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LAXY GEFORCE GTX 770 HALL OF FAME 2GB GDDR5 REVIEW
제품 소개 (Intro)
▲ GALAXY(은하계)의 모습. 푸른 별 지구가 속한 태양계. 그리고 태양계와 같은 항성계가 모여 은하계를 이룬다.
연구소? GALAXY
GALAXY는 1994년에 설립된 PC 기반 하드웨어 제조사로서 전 세계의 다양한 제품들을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주문자 생산 방식)방식으로 생산하는 회사이다. 홍콩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제조 공장의 생산 라인이나 품질 검수 과정이 탄탄하여 이미 PC 하드웨어 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자사 고유의 브랜드를 걸고 출시되는 제품으로는 NVIDIA 지포스 그래픽 카드가 대표적이며 레퍼런스에 기반한 제품 외에도 GALAXY의 독자적인 설계와 기술력으로 탄생된 재미있고 개성있는 제품이 많아 VGA계의 연구소라 불릴만한 자격을 갖추고 있다. (과거 쿨엔조이 리뷰에서 다룬 바 있는 GALAXY GTX 570 MDT X4 의 경우 당시 지포스가 지원하지 않았던 단일 그래픽 카드 4 디스플레이 출력을 가능하게 만들었으며 오늘 소개할 제품 역시 일반적인 그래픽 카드와는 달리 범상치 않은 특징을 가지고 있어 연구소의 냄새를 짙게 풍긴다.)
이와 관련하여 얼마전 쿨엔조이 공식 스폰서로 입성하게된 갤럭시 코리아는 사실 2년만의 쿨엔조이 스폰서 컴백이라 더 반가운 느낌이다. 최근 고객센터 이전과 함께 국내 고객에게 더욱 더 다가가고 소통하고자 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는 바 컴백 기념으로 쿨엔조이 사무실에 레어중의 초 레어 제품이 도착 하였다.
그 녀석은 바로...
GALAXY GEFORCE GTX 770 HALL OF FAME 2GB GDDR5
본 제품은 외형부터 남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PCB 색상이 화이트로 제작되어 이미 타 제조사의 제품들과는 격을 달리하는 개성을 갖추고 있다. 3D 성능의 경우 수많은 GTX 770 제품중 가장 높은 팩토리 오버클럭이 적용 되어 GK104 GPU의 극한까지 성능을 끌어올렸는데 갤럭시 코리아의 정보에 의하면 GTX 770 GPU 중에서도 오버 클럭 잠재력이 높은 고품질의 GPU 만을 선별하는 과정을 통해 전세계 한정 수량으로 출시가 되었다고 한다. 즉 모델명에 포함된 Hall Of Fame(HOF, 명예의 전당) 이 전혀 허세가 아니라는 이야기.
그 외 화이트 PCB 와 완벽한 깔맞춤을 위한 화이트 트리플 팬 쿨러와 측면 LED 점등 구성, 강화된 PCB 컴퍼넌트 등 GTX 770 의 제왕이 되기 위한 다양한 부가 요소로 무장하고 있어 튜닝과 성능을 동시에 원하는 유저들에게는 정말 군침돌 수 밖에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리뷰 진행 방향 및 테스트 세부 내용
본 리뷰에서는 팩토리 오버클럭이 적용된 기본 성능과 최대 오버클럭을 모두 테스트 후 결과값을 도출했으며, 기존 하이엔드급 그래픽 카드인 GTX 780 모델을 포함하여 다양한 GK104 기반의 그래픽 카드를 대조군으로 포함하였다. 가장 큰 관심사는 놀라운 수준의 팩토리 오버클럭이 적용된만큼 레퍼런스 GTX 770 과의 성능 차이 와 추가 오버클럭 잠재력은 어느정도인지 등이 있을 것이다. 테스트 세부 내용은 아래 박스를 참고하도록 하자.
1. 3DMark Fire Strike v1.1.0 - Default Preset.
|
제품 사양 (Specifications)
|
|
제품명 |
GALAXY GeForce GTX 770 Hall of Fame 2GB GDDR5 |
GPU 칩셋 |
NVIDIA GeForce GTX 770 (28 nm, GK104-425-A2) |
베이스 클럭 |
1,202 MHz (14.9% O.C/ Reference Clock: 1,046 MHz) |
부스트 클럭 |
1,254 MHz (15.6% O.C/ Reference Clock: 1,085 MHz) |
메모리 클럭 |
7,010 MHz (Reference Clock: 7,010 MHz) |
PCB 색상 |
화이트 (유광) |
보조 전원 단자 |
8+8 핀 (Reference Design: 8+8 핀) |
출력 포트 |
DisplayPort, 3x Mini HDMI, 총 4개의 포트 구성 |
쿨링 시스템 |
|
제품 주요 특징 |
|
크기 |
PCB: 264 mm, 쿨러 포함: 285 mm /2 슬롯 점유 |
TDP |
230 W 이상 |
문의 |
|
가격 |
485,450 원 (2014.02.17 기준, 다나와 최저가) |
스펙을 살펴보면 최대 부스트 클럭이 레퍼런스 대비 15.6% 향상된 1,254 MHz 의 클럭을 가지고 있다. 백분위 수치만 따지면 크게 높은 수치로 느껴지지 않을 수 있으나 GTX 770 칩셋의 태생적인 특징이 GTX 680 과 동일 스펙에서 코어 클럭/ 메모리 클럭만 끌어올린 것이기 때문에 평균적인 오버클럭 잠재력이 타 칩셋의 그래픽 카드 보다 낮은 편이다. 따라서 15.6% 라는 수치는 매우 높은 수치라고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현재 국내에서 유통 중인 GTX 770 그래픽 카드중에서는 가장 높은 성능이다.
