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소니, 또다른 혁신을 내놓다-소니 NEX5

미디어잇
2010.06.18. 17:51:31
조회 수
57,511
96
댓글 수
17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DSC00219.jpg

IMG_9852.jpg

IMG_9815.jpg

소니는 디지털 카메라 시장의 가능성에 가장 먼저 눈을 떴다. 마비카 시리즈를 통해 소니는 카메라의 개념을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바꿔가기 시작한다. 이후, 소니에서 성능과 외관을 다듬어 선보인 사이버샷 시리즈는 디지털 카메라 사용자라면 누구나 알고 있을 만한 베스트셀러 모델로 자리잡았다.

소니의 발전은 DSLR 카메라 시장에서도 계속된다. 퀵 AF 라이브 뷰, 흔들림 보정 기능, 틸트 LCD와 HDR 등, 개성 강한 기능을 탑재한 소니 DSLR 카메라는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이끌어냈다.

IMG_9857.jpg

2010년, 소니는 또 한 번의 변혁을 시도했다. DSLR 카메라의 대형 이미지 센서는 유지한 채, 미러 박스와 파인더를 삭제해 휴대성을 높인 미러리스 카메라 시장에 진입한 것이다. 이미 사이버샷 R1을 통해 라이브 뷰 기반의 미러리스 카메라의 가능성을 선보였던 소니는, 새 미러리스 카메라의 경쟁력으로 '크기'와 '동영상'을 내세웠다. 그 첫 모델이 소니 NEX5다.

IMG_9811.jpg

소니 NEX5는 알파 시리즈 DSLR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에 사이버샷 시리즈의 편의 기능과 휴대성, 핸디캠 시리즈의 동영상 촬영 기능을 한 데 모은 미러리스 카메라다. 이미 올림푸스, 파나소닉, 삼성전자 등이 진출한 미러리스 카메라 시장에서 후발 주자의 불리함을 이겨내기 위해 소니는 미러리스 카메라의 특성을 극한까지 끌어올리는 전략을 세웠다.

출시 이후, 사용자들 사이에서 화제의 모델로 떠오르고 있는 소니 NEX5, 소니의 또다른 변화를 NEX5를 통해 가늠해보자.

IMG_9813.jpg

IMG_9826.jpg

DSC00170.jpg

 


제목 없음

  

DSC00268.jpg

<리뷰에 사용된 소니 NEX5는 샘플 버전으로,
실제 양산 제품과는 다소 성능차이가 있을 수 있음>

IMG_9847.jpg

 

소니 NEX5

올림푸스 PEN E-P2

파나소닉 GF1

삼성전자 NX10

이미지 센서

APS 사이즈 1,420만 화소

마이크로포서즈
1,230만 화소

마이크로포서즈
1,211만 화소

APS 사이즈 1,460만 화소

흔들림 보정

렌즈

본체 내장

렌즈

렌즈

감도

ISO 200-12800

ISO 100-6400

ISO 100-3200

ISO 100-3200

동영상

1,920 x 1,080
AVCHD

1,280 x 720
MPEG

1,280 x 720
AVCHD Lite

1,280 x 720
MPEG4 H.264

LCD

3인치 92만 화소
틸트형

3인치 23만 화소

3인치 46만 화소

3인치 62만 화소
AMOLED

먼지제거

전자진동

초음파진동

초음파진동

음파진동

뷰 파인더

광학식(옵션)

전자식(옵션)

전자식(옵션)

전자식

편의 기능

스마일셔터
스윕 파노라마
 얼굴인식
초당 7매 고속연사
스마트 오토
HDR

아트 필터
얼굴인식
추적 AF
인물 보정 기능
인텔리전트 오토

얼굴인식
추적 AF
인텔리전트 오토

스마트 오토
뷰티 샷
Burst 고속연사

발매 렌즈

2종

11종

3종

크기 및 무게

117.2 x 62.6 x 33.4mm
239g

121 x 70 x 36mm
335g

121 x 70 x 36mm
335g

123 x 87 x 39.8mm
353g

소니 NEX5의 사양을 경쟁 미러리스 카메라들과 비교해 보면, 전반적으로 편의성과 동영상, 휴대성 면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삼성전자 NX10과 함께 APS 사이즈 1,400만 화소급 센서를 사용해 판형의 장점을 살렸으며, 여기에 미러리스 카메라 최초로 풀 HD 동영상 촬영 기능을 탑재해 차별화를 노렸다. 3인치 틸트형 LCD와 스윕 파노라마, 스마일 셔터 등 편의 기능에도 충실하며, 대형 이미지 센서를 장착했음에도 본체 무게는 200g대로 미러리스 카메라 가운데 최소, 최경량을 이룩해냈다.

