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매그내릭 8K 풀 알루미늄 키보드. Luminkey Magger 68 HE 샴페인 골드

쿨엔조이
2024.10.18. 14:43:56
조회 수
1,227
10
댓글 수
4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0206f477da2e6f9846c1b2cf1ddb9fccaa4b67b7.png

   

Luminkey Magger 68 HE 샴페인 골드 : 매그내릭 8K 풀 알루미늄 키보드.

   

All In One.

키보드 시장은 크게 커스텀과 기성품(완제품)으로 나누어 볼 수 있지만, 최근에는 커스텀의 매력적인 타건감과 무궁무진한 튜닝성을 일부 흡수한 기성 제품들이 쏟아지고 있어 그 경계가 점차 흐려지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키보드를 어떠한 용도로 활용할 것인지를 중심으로 시각을 옮겨서 바라보자면, 타건감을 위한 '일반적인 사용 패턴'과 '게이밍 타깃', 이 두 가지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왜 이렇게 시장성이 변해가는가?"라는 질문에는 높아진 사용자의 기준을 꼽아볼 수 있는데요. 커스텀 키보드의 매력적인 사운드와 고급스러움을 대표하는 알루미늄 하우징, 기존 게이밍 키보드 평균이었던 1,000Hz 폴링레이트가 이제는 점차 8,000Hz 수준으로 상승해 감에 따라, 내 취향에 맞는 타건감을 만들 수 있으면서 높은 게이밍 퍼포먼스까지 한 번에 노릴 수 있는 그야말로 '올인원' 제품을 찾고 있는 것이 트렌드라 말할 수 있습니다.

   

이번 리뷰에서 살펴볼 'Luminkey Magger 68 HE 샴페인 골드'는 키보드 베어본을 디자인 및 제조하는 '루민키(Luminkey)'의 완제 타입 커스텀 키보드로, 풀 알루미늄 하우징과 최근 게이밍 키보드 시장에서 핫한 기능 중 하나인 8K 폴링레이트 탑재하고 있는 최신 트렌드의 집합체 같은 키보드입니다. 따라서, 서두에 언급한 일반적인 사용 패턴에서도 커스텀 키보드의 정갈한 사운드를 제공하고, 게임을 플레이할 때는 8K 폴링레이트로 빠른 입력을 기대할 수 있는데요.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자력을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마그네틱 스위치를 모든 키 배열에 배치하였으며, 스위치 퍼포먼스를 극대화하기 위해 최근 FPS 게임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래피드 트리거(Rapid Trriger)까지 적용하면서 제품을 기획한 컨셉에 충실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Luminkey Magger 68 HE'는 일반 모델과 PRO 총 2 가지 모델로 출시하였는데요. 본 리뷰에서는 일반 모델만 다뤄볼 예정이며, 외장은 블랙(아노다이징), 밀키 화이트(전기영동), 샴페인 골드(아노다이징) 총 3 가지 색상 중에서 '샴페인 골드' 컬러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이번 제품의 경우 그동안 기계식 키보드만 설계하던 루민키에서 브랜드 출범 이후 처음으로 선보이는 자석축 커스텀 키보드인데요. 기존에도 깔끔한 디자인과 수준 높은 퀄리티로 인정받았던 루민키였던 만큼 기대감을 가져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풀 알루미늄 하우징에  8K 폴링레이트를 융합한 올인원 타입 커스텀 키보드, 'Luminkey Magger 68 HE 삼폐인 골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cc0a9b87ba959085a61af55c62d46b545ebdf12b.png

c9ab8fb19b1fa7e7a942b3d14e7c5e370362b8f2.png

   

   

   

   

   

   

f134eb45d734c9378ee221c73358eafea874148c.jpgca097308c290216a085340efb35b7319196478db.jpg1be221761934d3290699016dcdb5997afd59ad5b.jpg220f5b6565e04f37a3b8c0c65fc419d2e9b03357.jpg4adc39b2ed884983ee2ce64efcdd68057efe9751.jpg

   

'Luminkry Magger 68 He 샴페인 골드'의 패키징은 심플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본체는 스크레치 방지를 위해 비닐에 쌓여 있으며, 키보드 관련 악세서리 박스와 키 매트릭스가 직관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플랫한 설명서가 있습니다.

