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제품 소개 및 특징
일반적인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미들타워급 규격의 데스크톱 PC를 맞추곤 하겠지만, 환경이나 상황에 따라서는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특히 공간적인 여유가 부족하거나 거주 기간이 일정 수준으로 제한된 경우(ex: 지방 출장, 기숙사 생활 등) 데스크톱 PC를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르지요. 따라서 이런 상황에서는 노트북 PC를 별도로 마련하거나 슬림형 PC로 공간 사용, 지출 비용 등 여러 리소스를 줄여 부담을 줄이곤 합니다.
예전에는 노트북이나 슬림형 PC의 가격대 성능비가 그리 좋은 편은 아니었기 때문에 그다지 추천할 만한 제품군이 아니었지만... 하드웨어의 성능이 크게 향상된 현재 시점에서는, 앞서 언급한 특정 상황의 사용자들에게 큰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제품군으로 자리잡았습니다.
그렇다면 노트북이나 슬림형 PC에서 게이밍 성능까지 원할 경우 어느 정도까지 찾아볼 수 있을까요? 노트북 PC의 경우 그래픽 칩셋을 교체할 수 없기 때문에 구입에 신중함이 요구되며, 게이밍이 주 목적이라면 가격대가 다소 부담되더라도 아예 게이밍용 노트북을 구매하는 것도 방법이겠습니다. 슬림형 PC의 경우 그래픽 카드의 교체가 가능하고 전반적인 가격대 부담은 적은 편이지만, 슬림형 케이스의 특성상 LP(Low Profile) 타입의 그래픽 카드만 지원하여 호환 범위가 다소 좁은 편입니다.
현재 LP 타입 그래픽 카드의 주력 제품으로 볼 수 있는 것은 GIGABYTE Radeon RX 6400 UD2 D6 4GB Nano LP 제이씨현과 GIGABYTE GeForce GTX 1650 UD2 OC D5 4GB Nano LP 제이씨현을 꼽을 수 있겠습니다.
RX 6400은 RDNA 2 마이크로아키텍처가 적용된 현세대 모델이고 GTX 1650은 튜링 마이크로아키텍처가 적용된 전세대 모델이기 때문에 1:1 비교 대상이 아니긴 합니다만... NVIDIA의 현세대 아키텍처인 암페어의 라인업에는 LP 타입이 적용되는 모델이 없고, 두 제품 모두 비슷한 성능 범위인 엔트리급의 그래픽 카드이기 때문에 이번 리뷰에서는 GIGABYTE Radeon RX 6400 UD2 D6 4GB Nano LP 제이씨현을 기준으로 GTX 1650도 추가하여 전체 성능을 한 번 살펴보려고 합니다.
두 제품 모두 200mm를 넘지 않는 길이와 40mm를 넘지 않는 슬림한 외형을 갖추고 있으며, 기본적으로는 데스크톱 PC에 장착할 수 있는 브라켓이 적용되어 있지만 슬림형 PC에 호환되는 LP 타입의 브라켓을 추가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엔트리급 그래픽 카드인 만큼 게이밍 성능은 1080P 해상도 기준, 멀티 플레이 기반의 게임, 비교적 요구 사양이 높지 않은 게임 등의 요건에 맞춰질 것으로 여겨지는데요.
슬림형 PC를 사용하는 라이트 게이머에게 적합할 것으로 예상되는 GIGABYTE Radeon RX 6400 UD2 D6 4GB Nano LP 제이씨현과 GIGABYTE GeForce GTX 1650 UD2 OC D5 4GB Nano LP 제이씨현 그래픽 카드의 성능은 과연 어느 정도일지 한 번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 . 패키지 및 외형
3 . 비교군 (GTX 1650 LP)
▲ 상단: GTX 1650 / 하단: RX 6400
▲ 우상단: GTX 1650 / 좌하단: RX 6400
▲ 좌측: RX 6400 / 우측: GTX 1650
▲ 좌측: RX 6400 / 우측: GTX 1650
▲ 우측: GTX 1650 / 좌측: RX 6400
4 . 테스트 구성
그래픽 카드의 성능 측정을 위한 실내 온도는 주기적인 온도 관리로 23±1℃ 수준을 꾸준히 유지했음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테스트에 사용된 시스템 구성과 GPU-Z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 GIGABYTE Radeon RX 6400 UD2 D6 4GB Nano LP 제이씨현
▲ GIGABYTE GeForce GTX 1650 UD2 OC D5 4GB Nano LP 제이씨현
5 . 성능 테스트: 벤치마크 툴
※ 결과 분석은 "결론"을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 3DMark: Time Spy, Time Spy Extreme
※ Port Royal의 경우 호환성 문제로 벤치마크 구동이 불가하여 제외되었습니다.