그 외 PCB 와 쿨링 시스템은 유일무이한 색상인 화이트를 채용하고 있으며, 트리플 팬의 쿨러와 강화된 전원부는 레퍼런스 쿨러 대비 소음, 발열 해소는 물론 안정적인 부스트 클럭을 유지하는데 보다 유리한 면모를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다. 기본적인 내용은 여기까지 살펴보도록 하고 다음 페이지에서 제품 외형을 감상해보도록 하자.
패키지 [Package]
패키지 디자인은 제품의 특성을 그대로 고백하듯 순백의 하얀 패키지로 디자인되어 있다. 중앙부에는 명예의 전당을 형상화한 이미지와 텍스트로 장식하고 있으며 그 외 별다른 이미지를 가미하지 않고 깔끔한 느낌으로 완성. 또한 NVIDIA 지포스 600 시리즈부터 적용된 고유의 레퍼런스 패키지 디자인은 역시나 빠지지 않고 등장.
명예의 전당을 형상화한 엠블럼과 로고.
NVIDIA GeForce GTX 770 칩셋을 탑재하고 있다.
2 GB 의 비디오 메모리와 원활한 공기 배출을 위한 브라켓, 트리플 팬으로 구성된 커스텀 쿨링 시스템, 3+1 디스플레이 구성 가능, 팩토리 오버클럭 적용 등의 특징을 내세우고 있다.
패키지 뒷 면을 살펴보도록 하자.
뒷 면 역시 고급형 제품의 면모를 보여주는 특징들을 분류하여 어필하고 있다.
패키지를 개봉해보도록 하자.
정전기 방지 비닐로 감싸진 그래픽 카드는 노란색 스티커 형태의 봉인씰이 부착되어 있다.
게임중이니 방해하지 말라는 메시지의 문고리 장식을 제공한다. 타 제조사 그래픽 카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어디까지나 재미 요소의 아이템으로 그다지 실용적으로 느껴지진 않는다.
Hall Of Fame(명예의 전당)을 상징하는 종이 HOF 맨을 제작할 수 있다. 대부분 만들지 않고 원형 그대로 보존 하는 유저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유저 매뉴얼, 퀵 설치 가이드, 드라이버 설치 디스크 등을 제공.
퀵 설치 가이드는 큼지막한 이미지가 곁들여져 손쉬운 이해가 가능하다. 언어는 영문.
유저 매뉴얼 역시 영문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한국어는 지원되지 않는다.
GALAXY GTX 770 HOF 는 DVI 포트 없이 Mini HDMI x3, DP 구성의 출력 포트만 제공하기 때문에 관련된 젠더를 모두 제공하고 있다. 위 사진은 Mini HDMI to HDMI 젠더.
DVI to HDMI 젠더. 젠더 2개를 결합하여 DVI 입력 포트만 존재하는 모니터에 연결할 수 있다.
바로 이렇게~
8핀의 보조 전원 젠더 케이블 역시 2개를 제공한다. (GALAXY GTX 770 HOF 보조 전원 단자 구성은 8+8핀)
쿨링 팬 중앙부는 투명 필름이 부착되어 보호받고 있다.
패키지 전체 구성품 사진.
외형 [Exterior]
GALAXY GeForce GTX 770 Hall Of Fame 모델을 더욱 특별하게 만들어주는 것이 바로 제품의 외형이다. 비록 PC 본체 안에 위치하는 그래픽 카드이지만 최근 측면 아크릴 튜닝 케이스 유저가 증가함에 따라 그래픽 카드의 디자인적인 미학 역시 구매 요소로써 적지 않은 영향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가치가 있다.
화이트 PCB 와 화이트 색상의 쿨러는 제 몸에 맞는 옷을 입은듯 훌륭한 조화력과 완성도를 보여주며 측면은 금속성의 마감을 덧대어 고급스러움을 증폭시키고 있다.
2 슬롯을 차지하는 부피와 280 mm 에 달하는 그래픽 카드 길이는 PCB Layout 에 꼭 맞추어 제작되어 높은 완성도를 보여준다.
출력 포트는 Mini HDMI x3, DisplayPort x1 총 4개로 구성되어 있다. DVI 포트를 지원하지 않아 단점으로 지적될 수 있지만 DVI 케이블 구성으로도 무리가 없도록 젠더를 제공하기 때문에 가까스로 만회하고 있다.
DVI 출력 포트를 지원하지 않는 까닭은 PCB 와 결합되는 히트싱크의 설계 부문에서 쿨링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부피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패키지에서 공기 흐름을 극대화 하기 위해 브라켓의 에어홀 을 넓게 구성했다는 특징은 막상 제품을 살펴보면 에어홀 부근에 가이드가 위치하고 있어 의미가 퇴색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측면 디자인은 금속 커버를 덧대어 멋을 더하고 중앙부에 GeForce GTX 700 Series 로고를 새겨넣었다. 또한 측면 전체에 LED 가 점등되도록 설계되어 튜닝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LED 로고 동영상은 제품 특징 페이지에서 살펴볼 수 있다.
보조 전원 단자는 8+8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레퍼런스의 경우 8+6핀)
GeForce GTX 700 Series 로고 보다는 GALAXY 와 HOF 를 내세우는게 더 멋지지 않았을까?
