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데스크테리어의 완성! 다크플래쉬 DPX90 ARGB 강화유리 케이스 써보니

2024.05.27. 11:04:29
조회 수
715
6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2면 파노라믹 글래스 장착~ 속 보이는 케이스'

1~2년쯤 됐을까? 어느날 갑자기 등장한 와이드뷰, 또는 파노라믹 글래스 스타일의 양면 강화유리 케이스는 등장과 동시에 하드웨어 마니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사이드 패널의 강화유리만으로는 화려해질 대로 화려해진 각종 하드웨어의 RGB 효과를 모두 소화할 수 없는 문제를 이 스타일의 케이스는 단번에 해결했다.

하드웨어 시장에서 RGB는 이미 10여년 이상 이어진 트렌드이다. CPU쿨러를 비롯해 수냉쿨러, 메모리, 쿨링팬, 그래픽카드와 메인보드까지, 거의 모든 하드웨어에 RGB 효과가 기본처럼 곁들여지고 있음을 감안하면 이를 가장 효과적으로 드러내 주는 케이스의 등장을 소비자들이 반기지 않을 이유가 없던 셈이다.

문제는 이 새로운 스타일의 케이스가 제법 높은 가격대에 출시돼 이를 원하는 소비자들에게도 약간은 부담이 될 수도 있었다는 점일 것이다. 다행이 케이스 시장의 전통적인 강자들이 합리적인 가격에 와이드뷰 스타일 케이스를 속속 출시하며 현재는 선택지가 꽤나 넓어진 느낌이다.




◆ 다크플래쉬 DPX90 ARGB 강화유리 케이스
대응 규격 : ATX, MATX, ITX
사이즈/중량 : D500 x W240 x H465 / 6.18Kg
호환성 : VGA 최대 425mm, 공랭 쿨러 185mm, 수랭쿨러 360mm(상단)
특징 : 강화유리 2면(전면/좌측면), 전면/측면 메쉬 에어홀, 측면 I/O
구성 : A-RGB 120MM 팬 x 3ea
색상 : 블랙/화이트
판매/유통 : 다크플래쉬
















와이드뷰 케이스의 가격 현실화를 이끈 주역 중 하나로 다크플래쉬를 꼽아도 이견을 제시할 소비자는 많지 않을 것 같다. 비록 가장 먼저는 아니었지만, 빠른 속도로 라인업을 확대하며 소비자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는 브랜드가 바로 다크플래쉬이기 때문.

ATX/M-ATX 보드에 대응하는 5만원대 와이드뷰 케이스 DS900, DLM4000을 시작으로 8만원대 DLX4000, 12만원대 DQX90 ARGB 등 이미 와이드뷰 스타일 케이스로만으로도 상당히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다.

그 점에서 다크플래쉬 DPX90 ARGB는 비슷한 가격의 DS9000과는 사뭇 다른 와이드뷰 케이스 되겠다. 비슷한 가격대에 다른 디자인을 선택지로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선택권을 보장하고, 소비자마다 선호하는 각기 다른 니즈를 충족한다는 데서 이런 제품의 등장을 꽤나 반길 만하다.

DPX90에서 목격되는 스타일은 다양한 브랜드에서 시도되고 있다. 아무래도 파워나 스토리지 등이 장착되는 하단을 그대로 노출하면 지저분한 느낌이 들기 마련인데, 내부의 파워 챔버로 이를 가리는 방식이 초기 와이드뷰 스타일의 주된 방향이다. 다만, 파워의 장착과 케이블의 정리, 스토리지의 장착 등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기 다소 곤란한 경우도 발생한다.




반면, DPX90처럼 내부에 파워챔버를 없애고 케이스 하단 부분만을 섀시로 처리하면 상대적으로 더 넓은 내부공간 확보가 가능하다. 아울러 상당히 독특한 스타일이 완성되므로 전체를 강화유리 처리하는 것과 다른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

파워 서플라이와 HDD 등이 장착되는 공간이므로 쿨링을 위한 촘촘한 에어홀 가공이 곁들여졌다. 필요 시 하단 커버를 모두 분리할 수 있어 유지관리도 편하다. 역시 어느 쪽을 선택할지는 사용자 개개인의 몫이다. 다행이 다크플래쉬는 두 가지 스타일의 와이드뷰 케이스를 모두 출시하고 있다. 유일한 단점이 선택 고민이랄까!

와이드뷰 케이스 제어부는 사용자마다 극과 극으로 평이 갈린다. 재미있게도 어떤 사용자는 케이스 상단에 제어부가 없다는 사실을 신랄하게 비판하지만, 또 어떤 사용자는 케이스 하단에 제어부를 배치한 디자인을 가장 큰 장점으로 꼽기도 한다.

