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의 스토리지의 폼팩터는 상당히 오랫동안 HDD 기반으로 이어지다가 SSD의 본격적인 등장으로 빠른 변화를 맞이 하고 있다.
그리고 단순히 HDD에서 SSD로 넘어온 것 뿐만 아니라, SSD 자체에서도 기존 2.5인치 사이즈의 SATA 폼팩터에서, 아예 PCB 기판과 모듈만 구성된 M.2 폼팩터로 넘어오는데에도 불과 몇년이 걸리지 않은 느낌이다.
또한 SSD의 자체 성능 역시 PCIe 세대가 올라가면서 매 세대마다 거의 2배에 가까운 성능향상을 이루고 있어 스토리지가 PC 다른 하드웨어의 발목을 잡긴 하지만 예전 HDD 때만큼 크게 잡는 느낌은 아닌 요즘이다.
현재 최신 고성능 SSD 하면 최신 CPU 세대부터 지원하기 시작한 PCIe Gen5를 꼽겠지만, 사실 아직 많은 제조사에서 PCIe Gen5가 적용된 SSD를 주력으로 상품으로 밀기에는 크게 활성화된 시장은 아니라고 보여진다.
왜냐하면 여전히 PCIe Gen4 기반 SSD 성능만해도 왠만한 작업용 PC, 게이밍을 위한 SSD로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하기만 한다면, 충분히 만족하고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전히 많은 SSD 제조사들은 PCIe Gen4 기반의 고성능 SSD의 신제품을 꾸준히 출시하고 있다.
그리고 얼마전, 다양한 SSD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는 마이크론에서 신제품 크루셜 T500 Gen4 NVMe M.2 SSD 를 선보였다.
케이벤치에서 이번에 살펴본 크루셜 T500 Gen4 NVMe M.2 SSD는 500GB 모델이며, 500GB, 1TB, 2TB를 선 출시 하고, 내년에는 4TB 용량도 출시하는 마이크론 232단 레이어 3D TLC 낸드 플래시 SSD다.
■ 마이크론의 신제품, T500 스펙 확인
이번 크루셜 T500 Gen4 NVMe M.2 SSD 모델 라인업은 사실 올해 초 PCIe Gen5 기반의 고성능 SSD, T700의 모델 설계를 기반으로한 Gen4 모델이라 생각 하면 쉽다.
일단, 일반적인 디자인은 마이크론사의 M.2 제품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이다.
검은색 PCB 기판에 양면이 아닌 단면 구성이고, M.2 2280 사이즈로 구성되어 있으며 폼팩터는 PCIe 4.0 특히 Gen4 라고 부르는 인터페이스로, NVMe 버전은 2.0이다.
표기 스펙의 경우, 케이벤치에서 살펴본 500GB 모델의 경우 7200MB/s 읽기, 5700MB/s 쓰기이며 무작위 읽기 800K, 무작위 쓰기 30M이다.
스티커를 살짝 들춰 컨트롤러 및 낸드를 확인해보면, 컨트롤러는 파이슨사가 작년에 출시한 PS5025-E25 컨트롤러를 활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낸드 플래시는 앞서 이야기 했듯이 232단 레이어 3D TLC 낸드 플래시가 제공된다.
또한 LPDDR4 DRAM이 1GB 제공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속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성능 확인
사실 SSD는 표기한 만큼, 본연의 성능이 나와야 기본은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면에서 크루셜 T500 Gen4 NVMe M.2 SSD 모델은 고성능 제품 답게 Gen4 레벨의 NVMe SSD가 보여줄 수 있는 최상위 성능을 보여준다.
이번 크루셜 T500 Gen4 NVMe M.2 SSD 모델의 제대로된 성능을 모두 제공 받기 위해서는 M.2 슬롯 과 NVMe 인터페이스를 지원해야하는 것은 물론, PCIe 4.0을 지원해야만 모든 성능을 온전히 제공 받을 수 있음을 참고하길 바란다.
또한, 고속의 성능을 온전히 유지하기 원한다면, 메인보드에서 제공되는 방열판을 꼭 장착하는 것이 중요하며, 만약 방열판이 미제공되는 메인보드라면, 별도의 방열판을 붙여 사용하는 것을 매우 권장한다.
사실 이제 PCIe Gen4, 그리고 이번 크루설 T500 Gen4 NVMe M.2 SSD 같은 수준에 이르게 된다면, 발열은 사실 거의 필수적으로 성능만큼 높게 나타날 수 밖에 없고, 이를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더 중요하기 때문에 발열이 어느정도 수준이냐 보다 중요한 것이 바로 방열판 부착이며 이 또한 어떻게 잘 관리하느냐가 중요하다.
본격 성능 테스트는 간단하게 CrystalDiskMark 및 ATTO로 진행해보았다.
테스트 결과 CrystalDiskMark에서는 순차읽기 쓰기, 4k 성능 등도 약간의 오차는 보이지만 크게 엇나가지 않는 모습을 보여줬다.