   

   

   

81df5272a5de0d7cd42903c40933ce86da5eac03.jpgb06315664720611dc2857db641f62518d174b922.jpg

   

악세서리 박스를 열어보면 본체를 연결할 수 있는 USB C to A 케이블 1개, 일체형 키캡&스위치 리무버, 여분의 스위치 1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b950bdda3f475177f16136251f8aeaf8372b15b.jpg

   

여분의 스위치에 대해서 조금 더 알보도록 하겠습니다. 스위치는 본체에 탑재된 스위치와 동일한 스위치로, '게이트론 마그네틱 화이트 프로' 스위치로 확인됩니다. 해당 스위치는 루민키와 게이트론이 협력하여 만든 스위치로, 첫 시작은 상부 하우징에 각인된 것처럼 'EverFree'라고 불렀지만, 기존의 게이트론 화이트 스위치에서 업그레이드된 스위치이기에 '화이트 프로'로 명칭이 정정되었습니다.

   

스위치를 제작에 사용된 소재는 아래와 같습니다.

   

   b4a125b49ba6af7c452f94058817de12469e9c57.png

857c63e788e6f53264271390682a017d65ad5ce1.jpg

▲ 게이트론 마그네틱 화이트 프로 스위치를 구성하는 파츠

   

   

b154c6b6c70378e28f0ae903c5f69fe459282235.jpgaca2fe2638a48e0213ec63a08910d4c4c49cf9dc.jpg0bfcd29c771dde76fef0fb1a956d8f0e99fcfbd8.jpg

   

해당 스위치는 투명하거나 불투한 화이트 컬러로 제작되어 사진 상으로 크게 눈에 띄지 않을 수 있는데요. 십자 스템의 슬라이더 부분에 소량의 공장 윤활이 적용되어 있으며, 스템 하단부를 보면 자력 신호 전달을 위해 조그맣한 자석이 탑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9327d5d4fcf264a4a4405baea4f74b2adcbede7e.jpg

   

스프링의 길이는 약 15.5mm 수준으로 측정되었는데 이는 평균적인 길이(16~18mm)보다 짧은 편이며, 아주 미세하게 윤활유가 도포되어 있습니다. 추가적인 정보 사항으로, 기계식 스위치와 기계식 스위치의 스프링은 서로 호환되지 않으니 스프링 교체를 통해 키압에 변화를 주고 싶다면, 마그네틱 스위치 전용 스프링을 구매해야 한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60ee5ea2154e51f6ece074cf0fa0a0e32c12f80e.jpg

   

다음은 하부 하우징입니다. 금속 접점부를 가지는 기계식 스위치가 아니기 때문에 별다른 구조는 없으며, 하우징 바닥까지 윤활이 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316ed22a66f6ac0f0d71bf6a6db41b56b31b6140.jpgdc151b9e246a4b3234f3338f87e89790bbd3d214.jpgdf8123d5a81498e1d2355422a76809c33f97f34e.jpg

   

'Luminkey Magger 68 HE 샴페인 골드'는 68 키 배열을 가지는 65% 레이아웃 미니 배열 키보드입니다. 따라서, 상단의 F 열과 우측의 텐키가 없습니다.

   

   

   

d13568860ab2a802df4ec2267bbf6eedc0201cc2.jpg

7fa3986fa07a96b678bb8e78b7597f601161649b.jpg

350ced9244ff57874d1c95d1f87ec0559166740e.jpg7c5de05f99ee1c8297392fd3b91938c09cdfb97c.jpg108cfc65b8c96d491d785bec96791d7bd717e06c.jpg159cdb74b26f48d1f263014b24febcde29713573.jpg

   

알루미늄 하우징 테두리는 엣지 마감 처리를 적용하여 빛에 비춰질 때 테두리 라인이 빛나도록 디자인되었습니다. 이런 사소한 디테일이 제품을 고급스럽게 만들어주죠.

