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잘나가는 LG전자 휴대폰은 롤리팝과 쿠키다. 이 중 롤리팝은 LED를 휴대전화 전면에 내장하고 있어 젊은 세대의 감수성을 자극한다는 점과 가격대가 저렴하다는 이유로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
이동통신 3사를 통해 출시되는 이 제품은 각 통신사 별로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점이 독특하다. SKT에 출시되는 단말기는 2G 방식인 CDMA이며, KTF용은 3G인 WCDMA, LGT 역시 3G인 Rev.A다.
롤리팝 폰의 앞면에는 220개의 LED를 배치했다. 하트, 자동차, 동물 문양 등 22가지의 기본 무늬를 내장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이모티콘을 만들 수 있는 기능도 지원한다. 앞면 하단의 투명창에는 7개 색상과 5개 무늬 등 총 35가지의 ‘시크릿 라이팅’을 설정할 수 있어, 전화 및 메시지 수신 시 상대방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셀카 이용이 잦은 젊은 세대를 위해 내부 LCD 위에 화각을 약 20% 이상 증대시켜 주는 광각 카메라 렌즈를 장착, 팔을 뻗지 않아도 얼굴이 작게 나오며 근접거리에서도 여러 명이 함께 촬영할 수 있게 했다.
후면에는 자동초점 기능을 적용한 300만화소 카메라를 별도 탑재했다. 셀카용 카메라는 주로 30만 화소 카메라가 사용되는데 롤리팝 폰은 130만 화소다. 단말기 출고 가격은 50만원 대 초반.
그렇다면 실제 롤리팝 폰의 외형 디자인과 UI 등은 어떠한지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자.
| ◆ 제품 사양 |
![]()
| 롤리팝 폰 |
|
| 이통사 |
SKT : LG-SV800 |
| 통신방식 |
SKT : CDMA |
| 색상 |
아쿠아 블루, 큐티 핑크, |
| 액정 |
내부 : 2.8인치 WQVGA(240x400) |
| 벨소리 |
72화음 |
| 외장메모리 |
마이크로SD |
| 카메라 |
130만 화소 + 300만 화소 |
| 배터리 |
연속통화 : 약 150분 |
| 기타 |
시간표 |
| ◆ 롤리팝 외형 디자인 |
▷ 전면
롤리팝의 전면은 파란색 톤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데, 깔끔한 이미지다. 내장된 LED에서 발산되는 빛이 고급스러움을 더한다. 폴더를 열면 흰색 계열의 내부가 눈길을 끈다.
전면 상단에는 셀프 사진을 찍는데 사용할 수 있는 130만 화소 카메라 모듈이 있다. 일반적으로 셀카용 카메라는 30만 화소가 일반적인데 130만 화소급을 사용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큰 이미지의 촬영이 가능하다.
그 아래로는 WQVGA(240x400) 해상도를 지원하는 2.8인치 액정이 장착되어 있다.
키패드는 흰색과 회색이 부드럽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야간에는 이 키패드를 통해 푸른색 계열의 빛이 점등된다.
▷ 측면
롤리팝 좌측면은 통화 중 상대방과의 대화를 실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는 저장 버튼과 볼륨 조절 버튼이 있다.
우측면에는 이어셋 연결부, 데이터통신 및 충전기 연결용으로 사용되는 20핀 표준 I/O 포트와 사진 촬영 핫키가 배치되어 있다.
▷ 상·하단
단말기 하단에는 뒤에서 살펴보겠지만 'Secret Lighting'이라 불리는 독특한 LED 발광부가 있다.
▷ 후면
롤리팝 후면은 300만 화소 메인 카메라와 배터리 탑재부로 구성된다.
후면 카메라는 자동초점 기능을 지원해 사진을 촬영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촬영 시 유용하다. 별도의 플래시 등은 내장되지 않았기 때문에 야간 촬영에는 약하다.
배터리 탑재부에는 별도의 외장 메모리인 마이크로SD를 위한 삽입구가 있다.
| ◆ 메뉴 구성 |
▷ 기본 메뉴 구성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휴대폰 답게 롤리팝의 UI는 동화스러운 분위기를 물씬 풍기고 있다. 색상의 선택도 그러하지만 이미지 하나 하나의 선택에도 노력을 기울인 듯한 분위기다.
최근 출시되는 SKT용 휴대전화는 메뉴 구성이 일관적이다. 이른바 '통합 UI'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휴대전화를 구입하고 동일한 메뉴 형태를 만나게 된다. 이 같은 SKT의 정책과 관련 반대하는 이들도 많이 있지만, 혼란을 줄일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찬성하는 이들도 적지 않다.