SLI 골드 핑거는 두개를 지원하고 있다. 구조적으로 최대 4-Way SLI 까지 지원이 가능하지만, NVIDIA 공식적으로는 최대 3-Way SLI 로 규정하고 있다.
하단부 측면 역시 금속성 커버가 부착되어 있다.
그래픽 카드 뒷면을 살펴보도록 하자. 별도의 백플레이트는 탑재되어 있지 않지만 화이트 PCB 자체가 이미 유일무이한 매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유의 멋을 가지고 있어 백플레이트가 크게 아쉽지 않다. (개인적인 의견)
이하 사진에서 다양한 각도의 사진을 통해 제품의 외형을 감상해보도록 하자.
이상으로 GALAXY GeForce GTX 770 Hall Of Fame 외형을 모두 살펴보았다. 필자 개인적인 느낌은 어두운 톤과 검정색 PCB 가 주를 이루는 그래픽 카드 제품 특성상 순백의 외형은 그 자체만으로도 특별하게 느껴졌으며, 커스텀 PCB 와 쿨링 시스템은 완벽한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평가하고 싶다. 또한, 측면의 디자인적 요소도 놓치지 않고 신경쓴 모습이 인상적. 다만, 앞서 언급한 것처럼 평범한 타이틀 보다는 GALAXY 와 HOF 등의 텍스트를 활용하여 꾸미는 것이 제품 고유의 개성을 살리는데 더 적합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쿨링 솔루션 [Cooling Solution]
쿨링 시스템을 살펴보도록 하자.
발열이 가장 심한 부품중 하나인 전원부 모스펫에는 별도의 히트싱크가 부착되어 있다. 껌딱지 역시 섭하지 않게 잘 붙어있다.
쉽게 찾아볼 수 없는 메모리 전용 히트싱크도 부착되어 있다.
거대한 트리플 팬 쿨링 시스템.
히트싱크의 경우 히트파이프 결합 형태가 수직 형태로 설계되어 있다. 비슷한 트리플 팬 쿨러들의 경우 히트 싱크 면적을 극대화하기 위해 수평 형태로 배열된 것과는 구조적으로 차이를 보이고 있다.
GALAXY GTX 770 HOF 제품의 특성상 외형적 완성도를 높히기 위해 히트 파이프가 돌출되지 않고 쿨러 가이드 안에 모두 들어가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이러한 수직 형태의 히트 파이프 결합 방식은 히트싱크 면적의 축소를 더욱 더 심화시켜 제품 스케일에 비해서는 왜소한 느낌이 강하다. (실질적인 쿨링 능력은 쿨링 페이지에서 확인해보도록 하자.)
90 mm 쿨링 팬은 전체적인 컬러 컨셉과 동일한 화이트 색상의 블레이드가 탑재되어 있다.
APISTEK 의 GA92O2U 모델 넘버를 가지고 있다.
니켈 도금 처리된 6 mm 히트 파이프는 총 5개가 탑재되어 있다.
히트 파이프와 방열핀의 고정 방식은 접합식으로 제작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 접합식 : 히트파이프에 방열핀을 끼워 넣은 다음, 작은 구멍으로 접합 물질을 흘러 보내 완전히 접합하는 방식으로 하나하나 접합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높으며 좋은 기술을 보유한 제조사가 제작 한다면 높은 열전도율을 보장해주는 방식
* 접합되어 있는 히트파이프 옆에 별도의 구멍이 뚫려 있으며, 알루미늄 방열판은 니켈 도금 처리 되어 있는 것이 특징, 니켈 도금처리의 경우 구리 히트파이프와 알루미늄 방열판을 접합을 위한 처리 이다. 구리 방열핀은 별도의 니켈도금을 하지 않아도 접합이 가능하다.
2. 관통(압입)식 : 히트파이프보다 작은 외형(구멍)을 가진 방열핀을 히트파이프에 넣어 방열핀과 히트 파이프가 매우 밀착하게 만든 방식으로, 제조단가가 저렴한편이다. 어느 정도 기술을 가진 제조사라면 관통(압입)식이라고 해도 접합식과 견줄 만한 성능을 보장하기도 한다.
* 방열핀을 힘으로 잡아 당기면 방열핀이 빠질 수도 있으며, 잦은 장착 탈착으로 히트파이프와 방열핀이 헐거워 질 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
PCB Layout
PCB Layout 을 살펴보도록 하자.
어두운 색상의 PCB 와는 전체적인 느낌이 확실히 대조적이다.
GeForce GTX 770 의 스펙은 1세대 케플러 아키텍쳐 GK104 코어의 특징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1,536 개의 CUDA Cores, 32 ROPs, 128 TMUs, 256 bit 메모리 인터페이스와 2 GB 메모리 용량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바이오스상 기본 코어 전압이 기존 GTX 680 의 1.175V 에서 1.2V 로 상향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높은 코어 클럭을 바라볼 수 있으며, 메모리 대역폭을 끌어올리기 위한 목적으로 메모리 클럭 역시 GTX 680 에서 바라보기 힘든 수준의 스펙을 가지고 있다.
메모리는 삼성 제품으로, 256 MB 모듈 8 개가 탑재되어 총 2 GB 의 메모리 용량을 가지고 있다.
전원부를 정면으로 바라보았을때의 모습.
가지런히 정렬된 8+2 페이즈의 전원부는 GALAXY 고유의 설계로 재탄생되었다.
GPU 전류 공급을 담당하는 전원부는 페라이트 초크 코일과 솔리드 스테이트 캐패시터, DirectFET 등으로 구성 되어 있다.
