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 네트워크에서 유선으로 연결해야 하는 컴퓨터가 생긴다고 하면 추가적인 랜 케이블을 포설하기 보다는 분기가 되는 지점에 스위치 허브를 장착하여 전체적인 로컬랜 유선 작업을 하는 것이 좋다. 그래서 분기되는 지점에 사용하고자 하는 혹은 연결하고자 하는 컴퓨터 본체 숫자가 확인 된다면 그를 포함하는 포트의 숫자를 가진 스위치 허브를 연결해주면 된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스위치 허브의 크기가 보다 작다면 케이블 배선에 상당히 유리하다. 오늘 고개할 제품은 100Mbps / 1000Mbps 속도로 연결해 줄 수 있는 작은 크기의 스위치 허브를 소개하고자 한다.
■ EFM, ipTIME H8005 기가비트 스위치허브
▲ 간략스펙 :스위치허브 / 5포트 / 1Gbps / 점보프레임 9KB / 가로: 84mm / 세로: 52mm / 높이: 26mm
▲ EFM, ipTIME H8005 기가비트 스위치허브 에는 간단한 보증서 및 어뎁터를 포함하고 있는데 어뎁터의 출력을 5W 이다.
▲ EFM, ipTIME H8005 기가비트 스위치허브 의 작동은 상단에 블루 인디케이터 LED 를 통해 연결 및 작동 상태를 알 수 있으며 후면에 총 5개의 RJ45 기가비트 포트를 가지고 있다. 제품의 바닥면은 파티션 혹은 벽면에 마운트할 수 있는 2개의 홀을 가지고 있다.
■ EFM, ipTIME H805 스위치허브
▲ 간략스펙 : 스위치허브 / 5포트 / 100Mbps / 가로: 84mm / 세로: 52mm / 높이: 26mm
▲ EFM, ipTIME H805 스위치허브는 앞서 봤던 H8005 와 대동소이한 구성 및 외형을 가지고 있다. 단지 차이가 있다면 각기 스위치 허브가 낼 수 있는 최대 속도 차이이다.
오늘 기사를 통해 소개한 2가지 스위치 허브는 동일한 외형와 크기, 포트의 숫자 및 소비전력 등을 같은데 단지 차이가 있다면 낼 수 있는 최대 속도만이 차이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큰 가격차이가 안나기 때문에 가능하면 기가비트 속도를 가지고 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