 게이밍 OC 제이씨현의 권장 PSU 출력은 750W이다.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게이밍 OC 제이씨현(좌)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XT 어로스 엘리트 제이씨현(우)
이번 기사에서 살펴본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시리즈의 출력 포트 구성은 듀얼 HDMI 포트와 듀얼 DP 포트로 동일하다.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게이밍 OC 제이씨현 그래픽 카드에는 퀵 가이드만 제공되며,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9070 XT 어로스 엘리트 제이씨현 그래픽 카드에는 앞서 언급한 그래픽 카드 지지대에 더해, 제품 구매 후 30일 내 등록시 1년 보증 기간 추가 내용을 안내장, 육각형의 어로스 뱃지가 추가 제공된다.
제대로 타겟팅한 성능
라데온 RX 9070 시리즈의 실제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위와 같은 시스템에서 테스트를 진행했다.
참고로, 라데온 RX 7000 시리즈와 비교한다면 RX 9070 XT는 RX 7800 XT 대비 4개의 CU가 확장되었고, RX 9070은 RX 7700 XT 대비 2개의 CU 확장과 더불어 메모리 용량 4GB 증설 및 이에 따라 192bit 메모리 버스가 256bit로 확장된 것이 특징이다.
가격면에서 라데온 RX 9070는 RX 7900 GRE와 동일하며, RX 9070 XT는 50달러 높다.
3DMark 결과를 살펴자.
라데온 RX 9070 XT는 전 세대 하이엔드 라데온 RX 7900 XT에 준하고, 경쟁 모델 중 지포스 RTX 5070 Ti급의 성능을 보여준다.
라데온 RX 9070은 게임 환경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RX 7900 XT에 비해 부족하지만 포트 로얄과 스피드 웨이 레이 트레이싱 성능은 그 이상으로 나타났고, RTX 4070 Ti에 이상의 성능이 기대된다.
지포스 RTX 4070 Ti를 기준으로, 레이 트레이싱이 적용되지 않은 일반적인 게임의 종합 성능을 비교했다. 각 게임별 성능 차이는 기사 말미에 덧붙이니 자세한 결과는 해당 그래프를 확인하기 바란다.
그래프를 보면 라데온 RX 9070 XT는 지포스 RTX 5070 Ti에 살짝 미치지 못하지만 대략 95% 수준의 성능을, 라데온 RX 9070은 지포스 RTX 4070 Ti와 거의 동일한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라데온 RX 7900 XT와 비교했을 때 RX 9070은 약 95% 수준, RX 9070 XT는 높은 해상도에서 성능 차이를 벌려 약 105% 수준의 성능을 내준다.
라데온의 약점으로 지적 받아온 레이트레이싱 게임 성능은 어떨까?
일단, 라데온 RX 7900 XT와 비교했을 때 라데온 RX 9070과 RX 9070 XT 모두 확실히 높게 측정되었다. 라데온 RX 9070 시리즈의 GPU 구성이 RX 7900 XT 보다 낮은 걸 감안하면, RDNA4 아키텍처의 레이 트레이싱 성능 향상이 눈에 띈다.
여전히 지포스 RTX 시리즈와 비교했을 때 아쉽기는 하지만, 라데온 RX 9070 XT는 처음 발표 당시 타겟팅한 RTX 4070 Ti의 성능을 따라잡은 것도 주목할 점이다.
그렇다면 래스터와 레이트레이싱 게임 전체 성능을 종합, 지포스 RTX 4070 Ti를 기준으로 성능 비율을 정리했다.
라데온 RX 9070은 라데온 RX 7900 XT에 준하는 성능을 제공한다. 가격 차이(549달러 | 899달러)를 감안하면 무려 60%에 달하는 가성비 향상을 이룬 것이다. 이는 RX 9070 XT 또한 마찬가지로, 50%에 달하는 가성비 개선이 이뤄졌다.
경쟁사인 엔비디아의 지포스 RTX 5070 Ti와 비교할 때 RX 9070 XT의 전체적인 성능은 약 90% 수준으로 살짝 아쉽지만 가격 부담은 무려 150달러나 적고, RTX 4070 Ti와 비교하면 더 높은 성능을 200달러나 적은 부담으로 경험할 수 있다.