롤리팝의 기본 메뉴는 T서비스, 소리, 화면, 컨텐츠보관함, 멀티미디어, 다이어리, 메시지, 전화번호부, 환경설정으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설정 값을 변경하거나 특정 기능을 이용할 경우 원하는 메뉴를 찾아 들어가 사용하면 된다.
▷ 외부 LED 설정
롤리팝의 가장 큰 특징은 전면에 내장된 LED를 사용자 편의에 따라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LED는 총 8가지 종류로 나누어 설정할 수 있으며, 기본 설정된 패턴을 이용하면 편리하다.
< LED 설정 화면 >
< LED의 예 >
▷ Secret Lighting
![]()
롤리팝의 폴더 하단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빛을 표시할 수 있는 이른바 'Secret Lighting' 기능을 지원한다. 빛퍼짐, 빛모음, 빛흐름(좌->우), 빛흐름(우->좌), 모두 빛남 등으로 설정할 수 있는 이 기능은 전화올 때, 메시지가 도착할 때, 풀더를 열거나 닫을 때, 알림 및 모닝콜이 울릴 때, 부재중 전화가 왔을 때, 전원을 켜고 끌 때 등으로 구분해 이용할 수 있다.
| ◆ 카메라 기능 |
롤리팝은 300만 화소 카메라를 내장하고 있다. 촬영 가능한 사진 크기는 2048 x 1536, 1600 x 1200, 1280 x 960, 640 x 480, 320 x 240 등 총 5가지다.
![]()
화이트밸런스를 지원하므로 주변 밝기에 따른 사진 촬영이 가능하고, 세피아·흑백 등의 필터를 이용한 효과를 줄 수 있다. 얼굴 꾸미기 기능도 지원하므로 셀프 촬영의 재미를 더했다. 특히 어안렌즈, 오목렌즈 등의 기능을 사용해 재미있는 사진 연출이 가능해졌다.
< 키 사용법 >
촬영된 사진은 가로보기 / 세로보기 전환도 가능하다.
| ◆ 게임 기능 |
롤리팝의 재미 중 하나는 G센서를 활용한 다양한 게임 즐기기에 있다.
G센서를 내장한 LG 폰들의 최근 트렌드라 할 수 있는데, 롤리팝은 사용자가 휴대전화를 기울이거나 흔들며 즐길 수 있는 게임을 무려 8개나 내장했다. 이 같은 장르의 게임을 처음 접해본 사용자라면 분명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내장된 게임은 뇌ON, 스도쿠카페, 밍글맹글, M-Toy 낚시, M-Toy 다트, M-Toy 홈런더비, M-Toy 타워, M-Toy 사과나무다.
| ◆ 다양한 부가 기능 |
요즘 나오는 휴대폰 중 전자사전, 지하철 노선도, 이동식 디스크 등의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제품은 거의 없다. 롤리팝 역시 이를 충실히 지원한다.
![]()
전자사전은 학생들이나 직장인들이 이용하기에 좋다. 물론 영어의 경우 문자 입력 방식이 ABC 타입이므로 손에 익지 않은 이들의 경우 불편함을 호소할 수 있지만, QWERTY 자판이 아닌 모든 휴대전화가 이 방식이므로 자주 사용해 익숙해 질 필요가 있다.
지하철노선도는 전국 노선을 내장하고 있고, 최적의 환승 노선을 안내해주므로 지하철에 익숙치 않은 이들에게 유용하다. 특히 역 출구별 정보나 첫차/막차 등의 정보도 이용할 수 있으니 참고하자.
| ◆ 롤리팝 동영상 |
| ◆ 총평 |
지금까지 LG전자에서 출시한 롤리팝 폰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
최근 히트폰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이 제품은 셀프 촬영용으로 130만 화소 카메라를 내장하고 있고 어안렌즈나 다양한 부가 기능을 지원하고 있어 재미있는 사진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G센서를 활용한 게임 기능은 처음 롤리팝을 만난 사용자들에게 큰 재미를 선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단말기 전면에 내장된 LED나 Secret Lighting 기능 등도 재미있는 요소 중 하나다.
단말기 크기도 적당해 그립감이 좋고, 숫자 간 간격이 상당히 넓어 문자 메시지나 전화 통화 시도할 때 버튼간 간섭이 적다. 때문에 손이 큰 사용자들이 사용하더라도 큰 문제가 없다. 별도의 외장 메모리인 마이크로SD를 삽입할 수 있어 저장 공간과 관련된 불편함도 없다.
물론 어두운 곳에서 사진을 촬영할 때 필수인 LED 플래시가 내장되지 않았다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다나와 이진 기자 miffy@danw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