일본 케미콘사의 F 시리즈 캐패시터 탑재.
IR 사의 DirectFET 이 탑재되어 있다. 드라이버 IC 를 내장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주변부에 페이즈 별로 드라이버 IC 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 전원부는 P-Pak (Low RDS(on) 모스펫으로도 불리운다) 타입의 탑재되어 있으며 POSCAP 도 탑재.
PCB 후면에는 NEC/ TOKIN 사의 프로들라이저 필름 캐패시터(Proadlizer Film Capacitor )가 탑재되어 있다. 해당 캐패시터는 전력 노이즈 최소화, 낮은 ESL/ESR, 높은 스위칭 주파수 등의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로들라이저 캐패시터(Proadlizer Capacitor)는 NEC/ TOKIN 사의 고유한 모델 명칭으로서 Prompt : 신속한 + Broadband : 광대역 + Stablilizer: 안정기 단어의 조합어로 탄생 되었다. Giga Hz 대역까지 넓은 주파수 대역 에서 노이즈를 흡수하는 것과 동시에 신속하게 전류를 공급하여 안정화를 시키는 장치이다.
내용 출처 및 참고 : http://www.nec-tokin.co.kr/index.html
일반적으로 탄탈륨 캐패시터로 불리우는 POSCAP (Tantalum-Polymer Solid Capacitors)
CHiL 사의 디지털 PWM 컨트롤러가 탑재되어 있다.
깨알같은 Hall Of Fame 엠블럼.
★ GALAXY Hall of Fame 주요 특징
* HOF V2 모델의 경우 코어클럭을 제외하고 HOF 와 동일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GTX 770 의 한계까지 끌어올린 성능
GTX 770 의 스펙은 사실 GTX 680 과 크게 다르지 않다. 태생은 GTX 680 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CUDA 코어/ ROPs/ TMUs 유닛 개수가 동일하기 때문에 쉽게 말하면 클럭 차이가 전부라고도 할 수 있기 때문. 그러나 메모리 클럭의 경우 GTX 680 이 6,008 MHz 수치를 가지고 있는 것과 달리 GTX 770 은 7,010 MHz 의 클럭으로 작동하고 있어 결과적으로 메모리 대역폭은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모델명은 완전히 다르지만 동일한 코어에 클럭 차이로 모델을 구분짓는 행태는 과거에도 유사한 경우가 존재한다. (G92 코어의 NEW 8800 GTS 512 와 9800 GTX 역시 동일한 맥락으로 설명이 가능하며 9800 GTX+, GTS 250 까지 이어지며 희대의 사골 족보로 취급되기도 한다.)
그러나 어찌됐든 7,010 MHz 라는 클럭은 레퍼런스 GTX 680 에서 오버클럭을 통해 쉽게 달성할 수 없는 클럭이기 때문에 성능적인 부문에서 분명 양 그래픽 카드의 가치는 차별성은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코어 클럭의 경우 1,006 MHz -> 1,046 MHz 로 40 MHz 차이밖에 나지 않아 GTX 680 의 오버클럭으로도 얼마든지 따라잡을 수 있는 수준이라는 것이 GTX 770 의 가치를 설명함에 있어 메리트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최고이기 이전에 유일무이한 존재.
필자가 이렇게 장황한 설명을 앞서서 밝히는 이유는 바로 GALAXY GTX 770 HOF 의 설정된 클럭 수치가 가히 놀라운 수준이기 때문이다. 본 리뷰의 도입부에서도 간략하게 언급한 부분이지만 1,202 MHz 의 기본 코어 클럭은 GTX 680 은 물론 GTX 770 에서도 쉽게 달성하기 힘든 수치이다. 실제로 그간 진행했던 다양한 GTX 770 리뷰에서도 GALAXY GTX 770 HOF 의 기본 클럭에 해당하는 수준의 오버클럭 & 안정화는 불가능한 경우가 더 많았다. 또한 테스트 결과 안정적인 쿨링 능력에 힘입어 실제 적용되는 부스트 클럭의 경우 무려 1,320 MHz 에 달하며 레퍼런스와 달리 클럭 출렁임이 없기 때문에 GTX 770 중에서는 단연 최강으로 불릴만 한 면모를 갖추고 있다. 명예의 전당 (Hall Of Fame) 이라는 다소 오글거리는 수식어에 고개가 끄덕거려진다.
한가지 아쉬운 점을 꼽자면 분명 최강의 클럭이지만 GTX 770 레퍼런스 보드 역시 GK104 GPU 를 최대한 클럭을 끌어올려 성능을 높힌 제품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GALAXY GTX 770 이 최강의 클럭을 가지고 있다한들 비율로써 접근하면 실질적으로 큰 성능 차이는 아니라는 것. 고사양 게임에서 10% 이상의 성능 차이를 보여주기도 하지만 체감 성능 관점에서 유저에 따라서는 차이를 느끼기 힘들 수도 있는 수준이다.