   

   

   

d993161e594d7e6e74c5b0114718002d60cbfb6f.jpg

   

키보드를 정면으로 두었을 때 기준으로 좌측 상단에 전원 입력 포트가 배치되었습니다. 인터페이스는 USB Type-C 규격으로 확인됩니다.

   

   

   

2b4c786e9b2f93c0fcfd1d1c528ee026f6c297a7.jpg55109a8d79ecfe2d1b21233527599f39a723ffa3.jpg121af150a42a1a5cb17a9f2d3074a5935b13ba66.jpg

   

'Luminkey Magger 68 HE 샴페인 골드'의 무게는빌드가 완성되었을 때 기준, 약 1,170g 수준으로 측정되었습니다. 이는 풀 알루미늄이라는 하우징이라는 것을 감안하였을 때 가벼운 축에 속하는데, 이로 인해 입문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가격을 낮출 수 있음과 동시에 제품을 휴대할 경우를 모두 고려한 설계로 해석됩니다.

   

   

   

ae74cb5037daafd76448872de2a3dacd08aa979c.jpg93e70ffbd410382097ea0491ad2f6e994e72609a.jpg6c2cd409780a3bb65689eb0a8af214bb6c783e8c.jpg0051e667b1f533f1154d42ecc4a72289eb9b8ae5.jpg

   

외형의 마지막 부분으로 키보드 하판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하판 역시 상판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앙에는 '홀 이펙트(Hall Effect)'의 약자인 'HE'가, 하단에는 'LUMINKEY' 브랜드명이 음각의 형태로 각인되어 있습니다. 또한, 4개의 모서리에 일자(一) 모양의 가느다란 범폰이 총 4개가 기본으로 부착되어 있어 타건 시 미끄러짐을 최소화해 줍니다.

   

   

   

0f9aee40605d50f97ec4f048e73f6a79bdf9deca.jpg▲ 'Luminkey Magger 68 HE 샴페인 골드'의 도장 표면 (광학 현미경 60배율)

   

'Luminkey Magger 68 HE 샴페인 골드'의 도장 표면은 아노다이징 마감 처리되었습니다. 전체적으로 입자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고 작게 분포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키보드 표면의 질감은 매우 부드러우면서 고급스러운 느낌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f40e5a4808105962e852a52534b09ddaf9da5b07.png25f833b53caac879cf0a420fba3b8add80317d59.jpg

   

앞선 내용에서 키보드 외형을 살펴보았으니 이번 항목에서는 키보드 내부와 키캡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be6e188fcf85932a9978fa9bc30894295c80efff.jpg9e570ea17ae36cc54a3cd15085869fb083444499.jpg

   

풀 알루미늄 소재는 탄성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플라스틱 키보드처럼 걸쇠 방식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볼트만 사용하여 상부와 하부 하우징을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인데요. 이번 제품은 하판에 8개 볼트를 풀면 쉽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 키보드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4개의 나사와 하단부에 체결되는 4개의 나사는 서로 다른 길이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재결합 시 주의 바랍니다.

   

   

   

fa8918e9fecde7446fbd4e8f7fea848d429129e8.jpg67172c86feb4fb10eae59be81dddd1ccdcaaa6e9.jpgf8676dae5e81ca1ac6daabda40f3575a59449c5f.jpged0d4b67ba94b7d54beb2da4473e30ec3e1b28e1.jpg9da339bd276fd2caa9e1334d2b6adb290907b306.jpgca41f0f63b31f088de2e970338fc574f6106a5b7.jpg

   

기판과 보강판 사이 샌드위치 형태로 깔리는 흡음재를 뜻하는 기보강 흡음재도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습니다. 커스텀 키보드에서 주로 사용하는 포론이나 EPDM 소재는 아니며, 실리콘 소재가 사용되었습니다. 특징으로는 흡음재가 보강판의 테두리까지 감싸주면서 상부/하부 하우징의 가스켓 역할까지 겸하고 있습니다.

