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후지필름은 프리미엄 미러리스 카메라 X-Pro1 발표 당시 라이카 M 마운트 어댑터 출시를 예고했다. 미러리스 규격은 플랜지백이 짧고 미러 부가 없어 수동 렌즈를 마운트하기 좋다. 실제로 많은 사용자들이 미러리스 카메라에 필름 / 수동 카메라용 렌즈를 장착해 사용하고 있다. 이 가운데, 라이카 M 마운트는 오랜 역사와 우수한 광학 성능을 통해 사진가들에게 인정받은 규격이다. 사진에 집중하고자 하는 정통 사용자들을 위해, 라이카 M 마운트 사용자들을 위해 후지필름은 2012년, X-Pro1 전용 라이카 M 마운트 어댑터를 선보였다.
|
일반적인 렌즈 어댑터들은 단순히 마운트간 규격만 맞추어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후지필름 M 마운트 어댑터는 전기 접점을 통해 노출을 자동 계산해주는 것은 물론 다양한 보정 기능까지 사용할 수 있게 해 준다. 전통의 상징, 라이카 M 렌즈와 최신 디지털의 상징인 후지필름 EXR 이미지 센서와의 만남, 후지필름 M 마운트 어댑터는 이를 가능케 해 준다.
|
|
|
후지필름 M 마운트 어댑터 본체 재질은 알루미늄으로 충분한 내구성을 지녔다. 사용법은 일반 렌즈 어댑터와 같다. 붉은 색으로 표시된 마운트 지침에 렌즈의 지침을 맞추면 쉽게 렌즈를 장착할 수 있다. 마운트는 라이카 M / 보이그랜더 VM으로, 라이카 / 보이그랜더 / 칼 자이스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초점 거리는 렌즈 표기 초점 거리 대비 1.5배가 된다.
|
후지필름 M 마운트 어댑터는 일반 렌즈 어댑터와 달리 전기 접점과 메뉴 버튼을 지녔다. 어댑터 옆면에 자리잡은 메뉴 버튼을 누르면 렌즈 보정 항목이 나타난다. 이 보정 항목에서는 색수차 / 왜곡(배럴, 핀쿠션) / 주변부 광량저하 보정 기능이 제공된다. 아래 보정 항목들은 후지필름 M 마운트 어댑터 사용 시에만 활성화된다. 전기 접점이 없는 일반 어댑터를 사용할 경우, 초점 거리 입력 외 보정 기능은 비활성화돼 사용할 수 없다. |
|
|
|
보정 항목에서는 우선 사용하려는 렌즈의 초점 거리를 입력할 수 있다. 초점 거리 메뉴에는 기본적으로 21~75mm 초점 거리가 할당돼 있으며, 초점 거리 설정 메뉴를 통해 임의의 초점 거리를 지정할 수도 있다. 초점 거리를 지정하면 후지필름 X-Pro1의 하이브리드 뷰 파인더에 해당 초점 거리만큼의 시야가 녹색으로 표시된다. |
|
|
|
|
초점 거리 설정 후에는 왜곡수차 보정 / 색수차 보정 / 주변부 광량 보정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왜곡수차 보정의 경우 광각 / 망원 초점 거리에서 나타나기 쉬운 배럴 디스토션 / 핀쿠션 디스토션에 대해 3단계로 보정을 가할 수 있다. 색수차 보정은 하이라이브와 피사체 경계면에 나타나는 수차를 보정해준다. 주변부 광량 보정은 이미지 외곽 비네팅을 보정해주며, 설정을 -로 두면 임의로 비네팅을 만들 수도 있다. |
|
|
|
주변부 광량 보정 -5 |
일반 |
주변부 광량 보정 +5 |
|
|
후지필름 X-Pro1에 M 마운트 어댑터 장착 후 라이카 Summicron 35mm F2 렌즈를 장착한 모습이다. 라이카 M / 보이그랜더 VM 렌즈 가운데 침동 구조가 깊거나 접안 렌즈부에 구조물이 장착된 렌즈는 이 어댑터에 장착할 수 없다. |
|
|
|
후지필름 X-Pro1에 라이카 Summilux 50mm F1.4 ASPH를 마운트한 모습이다. 후지필름 X-Pro1은 APS 타입 이미지 센서를 장착했다. 따라서 35mm 렌즈를 사용할 경우 약 52mm, 50mm 렌즈를 사용할 경우 약 75mm 가량의 35mm 환산 시야를 나타내게 된다. |
|
|
|
|
후지필름 M 마운트 어댑터의 구성품에는 렌즈 체커가 포함됐다. 사용하고자 하는 렌즈의 뒷면 내경이 렌즈 체커보다 굵으면 사용할 수 없으며, 렌즈 체커보다 얇으면 마운트 가능하다. 후지필름에서 공식적으로 밝힌 사용 불가능 렌즈 목록은 아래와 같다.