항상 그렇지만 감성적인 관점에서 어필하는 것이 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PC 기반 하드웨어에서 전통적인 PCB 색상은 초록색이다. 그러나 각 제조사에서 고유의 개성을 어필하고자 하는 의지와 성능을 넘어 디자인적인 요소까지 고려하게된 유저들의 눈높이가 맞물리면서 최근에는 다양한 PCB 색상으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래픽 카드의 경우 깔끔하고 중후한 검정색이 가장 무난하면서도 높은 지지를 받고 있으며, 그 외 청색, 청록색, 빨간색 등의 색상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GALAXY GTX 770 은 타 제조사에는 찾아볼 수 없는 백색이라는 유일무이한 고유의 컬러로 제작되어 희귀성과 압도적인 개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래픽 카드의 디자인적 요소에서 최근 유저들의 관심사가 높아져가고 있는 측면 디자인(일명 옆간지)은 LED 점등 효과와 금속성 커버를 곁들여 멋을 더하고 있다. NVIDIA GeForce GTX TITAN, GTX 780 Ti, GTX 780 레퍼런스 디자인에서 선보인 녹색의 GEFORCE GTX 로고만큼 강렬한 느낌은 아니지만 전체적인 조화면에서 높은 점수를 줄 수 있겠다. 그러나 중앙부의 타이틀 크기가 다소 작은 감이 있고 평범한 느낌의 GeForce GTX 700 Series 문구 보다는 GALAXY 와 HOF 를 내세우는 것이 더 멋지지 않을까 하는 개인적인 아쉬움도 있다.
▲ GALAXY GeForce GTX 770 Hall Of Fame LED 작동 영상 촬영
그 밖에...
특히 그래픽 카드에 높은 관심을 두고 있는 유저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성능도 최강이지만 무엇보다예쁘다를 연발하며 디자인에 높은 점수를 주는 분위기다. 필자 역시 순백의 PCB 와 순백의 트리플 팬 쿨러의 조화에 감탄사를 뱉을 수 밖에 없었다. 비록 백플레이트는 탑재되어 있지 않지만 유니크한 수백의 PCB 색상이 그 이상을 대신하고 있지는 않나 생각해본다. 그만큼 디자인에서만큼은 독보적인 특별함을 갖춘 그래픽 카드로 정의할 수 있을 것.
Coolenjoy Benchmark System Setup
테스트 시스템 사양은 위 표와 같으며 각 주요 부품별 설명은 하단의 내용을 참조하도록 하자.
CPU : INTEL(R) Core(TM) i7-4770K
인텔 코어 i7-4770K 는 하스웰 아키텍쳐 기반의 CPU 로 4 코어 8 쓰레드와 기본 클럭 3.5 GHz, 터보 클럭 3.9 GHz 동작 속도를 자랑한다. 현재 데스크탑 CPU 모델중에서는 최상급 단일 코어 성능을 보여준다.
그래픽 카드 테스트의 경우 CPU 성능 한계로 인한 프레임 제한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4.4 GHz 의 클럭스피드로 오버클럭을 적용하였으며 세부 사항은 위 CPU-Z 스크린샷 이미지를 참조하도록 하자.
CPU Cooler : NZXT KRAKEN X60
NZXT KRAKEN X60 은 일체형 2열 라디 수랭 쿨러이며, 140 mm 쿨링 팬 최대 4개 장착이 가능하다.
Mainboard : ASUS MAXIMUS VI EXTREME STCOM
ASUS MAXIMUS VI EXTREME STCOM.
(주)에스티컴퓨터 (STCOM) 에서 국내 유통을 담당하고 있다. ATX 폼팩터와 고품질의 컴퍼넌트 및 오버클럭의 강력한 지원 사격을 위해 화려한 기능들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ROG 특유의 검빨 간지 역시 건재함을 자랑한다.EXI
R re Series DDR3-2800 MHz 4 GB x 2 (11-14-14-35-1T)
시스템 메모리는 AVEXIR Core Series DDR3-2800 MHz 가 사용 되었으며, 4 GB 2 개를 장착하여 8 GB 용량으로 구성 하였다. 최근 디자인과 LED 튜닝 효과로 높은 인기를 끄는 제품.
SSD : Plextor M5 Pro (512 GB)
Plextor M5 Pro 512 GB SSD 는 Marvell 88SS9187 컨트롤러 기반의 읽기 540MB/s & 쓰기 470MB/s 속도와 랜덤4K 읽기 100,000 IOPS / 랜덤4K 쓰기 88,000 IOPS 스펙으로 구성되어 현재 유통중인 SSD 제품중 수준 높은 성능을 보여주는 제품이다.
PSU : Enermax MaxRevo EMR1500EGT
Enermax MaxRevo EMR 1500EGT 파워서플라이는 80PLUS GOLD 인증을 받은제품으로 220V 기준시 최대 94% 효율의 고성능을 보여주는 제품이다. +12v Six-Rail 구성으로 단일 100% 출력을 통하여 1500W를 사용할 수 있으며, 4-Way SLI & CFX 구성도 문제가 없다. 또한, 풀 모듈러 커넥터 연결방식과 FMQ Design, Copper-Brige Array 설계가 적용 되어 최상의 성능을 보여주는 제품.
O/S Services
테스트시 활성화된 윈도우7 서비스 목록은 위 이미지를 참조하도록 하자.
C.X.O.T Overclocking
Unigine Heaven v4.0: 1920x1080 8xMSAA 풀옵션 30분 연속 렌더링. |
안정화 테스트를 거쳐 실사용이 가능한 클럭은 아래 이미지에서 확인을 하도록 하자.
* MSI Afterburner 3.0.0 Beta 18
오버클럭에 사용된 소프트웨어는 VGA 오버클러킹 유틸리티로 널리 알려져있는 MSI Afterburner 3.0.0 Beta 18 버전을 사용하였으며, 코어 클럭의 경우 이미 기본 클럭도 엄청나게 높은 수치가 적용되어 있는 만큼 추가적인 오프셋 클럭이 +20 MHz 수준에 그쳤다. 결과적으로 1,222 MHz 의 베이스 클럭을 갖추게 되었으며 해당 수치는 레퍼런스의 1,046 MHz 클럭 대비 약 16.8% 높은 클럭이다.