   

   

   

9adaec452d5050f5d1b9c3c7b1244c602523247b.jpg3da91aa10c4f8ff3b72b1a82fa59c0d63fdd2a2f.jpg

   

PCB 기판의 후면의 모습입니다. 일반적인 기계식 키보드의 PCB 대비 약간은 비어있다고 느껴지는데, 입력을 감지하는 홀 이펙트 센서는 SMD LED 다이오드 보다도 작기 때문이며, 아주 작은 크기의 캐패시터와 비슷한 크기를 보이고 있습니다. 8K 폴링레이트를 위해 'G-COME GL8KH N240936' 메인 칩셋이 탑재된 것도 눈에 띄네요. 특히, 여기서 루민키의 진심이 느껴지는 포인트가 있는데 실제 성능에 영향이 없도록 LED 조명 제어 칩셋이 독립적으로 탑재되었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조명 제어를 메인 칩셋에서 담당하게 된다면 데이터 처리에 일정 부분이 할당되어야 하고, 소스를 잡아먹기 때문에 온전한 8K를 기대할 수 없을 수 있는데요. 이런 부분까지 고려한 설계의 디테일이 큰 만족감을 줄 수 있는 부분이라 판단됩니다.

   

   

   

31b53470477700c942fe12b39eff67d2b44b5927.jpg86bea46f6bd391057bc0da381d293b6aeb9fb77b.jpg

   

키보드의 가장 하부에는 별다른 구조물은 보이지 않습니다. 오직 스위치를 누를 때 발생하는 미세한 진동과 소리의 반향을 잡아주는 실리콘 소재의 흡음재만 내장되어 있습니다. 취향에 따라 실리콘을 빼고 조금 더 클래키한 빌드로 사용해 보는 것도 좋겠네요.

   

   

   

ca4af185023aae088a0f48f897e91d7e8487fce8.jpg

   

다음은 키캡을 살펴보겠습니다. 기본으로 제공되는 키캡은 블랙 / 그레이 / 레드 총 3 가지의 컬러로 제작되었습니다. 영문만 각인되어 있고 모디열과 기능키에는 디자인 패턴이 프린팅되어 있는 모습입니다.

   

   

   

2679396bceb8c1c41f942be8ae5e577d1f830b33.jpg3b860a647884eca9d28123a171a8609aa35b6f94.jpg

   

키캡 제작에는 PBT 소재가 사용되었으며, 키캡 안쪽을 확인해보았을 때 컬러가 다른 플라스틱 사출이 보이지 않아 각인은 염료승화 방식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19d738f2f8920f8bb72f7c09d5866cc1a9b52fa8.jpg

   

이번 제품의 방향키와 ESC 키는 다른 키캡과 아예 다른 방식으로 제작되었는데요. 글로시한 레드 컬러의 ABS 소재로 제작되었으며, 실제 타건 시 손에 닿는 부분은 샌드블라스트(추정)로 가공하여 미끄러짐을 최소화하고 그 위에 레이저 방식으로 각인한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무채색이 주를 이루는 키캡 사이에서 디자인 포인트로 자리 잡고 있어 본 모델만의 유니크한 특징이 아닐까 싶습니다.