■ VRMark: Blue Room
6 . 성능 테스트: 게임 라인업
■ League of Legends
- 그래픽 프리셋 "매우 높음", 안티 앨리어싱 ON
- 1080P / 1440P 해상도
- 특정 경기의 관전 기능을 사용
■ OVERWATCH
- 그래픽 품질 "최상", 렌더링 스케일 100%
- 1080P / 1440P 해상도
- 5분 간 특정 구간을 이동하는 방식으로 3회 측정 후, 취합한 결과의 평균값을 적용
■ Tom Clancy's Rainbow Six Siege
- 그래픽 전체 품질 "울트라"
- 1080P / 1440P 해상도
- 내장된 벤치마크 기능을 사용
■ PLAYERUNKNOWN'S BATTLEGROUNDS
- 전반적인 그래픽 품질 "울트라"
- 1080P / 1440P 해상도
- 전적 > 다시 보기 기능을 사용
■ Monster Hunter Rise: Sunbreak
- 그래픽 설정 "중" = 이미지 품질 100%
- 1080P / 1440P 해상도
- 크샬다오라 맹우 퀘스트에서 2명의 맹우와 10분 간 전투하는 방식으로 측정
■ ELDEN RING
※ 본 게임은 별도의 수직 동기화 옵션이 존재하지 않으며 최대 주사율이 60Hz로 제한되어 있음
- 그래픽 품질 "낮음", 자동 묘사 조정 OFF
- 1080P / 1440P 해상도
- 실내/실외 환경을 구분하여 5분 간 특정 구간을 플레이하는 방식으로 측정
7 . 성능 테스트: 게임 결과
■ League of Legends
■ OVERWATCH
■ Tom Clancy's Rainbow Six Siege
■ PLAYERUNKNOWN'S BATTLEGROUNDS
■ Monster Hunter Rise: Sunbreak
■ ELDEN RING
8 . 성능 테스트: 하드웨어 측정 결과
■ 온도 측정 결과
▲ RX 6400 상단: 유휴 상태 / 하단: 풀로드 상태
▲ GTX 1650 상단: 유휴 상태 / 하단: 풀로드 상태
■ 소음 측정 결과
■ 소비전력 측정 결과
■ 코어 클럭 속도 측정 결과
9 . 결론
GIGABYTE Radeon RX 6400 UD2 D6 4GB Nano LP 제이씨현과 GIGABYTE GeForce GTX 1650 UD2 OC D5 4GB Nano LP 제이씨현 제품으로 살펴본 LP 타입 그래픽 카드는 엔트리급 그래픽 카드로써 크게 부족함이 없는 만족스러운 성능을 나타냈습니다.
전반적으로 현세대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GIGABYTE Radeon RX 6400 UD2 D6 4GB Nano LP 제이씨현의 성능이 앞서 가는 가운데...
LOL, 오버워치, 레식 시즈, 몬헌 선브 등에서는 1440P 해상도에서도 가장 높은 그래픽 옵션을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모습을 보여, 주요 타겟층인 1080P 해상도 사용자라면 큰 고민없이 평균 60fps 플레이가 가능하겠습니다.
배틀그라운드의 경우 '울트라' 품질은 다소 버겁지만 어느 정도의 옵션 타협을 통해 평균 60fps을 확보할 수 있겠고, 엘든링의 경우 가장 아래의 '낮음' 품질에서도 평균 60fps 확보가 불가능했기 때문에 30fps을 목표로 하지 않는 이상은 플레이하기 어려울 수 있겠습니다.