메모리 클럭은 Samsung 모듈로 확인 되었으며 +300 MHz (+600 MHz) 오프셋 클럭을 통해 7,010 MHz (레퍼런스 클럭과 동일) -> 7,610 MHz 로 약 8.6% 높은 클럭을 달성할 수 있었다.
* GPU-Z 0.7.7
▲ GPU-Z 0.7.7 캡처 이미지 (좌: NVIDIA GeForce GTX 770 레퍼런스, 우: GALAXY GeForce GTX 770 HOF)
▲ GPU-Z 0.7.7 캡처 이미지 (좌: GALAXY GTX 770 HOF 기본 클럭, 우: GALAXY GTX 770 HOF 최대 오버클럭)
|
▲ NVIDIA GeForce GTX 770 레퍼런스 부스트 클럭: 1,110 ~ 1,124 ~ 1,137 ~ 1,150 MHz 구간에서 유동성▲ GALAXY GeForce GTX 770 Hall Of Fame 기본 모드시 부스트 클럭: 1,320 MHz 고정
▲ GALAXY GeForce GTX 770 Hall Of Fame 최대 오버클럭시 부스트 클럭: 1,346 MHz 고정
2. GALAXY GeForce GTX 770 HOF 기본클럭
3. GALAXY GeForce GTX 770 HOF 최대 오버클럭
|
3DMark Fire Strike v1.1.0 - Default Preset
▲ 3DMark Fire Strike v1.1.0 벤치마크 상세 옵션
3DMark Fire Strike 테스트 결과 3D 성능을 대변하는 그래픽 스코어는 8,688 점을 기록하며 레퍼런스 GTX 770 대비 약 11%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최대 오버클럭시에는 9,000 점을 상회하는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으나 GTX 780 에는 미치지 못하는 점수를 기록 하였다. 이와 같은 양상은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 유사하게 나타날 것 으로 예상되지만 GTX 780 의 경우 풀로드시 레퍼런스 제품의 특징인 클럭 다운 현상과, 갤럭시 GTX 770 의 매우 높은 클럭으로 GTX 780 에 가까운 성능을 내어주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을거라 기대해본다. |
3DMark 11 v1.0.5 - Performance Preset
▲ 3DMark 11 v1.0.5 벤치마크 상세 옵션
3DMark 11 테스트 결과 Fire Stirke 대비 갤럭시 GTX 770 의 성능이 조금 더 두드러지게 되는효과가 있다. 그도 그럴것이 저해상도(1280x720) 기반의 퍼포먼스 프리셋과 렌더링 이미지 성격상 최신의 그래픽 카드에서 메모리 대역폭 영향이 상대적으로 덜하고 코어 자체의 성능이 점수에 끼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갤럭시 GTX 770 은 12,352 점이라는 GTX 770 에서 나오기 힘든 점수를 기록 하였으며 이는 레퍼런스 대비 13.6% 높은 것을 의미한다. 최대 오버클럭시에는 GTX 780 과 단 100점 밖에 차이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며, 향 후 이어질 게임 테스트에서도 GTX 780 수준으로 치닫을 수 있는 가능성을 살짝 엿보여주고 있다. |
Unigine Heaven Benchmark 4.0
▲ UNiGiNE Heaven Benchmark 4.0 상세 옵션
다이렉트X11 렌더링 성능과 테셀레이션 성능을 알아볼 수 있는 UNiGiNE HEAVEN 벤치마크.
풀옵션 적용시 전통적으로 NVIDIA 지포스 그래픽 카드가 강세를 보이는 벤치마크 툴이며 테셀레이션 강도와 x8 배속의 안티앨리어싱 적용 등 메모리 대역폭이 높고 코어 유닛 개수가 많은 그래픽 카드가 좋은 성능을 기록해주는 툴이기도 하다.
결과 역시 이러한 특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비록 갤럭시 GTX 770 이 오버클럭이 많이 되어 있다고는 하나 최대 오버클럭시 GTX 780 과는 성능적인 벽이 분명 존재하는 수준으로 차이를 가지게 되는 것. |
Unigine Valley Benchmark 1.0
▲ UNiGiNE Valley Benchmark 1.0 상세 옵션
UNiGiNE VALLEY 는 HEAVEN 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UNiGiNE 사에서 제작한 벤치마크 프로그램이지만 렌더링에서 요구되는 성능적 특성이 조금 다르게 나타나는 프로그램이다.
결과를 살펴보면 HEAVEN 의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이다. 갤럭시 GTX 770 은 레퍼런스 대비 GTX 770 대비 높은 성능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그 성능 차이는 크지 않으며 GTX 780에 미치지 못한다. |
BATMAN: ARKHAM ORIGINS DX11
▲ 배트맨: 아캄 오리진 - 벤치마크 옵션
▲ 배트맨: 아캄 오리진 - 벤치마크 구간 동영상
대표적인 NVIDIA 최적화 게임인 배트맨: 아캄 오리진의 테스트 결과.
예상했겟지만 NVIDIA 지포스 그래픽 카드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드디어 최대 오버클럭시 GTX 780 에 근접하는 성능을 보여주었으나 동급의 성능이라고 말하기엔 살짝 부족하다.