   

   

   06adb3cb09f656295fab7b8d6f7c99e6e21ab54b.jpg

c65ab81a0698b17cc6668b71888e53f13be28e92.jpg

   

스위치는 역방향 체결되어 있는 모습입니다. 사실 최근에는 역방향 설계보다는 정방향으로 설계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왜 이번 모델은 역방향으로 설계되었는지에 대해선 PCB 기판 후면에 답이 있습니다. 바로, 기판에 실장 된 SMD LED가 스위치 장착 시 상단 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이로 인해 광량 손실이 적어지므로 LED를 직접적으로 투과할 수 없는 PBT 키캡임에도 키 사이사이 퍼져 나오는 RGB 감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268a4bebf790aaa65f2f8763298e55465be4638c.jpg019eff15517a98eb6d50a5ea05b2c23eec2e6ddc.jpg

   

PCB 기판이 핫스왑을 지원함에 따라 스위치 리무버로 스위치 탈거 후 스테빌라이저까지 살펴보았습니다. 체리식 보강판용 스테빌라이저가 사용되었습니다. 무보강용 스테빌 처럼 볼트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서 스테빌 유격에 따라 잡음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보강판에 잘 물려있기만 한다면 무보강용 스테빌과 견줄 수 있을 만큼 청아한 타건음을 제공합니다. 게다가, 장착 및 분해가 매우 간편한 것도 큰 장점이죠.

   

   

   

139a0bb4ee28c32bb5ba1c3e81dc4d11d73f7fcf.jpg217a9c90166c2991d6dcd75d748b7e329846851b.jpgd0bf3ce12e587f281819cefb8f2af29c7cfae8c4.jpg

   

스테빌라이저의 철심에도 넉넉하게 윤활제가 도포되어 있어 찰찰거리는 소음은 느낄 수 없었습니다. 다만, 조금 아쉬웠던 부분으로 스테빌라이저 용두에는 윤활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았다는 점인데, 이 부분은 윤활제만 보유하고 있다면 쉽게 처리할 수 있기에 단점으로 이어지지는 않았습니다.

   

   

    

7f30ffc8a3d3b798e6d3338634aed53c9923f647.jpg6dac4e402969c394bfabd74028ba8d04e8fcf6c8.jpg06bf8864bc541f076dcdeb6befee79800cf334c1.jpg

▲ 오른쪽 상단 제품명인 'Magger' 레터링이 각인되어 있는 모습

   

   

3410e8a44167447e1162142163b304a763b717e6.jpgb6896b8809c16272435a5ff05cc5765515a74abb.jpgda064bed2ef5d38c18ddb23622689a9d90261092.jpg

a7d8c87ef1481268c018cd34d6555ce2d5907743.jpg8776b3e0239346b241347525fc9a5b2addc5d1b8.jpg

   

   

   

   

   


    273fa9a8f6cea9cbff9af82485e9827ad8bcab3c.png

※ 키보드 타건감은 카테고리 특성상 주관적인 부분이 많이 반영되므로 객관적인 지표가 아닌 참고용으로만 활용해주시길 바라며, 실제 타건음을 최대한 비슷하게 담아내는 것을 우선으로 녹음되지만, 일부 키보드의 경우 스위치 자체 특성으로 인해 소리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

   

스위치 : 'Luminkey Magger 68 HE 샴페인 골드'의 기본 스위치는 '게이트론 마그네틱 화이트 프로'가 모든 키에 배치되어 있습니다. 해당 스위치의 공식적인 스펙은 확인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프로토타입 스위치의 스펙을 기반으로 유추해 보면 30±10gf 수준의 압력을 가졌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하지만, 리뷰어의 실제 손끝으로 느껴지는 압력은 약 50 ~ 55g 수준으로 느껴졌으며, 스위치의 십자 스템이 흔들리는 유격을 뜻하는 '워블'은 준수한 편입니다.