케이스를 책상 위로 올릴 것인지, 아니면 책상 아래로 내릴 것인지에 따라 편리한 위치가 다르기 때문일 것으로 풀이되는 부분인데, 와이드뷰 스타일의 케이스는 기본적으로 책상 위에 올려두고 데스크테리어 소품으로 활용하는 것을 상정한 제품인 만큼 하단에 제어부를 배치하는 것이 조금은 더 합리적인 느낌이다.




하지만 어항 케이스를 둘 위치는 어느정도 제약이 따른다. 케이스의 왼편이 개방되는 스타일 상 사용자의 오른쪽에 케이스가 배치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환경일 것이다. 때문에 DPX90은 케이스 왼편 하단에 제어부를 배치했다. TYPE-C를 지원해 최신 규격의 외부 디바이스를 사용하기에도 불편이 없다.

강화유리 탈착/체결은 장착된 볼헤드를 케이스와 맞물리는 부분의 클램프가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도구 없이도 필요 시 정면과 측면의 강화유리 패널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혹여나 클램프 파손에 대비해 여분의 클램프 2개가 추가로 제공하기에 실수로 클램프가 망가질까 걱정하지 않아도 좋다.

단, 와이드뷰 스타일에 단점 하나가 있다. 태생적으로 전면에 쿨링팬을 장착할 수 없다. 다라서 공기 흡입을 위한 쿨링팬을 우측면에 장착해 문제를 보완하고 있는데, 이 경우 쿨링팬을 흡기로 장착하는 경우 사용자의 시선에서는 팬을 뒤집어 장착한 것으로 보이게 되므로 지저분한 라벨이 노출되는 것은 물론, RGB 효과도 반감되는 또 다른 문제가 불거진다.

다크플래쉬는 120mm 리버스 쿨링팬 두 개 장착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리버스 팬은 쿨링팬을 정방향으로 장착한 것으로 보이지만, 블레이드가 반대방향이므로 정방향으로 장착해도 흡기로 동작하게 된다. 기본 제공하는 3개의 120mm 쿨링팬이 모두 ARGB를 지원하므로 리버스 팬의 장착은 쿨링팬의 RGB 효과를 제대로 누릴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우측면 사이드 패널에는 충분한 공기흡입을 위한 에어홀과 먼지필터가 있다. 해당 위치에는 240mm 규격의 라디에이터도 장착할 수 있어 2열 수냉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기본 제공하는 쿨링팬을 제거하고 라디에이터 설치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3열 수냉이라면, 대다수의 수냉 사용자가 라디에이터 장착 위치로 가장 선호하는 상단으로 가야 한다. 360mm 크기 라디에이터를 장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프로세서에서 발생한 열이 바로 배출되는 위치다.

다만, 메인보드에 따라 전원부의 히트싱크가 라디에이터와 간섭을 일으키는 예가 간혹 발생하는 것이 문제라면 문제다. DPX90은 이를 감안해 상단에 약간의 여유폭을 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덕분에 대부분의 메인보드와 간섭 없이 360mm 라디에이터를 상단에 장착할 수 있다.

외부 먼지 유입 대책도 완벽하다. 상단과 우측면, 파워 서플라이 하단의 바닥면 등 에어홀이 존재하는 모든 위치에 마그네틱 방식 먼지필터를 배치했다. 하단 먼지필터는 이왕이면 슬라이딩 방식이면 좋았겠지만, 이정도 스타일의 케이스를 5만원 초반에 손에 넣을 수 있으려면 어느 정도는 납득해야 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부지런한 습관 탓에 먼지필터를 빈번히 청소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크게 불편을 느낄 만한 사항은 아니다.

** 편집자 주

"넉넉한 공간, 탁월한 스타일! 꼼꼼한 완성도는 덤!"


다크플래쉬 케이스가 가진 가장 큰 장점은 어떤 가격대의 제품을 선택하든 완벽하다 평해도 과하지 않을 정도의 꼼꼼한 마무리를 공통으로 꼽는다. 이런 특징은 이 새로운 브랜드가 어떻게 한국 시장에서 그렇게 빠른 속도로 케이스 시장의 강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는지를 증명하는 명확한 증거이기도 하고 말이다. DPX90 역시 5만원 대 초반에 구입할 수 있는 제품이지만, 그 마무리는 흠잡을 곳이 없다.