엔트리급 그래픽 카드로써 한계점이 보이긴 하지만, 슬림형 PC에서 LP 타입의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고자 하는 구매자층의 필요 조건에는 충분히 도달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슬림형 PC에 장착되는 부품인 만큼 발열이나 소음 측면도 중요하겠지요.
PCB 후면으로 노출되는 발열의 경우 RX 6400은 최대 73.4℃, GTX 1650은 최대 76.5℃ 정도이며 GPU 코어 발열의 경우 RX 6400은 평균 76.32℃, GTX 1650은 평균 81.95℃ 정도로 측정되었습니다.
두 모델 모두 쿨링팬이 항상 동일한 RPM으로 동작하는 특성이 있어 유휴 상태와 풀로드 상태 간의 소음치 차이는 거의 없는 편이고, RX 6400은 평균 39.9dBA, GTX 1650은 평균 44.1dBA 수준의 소음치를 나타냈습니다.
전반적인 하드웨어 성능상 현세대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GIGABYTE Radeon RX 6400 UD2 D6 4GB Nano LP 제이씨현이 좀 더 좋은 효율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평균 소비전력은 플레이웨어즈 시스템 기준 RX 6400가 127.10W (공식 TBP는 53W), GTX 1650은 144.88W (공식 TGP는 75W)로 확인되어 전세대와 현세대 아키텍처 간의 차이를 뚜렷하게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때문에 두 모델을 비교하긴 했으나 동등한 기준에서의 평가는 어렵겠습니다. 다만 AMD와 NVIDIA라는 제조사로 구분지어 봤을 때, 현재 비슷한 성능대로 구매할 수 있는 LP 타입 그래픽 카드는 RX 6400과 GTX 1650 정도 밖에 없으므로... 제조사에 따른 선호도나 현재 가격대 등을 고려하여 소비자가 선택하는 것이 최선이겠습니다.
결론적으로 GIGABYTE Radeon RX 6400 UD2 D6 4GB Nano LP 제이씨현 급의 LP 타입 그래픽 카드는, 환경이나 상황상 슬림형 PC를 마련해야 하는 라이트 게이머급의 소비자에게 충분히 만족스러운 성능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게임에 따라서는 주요 타겟인 1080P 해상도 뿐만 아니라 1440P 해상도도 여유롭게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흔히 말하는 2K 모니터 사용에도 무리가 없겠으며, 주로 플레이하는 게임이나 장르가 한정적이라면 슬림형 PC가 아닌 일반 데스크톱 PC에 장착하여 지출 비용 및 전력 소비를 줄이는 것도 고려해볼 만하겠습니다. 물론 데스크톱 PC에는 LP 타입이 아닌 기본 PCB 크기의 동종 모델이 존재하고 가격대도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굳이 LP 타입으로 구매할 필요는 없습니다만...
어찌됐든 환경이나 상황상 슬림형 PC를 마련해야 하는 상태에서, 업무나 학업을 진행하면서도 게임 플레이를 포기할 수 없는 사용자들에게는 LP 타입의 RX 6400, GTX 1650과 같은 그래픽 카드가 큰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기숙사 생활을 한다거나 장기 출장 업무가 있는 경우, 데스크톱 PC를 두기엔 어려운 상황인데 게이밍 노트북까지 가면 이런저런 부담이 있거나 노트북 자체의 사용감에 익숙치 않은 경우, 모니터 및 키보드 마우스 등 별도의 지출없이 사용할 수 있는 타 기기들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슬림형 PC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겠으며, LP 타입의 그래픽 카드는 슬림형 PC를 맞추는데 있어 핵심적인 부품으로 활용될 것입니다.
만약 이런저런 이유로 슬림형 PC를 고려중이라면, 이번에 살펴본 GIGABYTE Radeon RX 6400 UD2 D6 4GB Nano LP 제이씨현 또는 GIGABYTE GeForce GTX 1650 UD2 OC D5 4GB Nano LP 제이씨현 제품을 한 번 살펴보는 것이 어떨까요?
< 저작권자 (C) 플레이웨어즈(www.playware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