   

   

스테빌라이저 : 스테빌라이저는 체리식 보강판용 스테빌라이저가 사용되었습니다. 따라서, 모든 스위치를 기판과 분리하지 않아도 스테빌라이저를 손쉽게 탈착 할 수 있습니다. 스테빌은 기본적으로 윤활이 되어 출고되는데 철심에는 윤활제가 넉넉하게 잘 도포되어 있어 철심 소음은 느끼지 못했으나, 용두의 측면에는 윤활제가 도포되진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요. 이 부분은 키캡과 연결되는 스템에 윤활제가 묻어있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공장 윤활 과정에서 윤활제가 제대로 퍼지지 않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타건감 : 본 제품의 마그네틱 스위치를 사용했기 때문에 일반적인 기계식 키보드와는 조금 다른 타건감을 제공합니다. 스위치의 하부 하우징에 별다른 구조물이 없고 적절한 반발력을 가지는 스위치로 인해 통통 튀는 재밌는 타건감을 느낄 수 있으며, 스위치가 바닥 끝까지 눌렸을 때는 풀 알루미늄 하우징의 단단함이 조화롭게 어우러집니다.

   

   

   

   

   

   

fbdfcde442779398ebe9f1ff3846d9a8d3caaed1.png

f0de30db1061ee2cc4915b56d03fee266c3dda44.jpg

   

'Luminkey Magger 68 HE 샴페인 골드'는 전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다양한 키보드 설정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제품의 전용 소프트웨어는 루민키 공식 홈페이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리뷰를 작성하는 시점에서는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데, 추후 업데이트를 통해 언어 지원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 'Luminkey Magger 68 HE' 전용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 [링크]

   

   

   

1e51cd8eb892ea625a467c912076d111c6c4fe2c.jpg   

전용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본 제품을 연결하면 자동으로 키보드를 인식하면서 레이아웃이 생성됩니다. 소프트웨어 창의 가장 왼쪽에는 설정 항목이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습니다.

   

   

   

aae29089b770f9f69e90c53b6d2a8360ec046906.jpg

f83473adfa33624a2cbbdfe92ec43522d5a7c19b.jpg

   

소프트웨어 우측 상단에는 스위치를 입력할 때 발생하는 전기 신호의 바운스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운스' 옵션과, 키보드 <ㅡ> PC 간 통신 속도를 의미하는 폴링레이트를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디폴트 값은 Debounce-High / 8000Hz Poling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51d8b1d0d08c3b1d5d07eb83941099fdbff78684.jpg   

Peformance 탭에서는 마그네틱 스위치의 본격적인 세팅을 진행하는 곳입니다. 화면 중앙에 표시된 키보드 레이아웃에 배치된 키를 클릭하면 선택되며, 특정 스위치 1개만 단독적으로 세팅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키보드 레이아웃 바로 아래 'Switch' 옵션은 해당 스위치의 기본 프리셋의 개념으로 이해하면 쉽습니다. 본 제품은 '게이트론 마그네틱 화이트 프로' 스위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Gateron White Pro Switch'가 자동 선택되어 있는데, 추후 타 스위치로 교체한다면 변경한 스위치의 스펙과 최대한 비슷한 옵션을 선택하면 됩니다.

    

    

    

043f41dcf272375f0c5e268ac706559dae0c8351.gif   

'Actuation'은 스위치의 작동 거리를 설정하는 중요 옵션입니다. 변경하길 원하는 키를 레이아웃에서 클릭 후, 자신의 취향에 따라 게이지를 조절하면 즉시 변경됩니다.

   

   

   

7e1e08f33ea4682ce614d6500e782ba5d941efeb.jpg2693a6d0a8851541affbc7e58309b9e65a07bdfb.gif

   

'Luminkey Magger 68 HE'는 스위치 데드존 거리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필수 항목은 아니고 가장 하단의 화면을 보면 토글 방식으로 데드존 설정을 On / Off 할 수 있습니다. 특히, FPS 게임에서 주목받는 기능인 '래피드 트리거' 기능도 탑재하고 있으므로 취향에 맞게 설정 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

   

   

   

6ed0b876eb9f32bdc0786c5bd3d8e565c95e318e.jpg

   

Advanced 탭에서는 키보드 입력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으며, 별도의 레이어를 생성하여 자신의 취향에 맞게 키를 세팅할 수 있습니다.

