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서 프로세서, 그래픽카드의 발전 속도는 보다 낮아진 공정과 더불어서 높은 숫자의 트랜지스터를 집적 하면서 "전력 효율" 이라는 측면에 촛점을 맞추면서 사용자들의 패턴에 따른 성능을 유지하는 것을 진화되고 있다. 여기에 최근 들어서 스토리지의 기본 용량과 더불어서 속도도 조금씩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인텔, AMD 모든 메인보드에서 2.5 인치 기반의 SSD, 엄밀하게 말하면 SATA3 포트 및 프로토콜 방식을 벗어나려고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최근 들어서 구입하는 대부분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기본 스토리지는 낸드 플래시 기반의 NVMe SSD. M.2 2280 으로 통합되고 있다.
기존의 2.5인치 SATA3 SSD는 장점이 현재의 시점에서는 대부분 단점이 되어 버렸는데 M.2 2280 가 소형화, 장착의 용이함 그리고 프로세서 및 칩셋의 PCIe 레인에 직결이 되는 만큼 빠른 속도까지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M.2 2280 규격의 SSD는 동일한 외형을 가지고 있지만 내부의 프로토콜 변화와 상위 버전의 보다 빨라진 PCIe 레인에 연결되면 높아진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오늘은 현재 시점에서 가장 빠른 스펙을 가지고 있는 커세어의 MP700 SSD를 살펴보도록 하자.
■ CORSAIR MP700 M.2 NVMe 1TB
▲ 상세 스펙 : 내장형SSD / M.2 (2280) / PCIe5.0x4 (128GT/s) / NVMe 2.0 / TLC(기타) / 3D낸드 / DRAM 탑재 / 컨트롤러: PS5026-E26 / [성능] 순차읽기: 10,000MB/s / 순차쓰기: 10,000MB/s / 읽기IOPS: 1,500K / 쓰기IOPS: 1,700K / [지원기능] TRIM / GC / S.M.A.R.T / AES 암호화 / [환경특성] MTBF: 160만시간 / TBW: 1,400TB / A/S기간: 5년 , 제한보증 / 방열판 미포함 / 두께: 3mm / 60g
▲ 커세어 MP700 PRO 내부에는 본체를 보호하는 PCB 케이스에 담겨져 있으며 제품에서 발생하는 열에 대비하여 반드시 발열판을 사용하라는 권고가 스티커로 붙어 있었다.
▲ 제품의 구성은 "양면" 타입으로 제품의 위, 아랫면에 모두 낸드 플래시가 장착되어 있다. 제품의 윗 부분에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외에 캐시로 사용되는 D램과 더불어서 펌웨어 및 컨트롤러가 위치해있다. 아랫면에는 낸드 플래시만 장착되어 있다.
▲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스티커는 알루미늄 소재 그리고 별도의 서멀 페이스트로 단단하게 부착이 되어 있으며 3D TLC 낸드 플래시 및 D램은 모두 마이크론 제품이며 컨트롤러는 파이슨의 PS5026-E26 가 사용된다.
■ Gen5 x4 이를 지원하는 메인보드 구입이 필수
자, 우선 이 제품을 설치,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 Gen5 x4 속도를 지원하는 메인보드의 선택은 필수이다. 현재까지는 상위 인텔 Z790 칩셋 메인보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알 수 있는 것은 구입하고자 하는 혹은 사용하고 있는 메인보드의 상품 정보를 꼼꼼하게 봐야 한다. 왜냐하면 육안으로 보이는 외형은 M.2 2280 슬롯 (소켓) 이어서 동일하기 때문이다.