그 외 별다른 특이사항은 없다. |
BIOSHOCK: INFINITE DX11
▲ 바이오쇼크: 인피니트 - 벤치마크 옵션
▲ 바이오쇼크: 인피니트 - 벤치마크 구간 동영상
바이오쇼크: 인피니트는 게임 자체적으로 벤치마크툴을 내장하고 있다.
ULTRA DX11+DDOF 로 명명된 최대 품질상에서의 성능은 과거부터 NVIDIA 지포스 그래픽 카드가 강세를 보여왔다. 본 테스트 역시 R9 280X 가 GTX 760 ~ GTX 680 사이에 위치할 정도로 AMD 가힘을 쓰지 못하는 것으로 기록 하였다.
갤럭시 GTX 770 HOF 의 기본 성능은 GTX 770 ~ GTX 780 사이에서 GTX 780 에 살짝 더 가까운 수준으로 측정되었으며 최대 오버클럭시 거의 비슷한 성능까지 따라잡게 된다.
|
CALL OF DUTY: GHOSTS DX11
▲ 콜 오브 듀티: 고스트 - 벤치마크 옵션
▲ 콜 오브 듀티: 고스트 - 벤치마크 구간 동영상
콜 오브 듀티 시리즈의 최신작 고스트는 NVIDIA 에서 대대적으로 그래픽 품질 관련 기술 홍보를 겸하고 있는 타이틀로 역시나 NVIDIA 제품에서 비교적 강세를 띄는 게임이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옵션에 따라 그 양상은 조금씩 다르며, 풀 옵션 + 4xMSAA 상황에서 NVIDIA 가 더욱 강세를 띄게 된다.
테스트시 설정된 옵션은 기본적으로 품질 관련 옵션을 모두 최상으로 설정하였으나 NVIDIA에 특화된 옵션인 Dynamic Fur 항목은 비활성화 하였으며 Anti-Aliasing 방식 역시 화질대비 퍼포먼스가 우수한 SMAA 옵션을 적용하였다.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바이오쇼크: 인피니트와 같이 GTX 770 ~ GTX 780 사이의 성능에서 GTX 780 에 조금 더 가까운 모습으로 측정되었다.
* 이론적으로 MSAA 방식이 텍스처 표면의 품질 저하를 최소화 하면서도 계단 현상을 줄여준다는 장점이 있지만, Z값이 없는 알파 채널의 투명 텍스처 계단 현상에 대해서는 속수 무책이라는 단점이 있다. SMAA, FXAA 와 같은 후처리 방식의 Anti-Aliasing 방식은 텍스처 선명도나 화질 저하를 일으킬 수 있지만 화면 전체에 대한 계단 현상을 완화시켜주고 퍼포먼스 저하 또한 적기 때문에 효율성 면에서 우수하다.
더군다나 텍스처 선명도 저하 부문에서는 내부적인 알고리즘 버전이나 게임 제작시 이를 고려한 설계가 동반된다면 MSAA 와 비교해봐도 큰 차이없는 선명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 콜 오브 듀티: 고스트 역시 SMAA 방식을 사용해도 눈에 띄는 텍스처 선명도 저하 현상은 없었다. 다만 타 게임의 경우 게임 자체에서 후처리 방식의 AA를 지원하지 않아 NVIDIA, AMD 제어판에서 FXAA, MLAA 를 강제 적용할 경우 텍스처 선명도 저하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은 커진다.
|
CRYSIS 3 DX11
▲ 크라이시스 3 - 벤치마크 옵션
▲ 크라이시스 3 - 벤치마크 구간 동영상
비디오 메모리 사용량도 높고 절대적인 사양도 높기로 정평이 난 크라이시스 3.
VERY HIGH 옵션과 화질대비 퍼포먼스가 효율적인 SMAA MEDIUM (2TX) AA 방식을 적용 하였다.
실제로 SMAA MEDIUM 옵션은 MSAA 대비 화질과 퍼포먼스에서 더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기에 필자가 실제 플레이시에도 선호하는 옵션이기도 하다.
테스트 결과를 살펴보면 GTX 770 대비 약 11%를 상회하는 성능과 최대 오버클럭시 GTX 780 대비 1프레임 남짓 수준의 차이를 보여주며 훌륭한 성능을 기록하고 있다. |
HITMAN: ABSOLUTION DX11
▲ 히트맨: 앱솔루션 - 벤치마크 옵션
▲ 히트맨: 앱솔루션 - 벤치마크 구간 동영상
AMD 최적화 게임 중 하나인 히트맨: 앱솔루션.
GTX 780 다음의 성능을 보여주는 것은 갤럭시 GTX 770 이 아닌 R9 280X 가 차지할 정도로 NVIDIA 지포스 그래픽 카드가 힘을 못 쓰는 게임중 하나이다.
갤럭시 GTX 770 은 오버클럭을 최대한 적용해도 R9 280X 에 겨우 근접할 뿐 GTX 780 에 미치지는 못하는 성능 |
METRO: LAST LIGHT DX11
▲ 메트로: 라스트 라이트 - 벤치마크 옵션
▲ 메트로: 라스트 라이트 - 벤치마크 구간 동영상
메트로 2033 의 후속작 메트로: 라스트 라이트의 벤치마크 결과.
크라이시스 3 와 마찬가지로 사양이 매우 높은 대표적인 FPS 게임이다. 다만 전편의 메트로 2033 대비해서는 그래픽 대비 최적화가 개선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메트로: 라스트 라이트의 경우 내부적으로 벤치마크 툴을 지원하고 있으나 최소 프레임의 편차가 너무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평균 프레임만 산출하였다. 기본적으로 NVIDIA 지포스 그래픽 카드와 프로모션을 진행하는 타이틀이지만 AMD 그래픽 카드도 본연의 성능을 잘 발휘하고 있는 게임이다.
