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제품 소개 및 성능
지난 리뷰를 통해 AMD의 전문가용 그래픽 카드인 AMD Radeon PRO W6600 및 W6800을 살펴본 바 있습니다. 이러한 AMD Radeon PRO W6000 시리즈 중 하위 모델인 AMD Radeon PRO W6400 D6 4GB는 AMD RDNA 2 아키텍처 및 TSMC 6nm FinFET 공정을 기반으로 하며, PCIe 4.0 x4 규격과 부담없는 단일 슬롯 크기를 갖추고 있고 별도의 외부 전원 커넥터를 필요로 하지 않는 등 전반적으로 엔트리급 워크스테이션에 적합한 전문가용 그래픽 카드라 할 수 있겠습니다.
상위 모델인 W6800이나 W6600과 마찬가지로 Adobe Premiere Pro 및 After Effects, Autodesk 3ds Max 및 Maya 등이 포함된 Day Zero 인증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어 높은 안정성이 보장된 누적 1,590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고 최신 기능 역시 빠르게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AMD의 물리 기반 렌더링 엔진인 Radeon ProRender를 활용하기에 적합하여, 빠르고 정확한 렌더링 능력과 더욱 단축된 작업 시간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AMD Radeon Rays 기술에 기반한 하드웨어 가속화 레이 트레이싱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AMD Radeon PRO Viewport Boost는 GPU 성능이 제한된 환경에서 프레임을 향상시키는 동적 해상도 기술입니다. 이는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해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인식하는 이미지 품질은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상호 작용성을 향상시켜주는 기술이기 때문에... 고성능의 상위 모델보다는 엔트리급인 W6400에 더욱 적합한 기술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추가적으로 VR 컨텐츠 제작 도구인 AMD Radeon VR Ready Creator, 멀티뷰 기술인 AMD 아이피니티(Eyefinity), AMD 원격 워크 스테이션 등 다양하고 유용한 기술들을 지원하며 새로운 OS인 Windows 11도 발빠르게 지원하고 있어 전문가용 그래픽 카드로써 부족함이 없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과연 AMD Radeon PRO W6400 D6 4GB는 어느 정도의 스펙과 성능을 갖추고 있는지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제품 스펙
AMD Radeon PRO W6400 공식 홈페이지: https://www.amd.com/ko/products/professional-graphics/amd-radeon-pro-w6400
■ 그래픽 성능
간단한 테스트 시스템 소개는 아래와 같으며, 자세한 그래픽 카드 정보 및 애플리케이션 설정은 "벤치마크 세팅" 항목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전문가용 VGA로써는 3DMark의 결과가 큰 의미가 없을 수도 있으나 "Graphics Score"라는 하나의 척도로 비교해보았을 때 W6400은 상위의 W6600의 절반 정도되는 성능을 나타냈으며 게이밍용 그래픽 카드인 RX 6500 XT보다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애초에 W6400은 게이밍 관련으로 고려할 대상은 아니지만 일단 LOL이나 OVERWATCH와 같은 멀티플레이 기반의 캐주얼 3D 게임 정도는 무난히 플레이할 수 있는 성능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3ds Max, Maya, CATIA 등의 애플리케이션 작업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Specviewperf 2020 v2.0의 결과입니다. 역시 W6600 대비 50% 내외로 낮은 FPS를 보이고 있으나 실제 작업 환경에서는 동적 해상도 기술인 AMD Radeon PRO Viewport Boost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상호 작용에 있어 크게 불리한 부분은 없겠습니다.
3D 그래픽 제작 소프트웨어인 Blender의 3.1.0 버전 벤치마크 프로그램의 결과입니다.