▲ ASRock Z790 Nova WIFI 에즈윈 : 인텔(소켓1700) / 인텔 Z790 / ATX (30.5x24.4cm) / 전원부: 20+1+1페이즈 / 페이즈당90A / Vcore출력합계: 1800A / 메모리 DDR5 / 8000MHz (PC5-64000) / 4개 / 메모리 용량: 최대 192GB / XMP3.0 / EXPO / 확장슬롯 VGA 연결: PCIe5.0 x16 / PCIe버전: PCIe5.0, PCIe4.0 / PCIex16: 1개 / PCIex16(at x4): 1개 / PCIex1: 1개 / CrossFire / 저장장치 M.2: 6개 / SATA3: 4개 / M.2 연결: PCIe5.0, PCIe4.0, NVMe , SATA , PCIe 레인공유 / 후면단자 HDMI / DP / USB 3.2 / USB 3.1 / USB 3.0 / USB 2.0 / RJ-45 / S/PDIF / 오디오잭 / 클리어CMOS / 랜/오디오 유선랜 칩셋: Killer / 2.5기가비트 / RJ-45: 1개 / 무선랜(Wi-Fi) / 블루투스 / 오디오 칩셋: Realtek ALC4082 / 7.1채널(8ch) / 내부I/O I/O 헤더: 썬더볼트4 헤더 , USB 3.0 헤더 , USB 2.0 헤더 , USB3.2 Type C 헤더, RGB 12V 4핀 헤더 , ARGB 5V 3핀 헤더 , TPM 헤더 / 시스템팬 4핀: 5개 / VRM 4핀 1개 / USB2.0 헤더: 2개 / USB3.0 헤더: 2개 / 특징 전원부 방열판 / SPS(DrMOS) / M.2 히트싱크 / LED 라이트 / UEFI / 인텔 TBMT 3.0 / 인텔 TBV / 인텔 ABT
▲ 제품의 스펙을 찾아보게 되면 메인보드의 M.2 연결을 PCIe 5.0 , PCIe 4.0 으로 된다는 부분을 명기하고 있다.
■ 연속 읽기, 쓰기 그리고 더티 테스트에서의 성능
자, 이제 제품이 가지고 있는 스펙 및 사용하고자 하는 메인보드의 선택 등을 확인해 봤다면 이제는 이 제품의 성능을 확인해 보도록 하자. 테스트 스펙은 에즈락 Z790 Nova WIFI 가 사용되었으며 인텔 코어 i9 14900K 가 사용되었다.
▲ 연속 읽기 약 11,670 MB/s 와 연속 쓰기 약 9,530 MB/s 로 측정되었다.
제품의 더티 테스트 결과는 일반 여느 M.2 2280 규격의 SSD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전반부 부분에 약 12% 정도 구간까지 속도를 꾸준하게 유지를 하다가 그 이상의 영역으로 가게 되면 전체적으로 느려지는 속도를 보여준다. 어느 정도 무난한 측정 결과로 보여졌다.
■ 커세어에서 제공하는 SSD 관리 Toolbox
커세어의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딩 받을 수 있는 커세어 Toolbox 는 자사에서 출시하고 있는 SSD를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펌웨어 업데이트, SSD 상태 모니터링 및 완전한 포맷을 통해 해당 내용을 불구 불가능한 포맷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다른 SSD 제품과도 마찬가지로 제품을 처음으로 구입하게 되면 꼭 해당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개선된 펌웨어를 업데이트 하길 권한다. SSD의 펌웨어 업데이트 주기는 상당히 긴 편이기 때문에 구입시 초기 적용된 펌웨어에서 상위 펌웨어는 신제품 일수로 나와 있을 확율이 높기 때문이다.
■ 조금 이라도 빠른 속도를 원하는 유저에게 CORSAIR MP700 M.2 NVMe 1TB
간단하게 테스트를 통해 확인해본 커세어 MP700 1TB SSD는 지금 주력 모델이라고 볼 수 있는 Gen4 x4 대비 약 25% 정도 빠른 연속 읽기 및 쓰기 성능을 가졌다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을 듯 하다. 현재 주력으로 판매되고 있는 SSD의 기본적인 스펙은 Gen3 x4 이다. 이 제품의 연속 읽기 쓰기 성능이 3,500 MB/s 내외를 보이며 Gen4 x4 는 제품 마다 차이가 있지만 연속 읽기, 쓰기 5,000 ~ 7,500 MB/s 정도를 보인다. 여기에서 이 제품은 Gen4 x4 보다 25% 정도 빠른 연속 읽기, 쓰기 10,000 MB/s 를 보이기 때문에 조금 이라도 더 빠른 성능을 원하는 분들이라면 구입해 볼만한 가치가 있는 제품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이런 빠른 성능은 아무래도 제품 자체의 높은 열을 대비해 줘야 하므로 가능하면 메인보드의 M.2 SSD 방열판을 꼭 설치해 주는 것이 좋으며 만약 이 부분이 없다라고 하면 동일한 커세어 MP700 모델 중에서 방열판이 적용되어 제품이 있으므로 이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