IMG_9828.jpg

소니 NEX5의 전면 디자인은 SLR 구조에 익숙한 사용자들에게는 다소 당혹스러울 수 있다. 마운트 직경이 본체 두께보다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마운트부와 그립부 사이를 아치형으로 설계해, 바닥에 올려놓더라도 무게 중심은 안정감있게 유지된다.

오히려, 소니 NEX5는 그립부 디자인이 두터워 손으로 쥘 때 안정감이 더하다. 렌즈 탈착 버튼, AF 보조광 등은 렌즈교환식 카메라의 디자인을 그대로 본땄다.

IMG_9836.jpg

IMG_9829.jpg

IMG_9922.jpg

소니 NEX5는 콤팩트 카메라-DSLR 카메라 사용자 사이의 초보 사용자 계층을 노린 모델이다. 그만큼, 버튼 배열은 간소화했다. 기본적으로, 휠 다이얼과 3개의 소프트 키로 모든 조작과 설정 변경을 행한다. 휠 다이얼은 십자 키 / 단축 키 역할도 겸한다. 동영상 촬영 기능을 특화시킨 모델답게, 소니 NEX5는 동영상 촬영 전용 셔터를 지녔다.

소니 NEX5는 라이브 뷰 촬영이 기본이다. 따라서, LCD를 통해 촬영 설정과 히스토그램 등을 실시간 확인 가능하다.

IMG_9925.jpg

IMG_9926.jpg

소니 NEX5의 촬영 메뉴들은 보기 쉬운 아이콘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 간략한 도움말이 출력되기 때문에 카메라를 처음 다루는 사용자라도 쉽게 조작할 수 있다.

메뉴는 촬영 모드와 본체 설정, 화질 설정, 리뷰 설정, 기계 설정 등으로 나뉘어져 있다. 각 설정은 휠 다이얼과 소프트 키를 통해 이동/선택할 수 있다.

IMG_9924.jpg

IMG_9841.jpg

IMG_9930.jpg

IMG_9937.jpg

IMG_9944.jpg

소니 NEX5는 버튼이 단순화돼 있지만, 촬영 설정은 풍부하다. 다만, 이들 설정은 모두 메뉴 안에 들어가 변경해야 한다. 일반 DSLR 카메라나 미러리스 카메라들이 이들 메뉴를 퀵 설정 버튼 등을 통해 쉽게 변경할 수 있는 반면, 소니 NEX5는 설정 버튼 없이 모든 기능을 메뉴에 들어가 변경해야 한다.

IMG_9946.jpg

IMG_9947.jpg

IMG_9831.jpg

IMG_9840.jpg

소니 NEX5 제품 윗면에는 전원 스위치와 셔터 버튼, 리뷰 버튼과 스테레오 마이크가 자리잡고 있다. 각 버튼 배열은 손가락 위치에 맞아 떨어지게끔 되어 있다. 검지로 셔터를 조작하고, 엄지로 전원 스위치, 리뷰 버튼과 동영상 셔터를 조작하는 게 무리가 없다.

마이크는 기본적으로 스테레오 녹음을 지원한다. 마이크 사이 액세서리 터미널에는 기본 제공되는 내장 플래시와 별매 액세서리(마이크, 파인더 등)를 장착할 수 있다.

IMG_9853.jpg

소니 NEX5 본체 구성품 내에는 내장 플래시가 포함돼 있다. 내장 플래시 장착 시에는, 액세서리 터미널의 덮개를 열고 슬롯을 맞춘 후, 나사로 고정시키면 된다. 나사로 고정한 후에는 체결력이 높아 유격은 느낄 수 없다.

IMG_9856.jpg

IMG_9832.jpg

소니 NEX5의 옆면에는 USB / HDMI 단자와 스트랩 고리가 있다. 단자부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 커버를 씌워 보호하는 방식이다. 스트랩 고리는 옆으로 넓은 모양인데. 이는 본체 무게가 가벼운 소니 NEX5의 특성상, 렌즈 마운트 시 렌즈 부분이 아래로 가게 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IMG_9833.jpg

소니 NEX5는 저장 매체로 SD / SDHC / SDXC 메모리에 MS Duo 규격까지 사용 가능하다. 다만, 슬롯 자체는 하나이기 때문에, 메모리를 한 번에 하나만 사용 가능하다.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 NP-FW50으로 1회 충전시 약 300-350여 매까지 촬영 가능하다. 삼각대 마운트는 렌즈 마운트부 밑에 자리잡고 있다. 삼각대 거치시 움직임이나 배터리 / 메모리 교환에 큰 지장을 주지 않는다는 점에서 만족스럽다.