DPX90처럼 하단을 패널 처리한 새로운 와이드뷰 스타일 케이스는 PC의 가장 화려한 부분은 그대로 노출하고, 시선을 막아야 하는 부분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내부 시스템이 더욱 화려하고 깔끔하게 보이는 효과를 연출하는 데 탁월하다.

큼직한 425mm 그래픽카드와 185mm 높이의 공랭쿨러까지 장착할 수 있어 고성능 하드웨어 선택에 따르는 제약이 거의 없는 것 또한 장점. ARGB를 지원하지 않는 메인보드를 사용하고 있다면 별도로 제공하는 ARGB 컨트롤러를 구매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도 제공한다.

핵심을 요약하자면, RGB의 화려함을 가장 극명하게 연출할 수 있는 와이드뷰 케이스. 깔끔한 조립이 가능하다면, PC를 책상 위에 올려두고 데스크테리어 소품으로 활용하기에도 좋다. 더구나 기존의 케이스와 별반 차이가 없는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다면 평소 이 멋진 스타일의 케이스를 유심히 보아왔을 소비자에게 탁월한 선택지로 손색없다.

선택지가 다양한 와이드뷰, 또는 파노라믹 글랙스 스타일의 케이스는 한동안 유행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만큼 관심 대상이라는 의미. 분위기에 편승해 한 번쯤 시도하고 싶다면, DPX90처럼 깔끔한 스타일과 부담 없는 가격의 제품으로 시작해 보는 것도 괜찮다.


By 김현동 에디터  Hyundong.kim@weeklypost.kr
〈저작권자ⓒ 위클리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클리포스트 주요 기사]
· MSI 노트북× 캡콤 몬스터 헌터, 20주년 기념 콜라보
· 5월 가정의 달 맞이 서린씨앤아이 직영몰, 최대 60% 할인
· [KOBA 2024] 데이터 보관부터 활용까지~ 큐냅 x 씨게이트 이유 있는 행보
· [플레이엑스포 2024] 에이수스's PICK 라이젠 R9 7950X3D 시피유, 왜?
· 벨킨, 팝업스토어 오픈 in 성수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아 니들 대체 뭔데 내 머릿속에서 나가 동영상 있음 다나와
PCCOOLER CPS F3 T120 ARGB : CPS 3팩 쿨링팬! T120 ARGB (1) 쿨엔조이
darkFlash WAVE DH360D ARGB : 9만 원대에 디스플레이와 인피니티 미러까지! (1) 쿨엔조이
2슬롯으로 구현하는 128GB의 시스템 메모리, 마이크론 Crucial DDR5-5600 CL46 패키지 아스크텍 (128GB(64Gx2)) (4) 쿨엔조이
SFF 시스템을 위한 작은 그래픽 카드, GIGABYTE 지포스 RTX 5070 WINDFORCE OC SFF D7 12GB 피씨디렉트 (1) 쿨엔조이
간편하게 휴대하는 고성능 대용량 외장SSD, CORSAIR EX400U (4TB) 쿨엔조이
합리적인 가격대에서 만나보는 B850 메인보드, ASRock B850M-X R2.0 쿨엔조이
생산성 끝판왕 노트북? 레노버 요가 슬림 7i 아우라 에디션 써보니... 동영상 있음 고나고
진짜로..2년만에 갈아탑니다! 신형 로보락Qrevo edgeC 장단점 총정리!【Ep.466】 동영상 있음 공구왕황부장
최신 PC 빌드 만반의 준비가 완료, 다크플래쉬 DF4100 MESH ARGB BTF 케이벤치
[작성완료] 외형, 용량, 클록 뭐하나 빠진게 없는 튜닝 메모리, CORSAIR DDR5-8400 VENGEANCE RGB 패키지 (48GB(24Gx2)) 쿨엔조이
PCIe Gen4 x4 지원, GAMING SSD WD_Black SN7100 2TB 브레인박스
그랑콜레오스 가솔린 터보 DCT, 실제 주행 느낌은? 동영상 있음 Motorgraph
이거 물건이네~ 농심 배홍동 칼빔면 리뷰 (1) 동영상 있음 맛상무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리미엄 게이밍 키보드, 체리 XTRFY PIXIU 75 노트포럼
[리뷰] 의외로 재미와 섬세한 콘텐츠의 조합 '마비노기 모바일' (1) 게임동아
쿨링에 진심, 마이크로닉스 WIZMAX ML-360 WIDE BTF 케이벤치
광활한 21:9 화면 비율로 게임 승률이 올라간다! [프리미엄 리포터V] 동영상 있음 다나와
잘 팔리니 바로 태세 전환! 기아 또 왜 이러나?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미국에서 유행하는 Z세대의 콜라 ‘올리팝’ (1) 마시즘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