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제품 소개 및 특징
지난 1월 AMD Radeon RX 6000 시리즈의 막내이자 엔트리급 그래픽 카드인 AMD Radeon RX 6500 XT가 정식 출시되었습니다.
엔트리급이니 만큼 일반적인 패키지형 게임보다 LOL, 오버워치 등과 같은 온라인 기반 게임들을 주로 플레이하는 게이머들에게 주목을 받게 되었는데요. 상위 모델들과는 다르게 6nm 공정으로 제작되어 최대 부스트 클럭이 2,815MHz로 확인됨에 따라 그래픽 카드의 확보가 어려운 현재 PC 시장에서 충분히 고려해볼 만한 선택지로 여겨졌습니다. 물론 클럭 이외의 성능은 상위의 RX 6600 XT의 절반 수준이고 메모리 대역폭도 낮기 때문에 실제 성능은 RX 6600 XT보다 확실히 낮을 것으로 예상되었지요.
다만 출시 전부터도 걱정되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PCIe 4.0의 레인 수가 4개 뿐이라 B450과 같이 PCIe 3.0을 지원하는 메인보드에서는 병목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VRAM 부족에 따른 성능 하락도 커지게 됩니다. 실제로 이전 세대인 RX 5500 XT의 경우 비슷한 결과를 보였기 때문에 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최소 B550 메인보드가 필요한 셈이며, 그마저도 게임이 사용하는 VRAM 용량이 4GB를 넘지 않아야 한다는 전제가 붙습니다.
또한 RX 6600 미만의 Navi 24 GPU부터는 하드웨어 인코딩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데, 이는 곧 AMD의 화면 녹화 및 스트리밍 도구인 Radeon ReLive도 사용하지 못한다는 뜻이 됩니다. 그래픽 카드의 주 목적이 게임 플레이라 하더라도, 타 라인업의 그래픽 카드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을 쓰지 못한다는 것은 실사용이나 구매에 있어 디메리트로 작용할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어찌됐든 그래픽 카드로써는 성능을 살펴보는 것이 우선이겠지요. 엔트리급의 특성상 주 사용 환경은 확실히 정해져 있는 상태인데, 그에 따라 1080P 환경에서의 게이밍 성능은 과연 어느 정도일지 확인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그럼 비레퍼런스 제품인 GIGABYTE Radeon RX 6500 XT EAGLE D6 4GB 제이씨현으로 각종 벤치마크 및 게임 테스트를 진행하여 AMD Radeon RX 6500 XT의 성능을 한 번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 . 패키지 및 외형
3 . PCB 및 쿨러










4 . 테스트 구성
그래픽 카드의 성능 측정을 위한 실내 온도는 주기적인 온도 관리로 23±1℃ 수준을 꾸준히 유지했음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테스트에 사용된 시스템 구성과 GPU-Z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 GIGABYTE Radeon RX 6500 XT EAGLE D6 4GB 제이씨현
5 . 성능 테스트: 벤치마크 툴
※ 결과 분석은 "결론"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 3DMark: Port Royal, Time Spy, Time Spy Extreme
■ VRMark: Cyan Room, Blue Room
6 . 성능 테스트: 게임 라인업
■ League of Legends
- 그래픽 프리셋 "매우 높음", 안티 앨리어싱 ON
- 1080P / 1440P / 2160P 해상도
- 특정 경기의 관전 기능을 사용
■ OVERWATCH
- 그래픽 품질 "최상", 렌더링 스케일 100%
- 1080P / 1440P / 2160P 해상도
- 5분 간 특정 구간을 이동하는 방식으로 3회 측정 후, 취합한 결과의 평균값을 적용
■ Tom Clancy's Rainbow Six Siege
- 그래픽 전체 품질 "울트라"
- 1080P / 1440P / 2160P 해상도
- 내장된 벤치마크 기능을 사용
■ PLAYERUNKNOWN'S BATTLEGROUNDS
- 전반적인 그래픽 품질 "울트라"
- 1080P / 1440P / 2160P 해상도
- 전적 > 다시 보기 기능을 사용
■ Monster Hunter Rise
- 그래픽 설정 "고"
- VRAM 초과로 "고해상도 텍스처" 항목만 OFF로 변경
- 1080P / 1440P / 2160P 해상도
- 10분 간 특정 맵에서 특정 대형 몬스터와 전투하는 방식으로 측정
■ Gears 5
- 비디오 프리셋 "극대"
- 1080P / 1440P 해상도
- 내장된 벤치마크 기능을 사용
■ Halo Infinite
- VRAM 초과로 품질 사전 설정 "낮음"을 적용