IMG_9838.jpg

소니 NEX5의 장점은 뛰어난 휴대성이다. 본체 크기는 110.8 x 58.8 x 38.2(그립부. 가장 얇은 본체부는 24.2mm)mm에 불과하다. 렌즈를 제외한 본체만으로 따지면 일반 콤팩트 카메라보다도 작고 가볍다. 무게 역시 본체 기준 239g, 렌즈 1개와 배터리, 메모리를 모두 포함해도 500g이 채 되지 않는다.

IMG_9820.jpg

IMG_9807.jpg

IMG_9808.jpg

IMG_9848.jpg

IMG_9845.jpg

소니 NEX5는 E 18-55mm F3.5-5.6 OSS와의 렌즈 킷과 E 16mm F2.8과의 렌즈 킷, 그리고 렌즈 2개를 포함한 더블 렌즈 킷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렌즈는 일반 DSLR 카메라의 렌즈보다 크기가 작아, 소니 NEX5와 잘 어울린다. 특히, 팬케이크형 광각 렌즈, E 16mm F2.8 렌즈는 소니 NEX5의 휴대성을 크게 향상시켜준다.

IMG_9826.jpg

Install Silverlight3

소니 NEX5를 비롯한 미러리스 카메라들은 콘트라스트 AF를 사용한다. 콘트라스트 AF는 원리상 초점이 빗나갈 우려가 없지만, 위상차 AF에 비해 느리고 동체추적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소니 NEX5의 AF 능력은 수준급이다. 근거리-원거리 초점을 번갈아 잡아도 0.5초 이내에 초점 검출을 마친다.

AF 포인트 자체의 크기도 실제 사용 시 크게 문제되지 않는 수준이다.

소니 NEX5는 미러리스 구조지만, 셔터막은 존재한다. 따라서, 촬영 시에는 셔터음이 발생한다.

소니 NEX5의 초당 7매 고속 연속촬영 기능은 초점과 노출이 처음 1매에 고정되므로, 움직이는 피사체 포착에는 부적합하다. 하지만, 카메라를 고정시키고 피사체를 연속촬영할 경우 효과가 좋다.

Install Silverlight3

IMG_9808.jpg

DSC00104.jpg

 


제목 없음

  

DSC00014.jpg

DSC00014s.jpg

소니 NEX5는 DSLR 카메라 알파 시리즈와 같은 크기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했다. 화소도 1,420만 화소로, 피사체의 작은 부분까지 묘사할 수 있다.

미러리스 카메라는 그 구조상, 렌즈 교환 시 이미지 센서가 항상 노출된다. 그렇기에, 먼지제거 기능은 필수다. 소니 NEX5는 전원을 켜고 끌 때 로우패스 필터 진동 방식의 먼지제거 기능을 지원해 이러한 우려를 줄였다.

DSC00273.jpg

DSC00718.JPG

DSC00719.JPG

흔들림 보정 기능 Off

흔들림 보정 기능 On

소니는 그 동안 DSLR 카메라의 경우 본체 내장식 흔들림 보정 기능을 지원해왔다. 하지만, 소니 NEX5는 본체 크기를 줄이기 위해 흔들림 보정 기능을 렌즈에 추가했다. 흔들림 보정 기능 자체는 고성능이다. LCD상에서 보정 효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셔터 속도 약 4단 가량을 확보해준다.

DSC00088.jpg

DSC00021.jpg

DSC00022.jpg

 스탠다드

생생한

DSC00023.jpg

DSC00024.jpg

 인물

풍경

DSC00025.jpg

DSC00026.jpg

 석양

흑백

IMG_9942.jpg

소니 NEX5는 마이스타일을 사용해 이미지 발색을 조절할 수 있다. 마이스타일은 총 6가지 종류가 있으며, 이를 사용해 인물, 풍경, 흑백 등 촬영하고자 하는 환경이나 피사체에 따라 발색을 조절할 수 있다.

DSC00019.jpg

DSC00027.jpg

DSC00028.jpg

콘트라스트 +3

콘트라스트 -3

DSC00029.jpg

DSC00030.jpg

채도 +3

채도 -3

소니 NEX5는 마이스타일 외에 세부 파라미터 설정 기능도 지원한다. 콘트라스트 / 채도 / 샤프니스 등 3가지 파라미터 설정이 가능하며, 단계는 -3 ~ +3까지 총 7단계다.