라이카 |
보이그랜더 |
칼 자이스 |
Super Angulon 21mm F3.4 Summilux 35mm F1.4 1세대 |
Ultron 28mm F2 |
C Biogon T* 35mm F2.8 ZM |
|
<샘플 이미지는 후지필름 X-Pro1과 라이카 Summicron 35mm F2 / Summilux 50mm F1.4 ASPH로 촬영>
|
|
|
일반 |
확대 |
후지필름 X-Pro1은 M 마운트 어댑터 사용 시 MF 조작을 돕는 화면 확대 기능을 제공한다. 화면 확대 기능은 AF 스위치를 M으로 설정한 후, 커맨드 다이얼을 누르면 활성화할 수 있다.
|
후지필름 X-Pro1의 화질은 많은 사용자들에게 인정받은 바 있다. 포커스만 정확하다면, 후지필름 X-Pro1과 M 마운트 어댑터의 조합은 라이카 / 보이그랜더 렌즈의 최대 해상력을 끌어낼 수 있다. |
|
|
|
아름다운 배경흐림 역시 대구경 수동 렌즈를 사용하는 묘미다. RF 렌즈들은 특성상 최소 초점 거리가 50cm 이상으로 멀지만, 스냅 촬영에 문제가 될 정도는 아니다. |
|
수동 렌즈와 후지필름 X-Pro1의 필름 시뮬레이션과의 궁합은 매우 좋다. 필름 시뮬레이션 자체가 후지필름의 은염 필름 발색을 재현한 것이니만큼, 사용자들은 X-Pro1과 M 마운트 어댑터를 통해 필름을 사용하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
|
|
|
|
|
|
|
후지필름 M 마운트 어댑터는 라이카 M 시리즈 사용자에게 특히 매력적인 제품이다. RF 카메라의 명 렌즈들을 최신 디지털 카메라로 즐길 수 있게 해 주기 때문이다. 후지필름 X-Pro1은 해상력, 고감도 노이즈 억제력 면에서 우수하며 동영상 촬영 기능까지 지니고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RF 카메라와는 또 다른 결과물과 편의성을 보여주는 카메라가 바로 X-Pro1이다.
|
단, 이 제품을 사용할 때 반드시 렌즈 호환 여부를 파악해야 한다. 일부 렌즈는 후지필름 M 마운트 어댑터에 아예 장착이 불가능하며, 장착할 수 있더라도 침동 부분이 이미지 센서 및 셔터부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후지필름 M 마운트 어댑터로 사용할 수 있는 렌즈의 목록은 후지필름 홈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어댑터 가격은 다소 높지만, 전용 버튼의 유무와 만듦새를 고려하면 납득할 만한 수준이다.
|
라이카 M 마운트 사용자들에게 후지필름 X-Pro1과 M 마운트 어댑터는 반가운 소식이 될 것이다. 기존 후지필름 X-Pro1 사용자들도 이 제품을 구입해 보이그랜더, 라이카 렌즈를 사용한다면 또 다른 촬영의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
|
차주경 기자 reinerre@i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