ATTO 테스트의 경우에는 용량 별 테스트이기도 하고 벤치마크 툴마다의 다른 테스트 방식 때문인지는 몰라도, CrystalDiskMark 보다는 다소 낮은 성능이 등록되긴 했지만, ATTO 툴이 비교적 낮게 나오는 특성을 생각해보면 큰 문제가 있어 보이는 성능 체크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SLC 캐싱 테스트를 위해 나래온 쓰기 더티테스트도 진행해보았다.
크루셜 T500 Gen4 NVMe M.2 SSD 500GB 기준 약 35% 사용 구간부터 성능 하락이 일어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35%면 약 175GB의 이상의 용량을 연속쓰기 할 경우 SLC 캐싱 구간이 끝나는 것으로 보인다.
500GB 모델 치고는 상당히 많은 용량으로 만약 1TB, 2TB, 내년의 4TB 모델들은 더 많은 연속쓰기의 안정권을 보여줄 것으로 생각된다.
디램리스 모델들의 경우에는 최근 HMB를 통해 많이 개선된 연속쓰기 성능을 보여주곤 하지만, 여전히 DRAM 유무의 안정적 차이는 테스트로 확인되는 느낌이다. 그 이유는 크루셜 T500 Gen4 NVMe M.2 SSD 500GB 의 캐싱 구간이 끝나기 직전까지도 꾸준히 표기 스펙만큼의 성능이 유지되는 결과를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 다이렉트 스토리지 및 PS5 콘솔 활용 등
크루셜 T500 Gen4 NVMe M.2 SSD 모델은 PCIe Gen4 기준 최상위 성능을 제공하는 모델이기도 하면서 다양한 최신 플랫폼, 환경 등에서도 적극 활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최근 최신 PC 게임들에서 속속 활용 되어가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다이렉트 스토리지 활용이다.
거의 무로딩 수준의 빠른 로딩 성능을 제공하기 위한 PC 스토리지 기술로, 현재 포스포큰에서 대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실제로 크루셜 T500 Gen4 NVMe M.2 SSD 모델에 포스포큰을 설치하고 벤치마크를 이용해 로딩 성능을 확인 해보았는데 첫 벤치마크 로딩이 3초 수준에서 해결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후, 상황에 따라 더 짧거나 더 긴 로딩 타임이 나오긴 하지만, 다이렉트 스토리지 기술로 앞으로 나올 여러 최신 게임에서 더 빠른 로딩, 렌더링을 경험할 수 있다.
또, PS5 콘솔에서의 추가 스토리지 확장 요구사항도 충분히 지켜지는 스펙이며, 케이벤치에서 살펴본 크루셜 T500 Gen4 NVMe M.2 SSD 500GB 모델은 방열판이 제공되지 않은 라인업이지만, 1TB 이상의 제품군에서는 방열판이 함께 제공되는 SKU도 있다는 점 참고해서 이를 활용하면 별도 방열판 구매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도 이야기 하고 싶다.
이외에도, 고성능 SSD는 영상 편집이나 렌더링 작업 등에서 만족 할 수 있는 성능인 만큼, 선택시에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 생각보다 오래갈 것으로 생각되는 PCIe Gen4 기반 SSD 시장
본문에서도 밝혔지만, 이번 크루셜 T500 Gen4 NVMe M.2 SSD 모델의 경우, 올해 초 마이크론이 PCIe Gen5 제품을 선보이면서 추가한 T700 라인업의 PCIe Gen4 고성능 버전이라고 보면 라인업을 이해하기 쉽다.
향후 PCIe Gen5가 기본 플랫폼화 될 것은 어김 없는 사실이겠지만, 현재 용량대비 비용적인 면, 아직 PCIe Gen5 지원 메인보드들이 최신 세대의 고급형 메인보드 위주로만 지원하고 있는 점 등을 감안했을때 아무래도 당분간 PCIe Gen4 SSD들이 좀더 대세로 자리잡아 나갈 것으로 보인다.
그런부분에 있어서 PCie Gen4 제품들 가운데에서도 경쟁이 있기 마련이고, 다양한 등급차가 있는데, 이번 크루셜 T500 Gen4 NVMe M.2 SSD 모델은 그중에서 최상위 성능을 제공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만큼, 고성능을 필요로하는 사람들에겐 매력적인 제품중 하나가 아닐까 싶다.
또, 이정도 성능이라면, 벤치마크정도를 제외한다면 왠만한 작업 상황에서는 최신 플랫폼과도 체감적 성능차이는 거의 없을 것이라 여겨지는 개인적인 생각이 있다.
따라서, 고성능의 스토리지를 구성하고 싶고 현재 PCIe 4.0, Gen4를 지원하는 M.2 플랫폼을 이용중이라면, 이번 크루셜 T500 Gen4 NVMe M.2 SSD 모델 라인업을 유심히 살펴보고 선택해보는 것을 추천 하고 싶다.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케이벤치 미디어국. kbench.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