IMG_9943.jpg

DSC00034s.jpg

DSC00031s.jpg

선명도 +3

선명도 -3

DSC00105.jpg

200.jpg

400.jpg

800.jpg

ISO 200

ISO 400

ISO 800

1600.jpg

3200.jpg

6400.jpg

ISO 1600

ISO 3200

ISO 6400

소니 NEX5는 ISO 200-12800 고감도를 지원한다. ISO 100 미지원은 다소 아쉽지만, 대신 고감도 성능이 탁월해 단점을 상쇄해 준다. ISO 200-1600까지의 화질은 크게 구분하기 힘들 정도로 화질이 높다. 특히, 컬러 노이즈 억제력이 매우 높다.

ISO 3200부터는 이미지가 다소 거칠어지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인상적인 화질을 보여준다. ISO 6400-12800 구간에서는 피사체 디테일 감소와 노이즈가 눈에 띈다.

전반적으로, ISO 200-3200까지는 무난히 사용 가능하며, 광량이 부족한 곳에서도 ISO 1600선까지는 사용 가능한 수준이다.

12800.jpg

ISO 12800

DSC00043.jpg

DSC00080.jpg

DSC00083dro5.jpg

DRO 없음

DRO Auto

IMG_9940.jpg

소니 NEX5의 DRO(Dynamic Ramge Optimizer)는 어두운 부분의 밝기를 올리고, 밝은 부분은 유지해 화면 내 노출 균형을 맞추어 주는 기능이다. DRO는 자동으로 화면을 분석해 적용하는 Auto 설정과 Lv1 ~ 5까지의 세부 적용으로 나뉜다. Lv이 높을 수록 어두운 부분의 보정 효과가 커진다.

DSC00017.jpg

DSC00016.jpg

DRO 없음

DRO Lv1

DSC00015.jpg

DSC00018.jpg

DRO Lv3

DRO Lv5

DSC00092.jpg

DSC00176.jpg

DSC00177hdrauto.jpg

일반

HDR Auto

 HDR(High Dynamic Range)는 DRO와 달리, 노출이 다른 사진 3매를 촬영 후 합성해 노출 균형을 맞추는 기능이다. 역광, 극명한 노출 차이에서의 촬영시 손쉽게 적정노출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HDR 역시 DRO와 마찬가지로 Auto 설정과 EV별 설정을 사용 가능하다. EV 설정을 변경하면, 3매 연속촬영 시 브라케팅의 범위가 넓어지므로 더 큰 폭의 보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MG_9941.jpg

DSC00178.jpg

DSC00179hdr1ev.jpg

일반

HDR 1EV

DSC00181hdr3ev.jpg

DSC00183hdr6ev.jpg

HDR 3EV

HDR 6EV

DSC00103.jpg

 


제목 없음

  

DSC00102.jpg

IMG_9822.jpg

소니 NEX5는 다양한 편의 기능을 지니고 있다. 풀 HD 동영상, 틸트형 LCD 등, 기계 성능에 관한 편의 기능에서부터 스마일 셔터, 스윕 파노라마, 도움말 메뉴 등, 화질에 대한 편의 기능도 지원한다.

anigif.gif

소니 NEX5의 LCD는 3인치 92만 화소 TruBlack으로, 시야율과 색 재현력, 선명도가 매우 우수하다. 여기에, 위아래 방향 틸트 동작을 지원해 손쉽게 하이 / 로우앵글 촬영을 시도할 수 있다.

IMG_9837.jpg

IMG_9950.jpg

IMG_9951.jpg

IMG_9952.jpg

IMG_9953.jpg

IMG_9954.jpg

IMG_9955.jpg

초보 사용자들을 위해 소니 NEX5는 다양한 도움말 메뉴를 지원한다. 촬영 설정에도 기본적으로 도움말이 출력되며, 촬영 응용 방법에 대해서는 별도의 촬영 팁을 제공한다. 카메라를 처음 다루는 사용자라도, 도움말을 따라 설정을 변경한 후 사진을 촬영하면 쉽게 응용 촬영을 시도할 수 있다.