라데온 RX 9070은 제품 등급 차이에 따라 RTX 4070 Ti와 RTX 5070 Ti에 비해 확실히 아쉬운 것은 사실이지만, 최대 250달러에 달하는 가격 차이가 이를 상쇄해줄 매력이 된다.
라데온 RX 9070 시리즈, AMD VGA 반등 신호?
그동안 AMD 라데온 그래픽 카드는 경쟁 모델에 비해 가성비를 앞세웠지만 성능에 비해 여전히 비싼 가격, 라데온 그래픽 카드에 대한 선입견 등으로 인해 AMD가 의도했던 만큼의 호응을 이끌어 냈는지는 의문이다.
출시 이후 가격 조정이 이뤄지면서 반등한 경우는 있지만 출시 초기 인식을 바꾸기 쉽지 않고, 반등할쯤 되면 엔비디아의 'Super' 모델에 역습을 당하는 상황을 타계하기는 쉽지 않았다.
이런 상황을 타계하기 위해서인지, AMD는 라데온 RX 9070 시리즈의 가격을 경쟁사 대비 크게 인하했다.
이와 관련해 한동안 제조사들과의 마찰이 있었다는 루머나, 처음 1월 말로 계획되었던 출시일이 3월 초로 연기되었다는 소식, 게다가 RX 9000 시리즈에서는 하이엔드 성능 경쟁을 포기하고 메인스트림급에 집중하겠다는 내용 등은, AMD가 라데온 RX 9000 시리즈에 사활을 걸었다는 내용에 힘을 실어준다.
실제 성능도 경쟁 모델에 비해 충분히 대등한 수준이고, 아래 따로 정리한 각 게임별 성능을 보면 패스트레이싱 같이 아쉬운 부분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종합 성능 뿐 아니라 각 게임별 경쟁력도 확실하다.
특히, 엔비디아의 지포스 RTX 50 시리즈는 출시 이후 아직까지 수량 부족에 치솟은 시장 가격으로 돈 있어도 구하기 힘든 시기가 이어지고, 일부에선 하반기는 넘어가야 상황이 호전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그에 반해 라데온 RX 9070 XT의 재고는 지금까지의 전체 지포스 RTX 50 시리즈 공급량을 이미 초과했다는 소식이 들려올 정도로 상황이 유리하다. 실제 공급 상황은 출시 이후 확인이 필요하겠지만, 현재 라데온 RX 9070 시리즈를 둘러싼 상황은 청신호로 가득한 느낌이다.
플래그십 포기, 공격적인 가격 책정, 회사의 의도인지 확실친 않지만 출시 연기를 통한 초기 물량 확보 등, 여러모로 사생결단의 의지가 느껴지는 AMD의 라데온 RX 9070 시리즈가 시장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주목된다.
게임별 RX 9070 시리즈 성능
비 레이트레이싱 게임 성능 정리
아래 게임 결과는 레이트레이싱 옵션이 적용되지 않은 게임들 8종의 결과다.
테스트에 사용된 각 게임의 프리셋을 함께 표시하였으며, 스타필드, 칼리스토 프로토콜, 사이버펑크 2077은 프리셋 자체에 통합된 업스케일링 옵션을 별도로 표기했다.
레이트레이싱 게임 7종 성능 정리
이번 테스트 결과는 레이트레이싱이 적용된 게임의 성능을 정리했다.
스타워즈 아웃로와 검은신화 오공 등 최신 타이틀 중에는 레이트레이싱을 별도 옵션이 아닌 기본적으로 통합한 경우가 있는데, 이번 테스트 중에서는 사이버펑크 2077을 제외한 게임들이 기본으로 레이트레이싱 통합이 이뤄졌다.
참고로, 검은신화 오공과 스타워즈 아웃로는 더 사실적인 광원 환경을 만들지만 그만큼 더 높은 성능이 요구되는 패스 트레이싱을 지원하며, 이번 테스트에서는 해당 옵션에 업스케일링, 프레임 생성을 결합해 테스트한 경우를 별개 타이틀로 취급해 종합 성능에 반영했다.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보드나라 미디어국. www.bodnar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