   

   

   
62ef9479f61301ac906c7b301941d824bbc1fd93.gif

   

다음 카테고리인 Macro 탭에서는 매크로를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매크로는 소프트웨어 왼쪽 Remap 메뉴에서 특정 키를 선택 후 적용할 수 있습니다.

   

   

   
0034d1853ca0e24449e5838f1b24b9e0e6eb7203.jpg

   
Light 항목에서는 말 그대로 RGB LED를 튜닝할 수 있습니다. 중앙의 키보드 레이아웃에는 실시간으로 키보드에 나타나는 LED가 직관적으로 표시되며, 하단부 Light Mode에서는 사전 설정된 프리셋 모드가 있으며, 우측의 팔레트(Palette)는 RGB 값을 수동으로 지정하여 세세한 튜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었습니다.

   

   

   

b1c22a96c8bb6dc0797ae41d7f1ac21ac0c40086.jpg02ef7a134d5b7969d705a53e8b2abb3a17cec1bd.jpg

   

Config 목록에서는 언어 및 오토런(AutoRun) 설정이 가능하며, 전용 소프트웨어 버전 및 키보드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쿨엔조이 https://coolenjoy.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아 니들 대체 뭔데 내 머릿속에서 나가 동영상 있음 다나와
PCCOOLER CPS F3 T120 ARGB : CPS 3팩 쿨링팬! T120 ARGB (1) 쿨엔조이
darkFlash WAVE DH360D ARGB : 9만 원대에 디스플레이와 인피니티 미러까지! (1) 쿨엔조이
2슬롯으로 구현하는 128GB의 시스템 메모리, 마이크론 Crucial DDR5-5600 CL46 패키지 아스크텍 (128GB(64Gx2)) (4) 쿨엔조이
SFF 시스템을 위한 작은 그래픽 카드, GIGABYTE 지포스 RTX 5070 WINDFORCE OC SFF D7 12GB 피씨디렉트 (1) 쿨엔조이
간편하게 휴대하는 고성능 대용량 외장SSD, CORSAIR EX400U (4TB) 쿨엔조이
합리적인 가격대에서 만나보는 B850 메인보드, ASRock B850M-X R2.0 쿨엔조이
생산성 끝판왕 노트북? 레노버 요가 슬림 7i 아우라 에디션 써보니... 동영상 있음 고나고
진짜로..2년만에 갈아탑니다! 신형 로보락Qrevo edgeC 장단점 총정리!【Ep.466】 동영상 있음 공구왕황부장
최신 PC 빌드 만반의 준비가 완료, 다크플래쉬 DF4100 MESH ARGB BTF 케이벤치
[작성완료] 외형, 용량, 클록 뭐하나 빠진게 없는 튜닝 메모리, CORSAIR DDR5-8400 VENGEANCE RGB 패키지 (48GB(24Gx2)) 쿨엔조이
PCIe Gen4 x4 지원, GAMING SSD WD_Black SN7100 2TB 브레인박스
그랑콜레오스 가솔린 터보 DCT, 실제 주행 느낌은? 동영상 있음 Motorgraph
이거 물건이네~ 농심 배홍동 칼빔면 리뷰 (1) 동영상 있음 맛상무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리미엄 게이밍 키보드, 체리 XTRFY PIXIU 75 노트포럼
[리뷰] 의외로 재미와 섬세한 콘텐츠의 조합 '마비노기 모바일' (1) 게임동아
쿨링에 진심, 마이크로닉스 WIZMAX ML-360 WIDE BTF 케이벤치
광활한 21:9 화면 비율로 게임 승률이 올라간다! [프리미엄 리포터V] 동영상 있음 다나와
잘 팔리니 바로 태세 전환! 기아 또 왜 이러나?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미국에서 유행하는 Z세대의 콜라 ‘올리팝’ (1) 마시즘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