DSC00051.jpg

DSC00259.jpg

DSC00260.jpg

16mm

디지털 줌 3배

DSC00261.jpg

DSC00262.jpg

디지털 줌 5배

디지털 줌 10배

소니 NEX5는 본체 내 디지털 줌 기능을 지원한다. 배율은 10배로, 줌 렌즈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단렌즈인 E 16mm F2.8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디지털 줌은 화상 확대식으로, 해상도는 1,400만 화소를 유지하지만, 화상 확대로 인한 화질 저하는 다소 감수해야 한다. 디지털 5배 가량은 원본 화질도 크게 떨어지지 않으므로, E 16mm F2.8 렌즈 사용 시 요긴하게 사용 가능하다.

DSC00201.jpg

스윕 파노라마는 소니 사이버샷 콤팩트 카메라에서 선보인 기능이다. 소니 NEX5의 스윕 파노라마 역시 같은 방식으로 촬영한다. 셔터를 누른 채, 카메라를 옆으로 움직이면 카메라 내에서 자동으로 파노라마 촬영 후 합성해준다. 가로 해상도가 8,192에 달하는 넓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IMG_9928.jpg

DSC00238.jpg

DSC00089.jpg

DSC00260A.JPG

1.png

소니 NEX5는 스마일 셔터 기능을 지원한다. 얼굴인식 AF를 기반으로, 프레임 내 얼굴을 우선 검출하고 인물이 웃는 순간 자동으로 셔터를 작동시키는 방식이다. 물론, 얼굴인식 AF가 기본이므로 노출, 초점은 인물 얼굴을 우선으로 측정된다. 소니 NEX5의 스마일 셔터는 사이버샷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웃음의 정도에 따라 검출 범위를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하다.

anigif2.gif

anigif3.gif

소니 NEX7은 초당 7매 고속 연속촬영 기능을 지원한다. 이 때, 초점과 노출은 처음 1매에 고정된다. 피사체의 움직임을 따라가면서 촬영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카메라를 고정시켜두고 피사체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잡아내는 데 매우 유용하다.

DSC00068.jpg

Install Silverlight3 

소니 NEX5의 성능 가운데 가장 돋보이는 것은 1,920 x 1,080 해상도 풀 HD 영상 촬영 기능이다. 영상 촬영은 별도로 마련된 영상 촬영 셔터를 통해 가능하며, 초점은 기본적으로 C-AF로 고정된다. 이 때, 반셔터를 누르면 S-AF도 사용할 수 있다. 영상 촬영 시, 셔터와 조리개는 자동으로 조절되며, AF 영역은 멀티로 고정된다.

Install Silverlight3 

영상 촬영 포맷은 AVCHD로, 화질이 우수하다. 소니 E 마운트 렌즈들은 줌, AF 시 소음을 최소화했다. 이로 인해, 동영상 촬영 중 줌을 조절하거나, AF를 사용하더라도 영상에는 소리가 녹음되지 않는다. 출시 예정인 소니 E 18-200mm F3.5-5.6 OSS의 경우, 소니 핸디캠 캠코더에 적용된 액티브 흔들림 보정 기능을 갖추고 있어 영상 촬영용으로 적합하다.

DSC00197.jpg

 


제목 없음

 

DSC00094.jpg

IMG_9845.jpg

IMG_9808.jpg

소니는 미러리스 카메라 시장 진입 이후, 과감한 승부수를 내세웠다. 편의 기능, 화질, 휴대성 등 미러리스 카메라 본연의 장점을 극대화한 것이다. 여기에, 소니 디지털 디바이스의 장점만을 한 데 모아 기기 하나로 대부분의 편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끔 했다.

특히, 3인치 틸트 LCD, 풀 HD 영상 촬영 기능과 스윕 파노라마, 스마일 셔터 등은 대단히 유용하다. 경쟁 미러리스 카메라에 대항해, 독창적인 기능과 더욱 강해진 휴대성을 무기로 삼은 것이다.

IMG_9825.jpg

소니 NEX5는 초보 사용자들을 겨냥한 모델이다. 그렇기에, 동영상 촬영 시 조리개/셔터 조절이나 커스텀 메뉴, 펑션 키 등의 기능은 지원하지 않는다. 메뉴 역시 초보 사용자들에게 알맞게 아이콘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중상급 사용자라면 다소 불편하게 느낄 수 있다. 다소 빈약한 액세서리군도 시급히 확충되어야 할 문제다. 하지만, 이러한 단점을 감수하고서라도 소니 NEX5의 크기와 성능은 충분히 매력적이다.

