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GABYTE 지포스 RTX 5080 WINDFORCE OC SFF D7 16GB 제이씨현
최근 SFF(Small Form Factor) PC 시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작은 크기를 넘어서, 성능과 공간 활용의 최적화라는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기 때문입니다. 이제는 컴팩트한 시스템에서도 성능을 타협하지 않는 고사양 컴포넌트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죠.
이런 흐름에 따라 PC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부품인 그래픽 카드의 크기가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되었습니다. SFF PC의 전체 크기를 결정짓는 주요 요소로 그래픽 카드가 자리잡으면서, 제조사들은 더 작고 강력한 성능의 그래픽 카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NVIDIA 또한 이러한 방향성에 맞춰 2슬롯 두께의 RTX 5090과 RTX 5080 파운더스 에디션을 선보일 수 있었죠.
주요 컴포넌트 제조사인 기가바이트도 시장 트렌드에 발맞춰 SFF PC용 라인업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기존 WINDFORCE 시리즈에 'SFF' 접미사를 더해 컴팩트한 크기와 강력한 성능을 모두 갖춘 제품을 출시했는데요. 이번 리뷰에서는 'GIGABYTE 지포스 RTX 5080 WINDFORCE OC SFF D7 16GB 제이씨현'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번 GeForce RTX 50 시리즈부터 기존의 서멀페이스트가 아닌 대체 기술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 제조사의 별도의 안내 전까진 제품의 온전한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PCB 분해가 진행되지 않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AMD Ryzen 7 9800X3D
MSI MPG X870E CARBON WIFI
Phanteks GLACIER ONE 420 D30 (BLACK)
GSKILL DDR5-6000 CL28 TRIDENT Z5 NEO RGB J 화이트 패키지 (32GB(16Gx2))
GIGABYTE 지포스 RTX 5080 WINDFORCE OC SFF D7 16GB 제이씨현
Seagate FIRECUDA 530 M.2 NVMe (4TB)
Seasonic PRIME TITANIUM TX-1300 Full Modular ATX 3.0
GIGABYTE 지포스 RTX 5080 WINDFORCE OC SFF D7 16GB GPU-Z / P-BIOS
GIGABYTE 지포스 RTX 5080 WINDFORCE OC SFF D7 16GB GPU-Z / S-BIOS
외부 온도 측정: FLIR E30
P-BIOS 상태 (좌) / S-BIOS (우)
소음 측정 : 이중 체임버 구조의 무향실 / CIRRUS RESEARCH CR-162B (Class2 타입)
그래픽 카드 단독 소비전력 측정 : 8 Pin (좌) / 12VHPWR & 12V-2x6 (우)
시스템 전체 소비전력 측정 : HPM-100A Wattman
GIGABYTE 지포스 RTX 5080 WINDFORCE OC SFF D7 16GB 제이씨현
SFF PC 구성에 적합한 크기
제품을 처음 접했을 때 가장 인상적이고 주목할 만한 특징은 이전 세대와 비교했을 때 전체적인 크기가 획기적으로 줄어들었다는 점입니다. 특히 이전 RTX 40시리즈의 고성능 모델(70 이상)은 제조사와 상관없이 대부분 3슬롯에 가까운 두께를 가지고 있어 공간 활용에 제약이 있었습니다. 이는 많은 사용자들이 SFF PC 구성 시 고민해야 했던 부분이기도 했죠. 그러나 이번에 출시된 'GIGABYTE 지포스 RTX 5080 WINDFORCE OC SFF D7 16GB 제이씨현'은 약 2.5슬롯 두께로 설계되어 매우 슬림한 디자인을 구현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고성능 그래픽카드가 가지고 있던 공간적 제약을 상당 부분 해소했습니다.
바이오스 모드에 따른 부스트 클록 유지 시간 변화
그래픽카드에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두 가지 작동 모드를 제공하는 바이오스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하나는 최대의 성능을 끌어내는 것에 중점을 둔 Performance 모드이고, 다른 하나는 정숙한 작동을 위해 최적화된 Silent 모드입니다. 이 두 모드는 GPU의 기본 클록 설정값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냉각 팬의 회전 속도(RPM)를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각각의 특성을 구현합니다. 결과적으로 부스트 클록의 지속 시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부스트 클록 변화 그래프를 보면, Performance 모드는 더 효과적인 냉각 성능을 통해 Silent 모드보다 오랫동안 부스트 클록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게임이나 고성능을 요구하는 작업에서 더 나은 성능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사용자 환경에 따른 BIOS 모드 변경
두 바이오스 간 차이는 사실 별도의 전력 설정, 혹은 클록의 변경이 없는, 냉각 팬의 RPM 동작 커브만 변경됩니다. 그에 따라 두 바이오스의 RPM 변화 그래프에서 다른 커브값을 볼 수 있었는데, Performance 모드 사용 시 1,900 RPM을 시작으로 평균 2,000 RPM 이상의 회전 속도를 유지했습니다. 그에 반해 Silent 모드의 경우 Performance 모드 대비 약 600 RPM 낮은 1,334 RPM으로 시작하여 평균 1,500 RPM 대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즉, 사용자는 높은 RPM으로 최고 성능을 선택할지, 아니면 낮은 RPM으로 조용한 작동을 선택할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평균 RPM 속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인해 소음은 물론 작동 온도에도 일부 차이가 나타났는데, Silent 모드 사용 시 평균 38 dB(A) 수준으로, 조용히 속삭이는 수준의 낮은 소음이 측정되었으며, Performance 모드의 경우 평균 45.8 dB(A) 수준으로 조용한 주택가에서 들을 수 있는 수준의 소음이 발생하였습니다. 두 작동 모드에서 측정된 소음은 전반적으로 조용한 편인 것으로 확인됩니다. 온도에서는 Performance 모드에서 평균 65.2℃, Silent 모드에선 평균 71.9℃ 수준으로 두 작동 모드에서 약 6℃ 가량의 온도 차가 발생하였습니다.
SFF PC를 위한 그래픽카드가 고민된다면
GIGABYTE 지포스 RTX 5080 WINDFORCE OC SFF D7 16GB 제이씨현
저작권자ⓒ 쿨엔조이 https://coolenjoy.net/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