- 1080P / 1440P (2554x1436) 해상도
- 내장된 벤치마크 기능을 사용
■ Horizon Zero Dawn
- "최고급 품질" 프리셋
- 1080P / 1440P 해상도
- 내장된 벤치마크 기능을 사용
■ Shadow of the Tomb Raider (DX12)
- 그래픽 프리셋 "가장 높게"
- 1080P / 1440P 해상도
- 내장된 벤치마크 기능을 사용
7 . 성능 테스트: 게임 결과
※ 결과 분석은 "결론"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 League of Legends
■ OVERWATCH
■ Tom Clancy's Rainbow Six Siege
■ PLAYERUNKNOWN'S BATTLEGROUNDS
■ Monster Hunter Rise
■ Gears 5
■ Halo Infinite
■ Horizon Zero Dawn
■ Shadow of the Tomb Raider
8 . 성능 테스트: 하드웨어 측정 결과
■ 온도 측정 결과
▲ 상단: 풀로드 상태 / 하단: 유휴 상태
■ 소음 측정 결과
■ 소비전력 측정 결과
■ 코어 클럭 속도 측정 결과
9 . 결론
지금까지 살펴본 GIGABYTE Radeon RX 6500 XT EAGLE D6 4GB 제이씨현 그래픽 카드의 벤치마크 결과를 정리해보면, PCIe 4.0 인터페이스 환경 기준으로 1080P 게이밍에는 지장이 없는 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주요 대상이라 할 수 있는 LOL, OVERWATH, Rainbow Six Siege와 같은 게임에서는 최대 그래픽 옵션으로 1440P 해상도까지도 무난하게 소화하며 옵션에 따라 2160P 해상도도 플레이 가능 범위에 들어갑니다. 근래 발매된 Monster Hunter Rise의 경우에도 VRAM 때문에 고해상도 텍스쳐 옵션을 꺼야하긴 하지만 1440P까지는 무리없이 플레이가 가능한 편입니다.
Battlegrounds를 포함한 고사양 위주의 Steam 플랫폼 게임들은 최대 그래픽 옵션 기준으로 1080P 해상도가 한계이며, 옵션을 중간 이하로 낮춘다면 게임에 따라 1440P 해상도에서도 충분히 플레이할 수 있겠습니다. 다만 Halo Infinite와 같이 상대적으로 VRAM을 많이 사용하는 게임이라면 그래픽 옵션을 최하로 낮추더라도 플레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렇듯 게이밍 성능 자체로는 그럭저럭 합격점이지만,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4개 레인의 PCIe 4.0 인터페이스가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기본적으로 B550 미만의 PCIe 3.0 기반 메인보드에서는 본래의 성능을 발휘하기 어려운데, 새롭게 시스템을 구성하는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큰 문제가 없겠으나 기존에 엔트리급 시스템을 갖춘 라이트 게이머들에게는 교체의 메리트가 다소 떨어질 수 있겠습니다.
또한 테스트군 중에서 최신 게임으로 꼽을 수 있는 Halo Infinite나 Monster Hunter Rise에서 이미 VRAM 4GB의 한계에 근접하거나 약간 초과한 상태인데, 대역폭의 한계로 이를 보완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미래를 내다보고 PCIe 4.0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 또한 그리 매력적이진 않습니다.
게임 플레이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곤 하나, 하드웨어 인코딩이 불가능하여 Radeon ReLive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녹화나 스트리밍을 할 수 없다는 점도 사용자에 따라서는 아쉬움으로 꼽을 수 있겠지요.
따라서 AMD Radeon RX 6500 XT는 적정 성능을 보유하고 있긴 하나 타겟층이 다소 한정되어 있는 제품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1080P 해상도 환경에서는 상대적으로 VRAM을 많이 요구하거나 너무 고사양을 요구하는 게임이 아니라면 높은 그래픽 옵션으로 무리없이 플레이가 가능하기 때문에, PCIe 4.0 지원 메인보드를 이미 갖추고 있거나 갖출 예정인 라이트 게이머에게는 어느 정도 적합한 편입니다. 스트리밍이나 녹화 등의 인코딩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사용자라면 고려해볼 여지가 좀 더 늘어나겠지요.
RX 6000 시리즈의 엔트리급 그래픽 카드로써 기대했던 수준에 못미치는 모델인 것은 아쉽지만, 사용 환경이나 주요 플레임 게임에 있어 일치하는 부분이 있다면 한 번쯤 살펴볼 만한 제품으로 평가됩니다.
< 저작권자 (C) 플레이웨어즈(www.playware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