IMG_9810.jpg

DSLR 카메라의 화질을 콤팩트 카메라의 크기로 즐길 수 있는 미러리스 카메라는 그 자체만으로도 사용자들의 이목을 끈다. 하지만, 소니 NEX5는 미러리스 카메라 중에서도 성능은 가장 높은 반면, 크기는 가장 작게 유지해 이상적인 미러리스 카메라의 전형을 보여주었다.

소니는 향후 NEX 시리즈를 주력으로 점유율을 큰 폭으로 끌어올리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소니 NEX5는 이러한 소니의 자신감과 향후 청사진까지 제시해 주는, 기념비적인 미러리스 카메라라고 하겠다.

IMG_9835.jpg

DSC00069.jpg

IMG_9822.jpg

Good

Bad

 - DSLR 카메라의 화질을 콤팩트 카메라 사이즈로 즐긴다

 - 꼭꼭 숨어있는 메뉴. 조절하기 번거로운 점은 아쉬워

 - 강력한 흔들림 보정 기능, ISO 12800 고감도도 만족

 - 영상 촬영 중 AF 제외한 설정은 조절 불가

 - 스윕 파노라마, 스마일 셔터 등 개성있는 기능

 - 렌즈군 확충이 무엇보다 시급

 - HDR, DRO로 누구나 손쉽게 적정노출 이미지를

 

 - 캠코더 부럽지 않은 풀 HD 동영상 촬영 기능

 

 - 빠른 AF, 영상 촬영 시에도 만족스러운 성능

 

 - 시야, 구도 모두 탁월한 3인치 92만 화소 틸트 LCD

 

 - 높은 가격대비 성능

 

IMG_9851.jpg

DSC00113.jpg

 미디어잇 차주경 기자 reinerre@it.co.kr
상품전문 뉴스 채널 <미디어잇(www.it.co.kr)>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MSI MAG 274UPDF800 E16M : 더 많은 유저가 경험하게 될 미니 LED 시대 쿨엔조이
이게 된다고? 애플 뮤직 역대급 신기능 8가지! 동영상 있음 다나와
마이크로닉스 COOLMAX V6 WHITE : 겨울날에 딱 어울리는 화이트 케이스! (1) 쿨엔조이
2.5Gbps 유선 지원 & 와이파이7 BE3600 지 무선 AP, EFM ipTIME RING-BE3600plus (1) 브레인박스
돈 스크림 투게더, 친구가 비명 지르면 내가 죽는다 (1) 게임메카
데자와 분말스틱을 품고 다니는 사람 (1) 마시즘
게임과 작업 모두 가능한 가성비 모니터, 크로스오버 27QD166C QHD iPS USB-C 화이트 Ai (1) 노트포럼
언제나 맛있는 것은 편의점 바깥에 있다 (1) 마시즘
4K 160Hz or FHD 320Hz? 주사율을 내 마음대로! 60만원대 '역대급 가성비' 게이밍 모니터 [프리미엄 리포터V] 동영상 있음 다나와
게이밍 PC를 위한 안정적 선택 'MSI MAG A850GLS 80PLUS골드 풀모듈러 ATX3.1' 미디어픽
RTX5060 달린 18인치 TUF는 3kg도 안됩니다. 믿어주세요! ASUS TUF Gaming A18 FA808UM-S8031 [노리다] 동영상 있음 다나와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5070 EX GAMER BLACK OC D7 12GB [써보니] RTX 50 스팀 점유율 1위, 그 제품! 위클리포스트
PRADA 가방 아니고… 전설의 ‘LG 프라다폰’ 다시 켜봤습니다 (1) 동영상 있음 주연 ZUYONI
램만 바꿨을 뿐인데 PC 성능이 올라간다고? 화이트PC에 깔맞춤! KLEVV URBANE V RGB 화이트 램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가격마저 묵직한 신제품 오뚜기 똣똣라면 리뷰 동영상 있음 맛상무
기대했던 그 축구화, 신어봤습니다! (언더아머 마그네티코 5.0 엘리트 FG 실착 리뷰) 동영상 있음 Allthatboots TV
써멀테이크 View 380 WS ARGB BLACK : 나무를 곁들인 듀얼 챔버 케이스! 쿨엔조이
리안리 Hydroshift II LCD-C 360TL : 2세대로 돌아온 Hydroshift 쿨엔조이
GIGABYTE 라데온 RX 9060 XT Gaming OC ICE D6 16GB 피씨디렉트: 새하얀 화이트 감성의 메인스트림 그래픽카드 쿨엔조이
강렬한 게이밍 경험을 제공할 18인치 하이엔드 노트북, MSI 벡터 A18 HX A9WIG-R9 QHD+ 케이벤치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