■ 가성비 좋은 엔트리급 워크스테이션용 그래픽 카드 W6400
전문가 작업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범용적인 성능보다 "안정성"입니다. 각종 연산 작업이 장시간 구동되더라도 오류 발생의 가능성을 최대한 낮출 수 있어야 최종 결과물이 "신뢰성"을 갖추게 되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GPU 클럭에 의한 단순 그래픽 성능이 일반 그래픽 카드보다 낮음에도 전문 작업 현장에서, W6400과 같이 안정성 높은 그래픽 카드를 찾는 것은 당연한 일이겠습니다.
다만 이러한 전문가용 그래픽 카드는 설계부터가 일반 그래픽 카드와 다르고 장시간의 안정성이 보장된 만큼 가격대 역시 고가에 형성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미 오랜 기간을 거쳐 자리잡힌 작업 현장이라면 W6600이나 W6800과 같은 고성능 모델을 바로 적용해도 상관없겠지만, 아직 기반이 다져지지 않은 초기 작업 현장이나 소규모 작업 현장 등에서는 고가의 그래픽 카드를 마련하기에 다소 부담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라면 비교적 합리적인 가격대에 안정성과 신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엔트리급 모델이 적합하겠지요.
이번에 살펴본 AMD Radeon PRO W6400 D6 4GB는 이러한 엔트리급 전문가용 그래픽 카드로써 우수한 면모를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겠는데... 상위 모델과 마찬가지로 ISV(Independent Software Vendor) 인증, Radeon ProRender, AMD Radeon PRO Viewport Boost 등을 그대로 제공하여 안정성 뿐만 아니라 높은 활용도를 보입니다. 물론 상위 모델에 비해 성능이 낮은 것은 당연하지만, 흔히 말하는 가성비 면에서는 W6400이 우위에 있기 때문에 초기 작업 현장이나 소규모 작업 현장 등에서 비용에 큰 부담없이 전문가용 그래픽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성능의 한계로 인해 고정밀 연산 작업에서는 W6800과 같은 상위 모델이 필요하겠지만... Autodesk AutoCAS, Adobe Creative Cloud와 같이 널리 알려진 전문 작업용 프로그램들은 충분히 활용할 수 있고 화상 회의, 웹 브라우징, Microsoft Office 365, 각종 렌더링 등 일반적인 사무용 작업에서도 높은 성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AMD Radeon PRO W6400 D6 4GB는 엔트리급 전문가용 그래픽 카드로써 확실한 경쟁력을 갖춘 모델이라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2 . 벤치마크 세팅
그래픽 카드의 성능 측정을 위한 실내 온도는 주기적인 온도 관리로 23±1℃ 수준을 꾸준히 유지했음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테스트에 사용된 시스템 구성과 CPU-Z, GPU-Z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 테스트에 사용된 AMD Ryzen 9 5950X 프로세서입니다.
▲ 테스트에 사용된 ASUS PRIME X570-P 메인보드입니다.
▲ AMD Ryzen 9 5950X의 CPU-Z 정보입니다.
▲ AMD Radeon PRO W6400 D6 4GB의 GPU-Z 정보입니다.
▲ 3ds Max, Maya, CATIA 등의 애플리케이션 작업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Specviewperf 2020 v2.0 Benchmark의 설정입니다.
1080P 기준으로 모든 Viewset 항목을 설치하여 벤치마크를 진행하였습니다.
▲ 3D 그래픽 제작 소프트웨어인 Blender의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Benchmark 프로그램 설정입니다.
Blender 버전은 3.1.0로 지정하였습니다.
3 . 제품 외형
▲ AMD Radeon PRO W6400 D6 4GB는 약 16mm 수준의 얇은 두께와 168mm의 길이를 갖추고 있어, 단일 슬롯으로 부담없이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TBP(Total Board Power)는 최대 50W 수준으로, 별도의 외부 전원 커넥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 디스플레이 포트는 DisplayPort 1.4 with DSC 2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개만 연결했을 경우 7680x4320 (8K)까지 지원하며 2개를 모두 연결했을 경우 최대 5120x2880 (5K)까지 지원합니다.
< 저작권자 (C) 플레이웨어즈(www.playware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