갤럭시 GTX 770 의 기본 성능은 GTX 770 과 R9 280X 를 모두 뛰어넘으며 인상적인 성능을 보여 주었고, 최대 오버클럭시에는 GTX 780 의 성능에 버금가며 우수한 면모를 자랑하였다.
|
TOMB RAIDER 2013 DX11
▲ 툼 레이더 - 벤치마크 옵션
▲ 툼 레이더 - 벤치마크 구간 동영상
TressFX 라는 일명 엘라스틴 효과와 함께 AMD 그래픽 카드와 프로모션을 진행한 게임이다.
역시나 GTX 780 이 가장 높은 성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AMD R9 280X 가 GTX 770 의 성능을 넘어서며 AMD 그래픽 카드의 성능을 유감없이 발휘하고 있다.
갤럭시 GTX 770 은 레퍼런스와 R9 280X 를 앞서고 있으나 GTX 780 의 성능에는 미치지 못한다.
|
Temperature/ Noise/ Power Consumption
Idle 환경은 윈도우 부팅 직후 5분간 대기하였을때의 상황에서 소음, 온도, 소비 전력을 측정하였으며, Load 환경은 대표적인 고사양 FPS 게임 크라이시스 3 에서 측정되었다.
FURMARK/ OCCT 따위의 GPU 부하 툴을 사용하지 않은 까닭이 있다. FURMARK/ OCCT 와 같은 유틸리티는 최근 AMD/ NVIDIA 양 사에서 나타나고 있는 전력 관련 기술 (EX-OCP, GPU BOOST, POWER TUNE 등 + S/W 감지)에 의해 실질적인 고사양 게임시의 환경을 대변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 본 테스트에서는 비교군으로 마땅한 대조군이 없어 참고용으로 NVIDIA 지포스 GTX 770 레퍼런스를 테스트에 포함 하였다. 사실, GTX 770 레퍼런스는 엔지니어링 샘플로만 존재하며 리테일 시장에는 찾아보기 힘들기 때문에 실질적인 데이터 가치가 높지는 않다.
크라이시스 3 세부 옵션은 1920x1080 해상도와 Very High 옵션, 4xMSAA 를 적용하여 GPU 에 가해지는 부하가 매우 높은 상황을 만들어내었다.
위와 같은 스크린샷에서 약 20분간 대기하였을 때를 Load 상황으로 정의 하였으며, GPU-Z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20분의 시간이 흘러가는 동안 기록된 최대치의 온도 및 팬 속도를 산출하였다.
1. 소음 측정 -> Sound Level Meter CEM-DT805 측정 장비를 이용하여 Idle/ Load 환경의 소음 수치를 측정 하도록 한다. 또한 GPU-Z 모니터링 툴을 이용하여 Load 환경에서의 최대 팬속과 RPM 기록.
-> 각 그래픽 카드의 Load 소음은 동일 조건 하에서 촬영 및 녹음된 동영상을 첨부하여 RPM 수치로 표현할 수 없는 각 그래픽 카드 고유의 소음 특성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
2. 온도 측정
3. 소비 전력 측정 |
1. GPU 온도 측정 (GPU Temperature Measurement)
단, 여기서 노출되는 숫자의 차이를 넘어 분명히 짚어야 할 것은 쿨링 성능 차이를 논하기 이전에 양 그래픽 카드의 실질적인 소비 전력과 성능에서 차이가 난다는 점이다.
레퍼런스 모델의 경우 GPU BOOST 기술 적용으로 인해 80도 수준에서 클럭/ 전압 다운이 동반 되고, 갤럭시 모델은 커스텀 PCB 설계로 클럭/ 전압 다운 현상 없이 약 200 MHz 높은 1,320 MHz의 클럭이 유지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소비 전력과 GPU 자체의 발열 수준이 꽤나 차이나는 상황이라는 점.
이러한 점을 염두하고 바라보았을때는 레퍼런스 쿨러 대비해서는 확실히 한 차원 더 높은 쿨링 성능을 지닌 쿨러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반면, 풀로드시에는 45.9 dBA 를 기록하며 절대적인 수치 자체는 나쁘지 않으나 레퍼런스에 비해 다소 높은 편이다. 트리플 팬의 위용을 감안하면 조금 실망스러운 수치라 할 수 있다. 참고로 최고 수준의 쿨링 시스템의 경우 40 dBA 초반대의 소음 수치를 보여준다. |
3. 소비 전력 측정 (Power Consumption, 시스템 전체 소비 전력)
|
★ 소음 측정 동영상 (Noise Video)
1. GALAXY GeForce GTX 770 Hall Of Fame 2 GB GDDR5
(1,202 MHz/ 1,255 MHz/ 7,010 MHz)
(Fan Speed: 63%/ 1,770 RPM) 45.9 dBA
2. NVIDIA GeForce GTX 770 2 GB GDDR5 Reference
(1,040 MHz/ 5,000 MHz)
(Fan Speed: 50%/ 2,100 RPM) 43.8 dBA
GALAXY GEFORCE GTX 770 HALL OF FAME 2GB GDDR5 REVIEW
총 평 (Conclusion)
리뷰 전체에서 질리도록 언급했지만 디자인적 완성도와 매력도는 역대 그래픽 카드 중에서도 단연 탑클래스에 오를만한 면모를 갖추고 있다. 화이트 PCB 와 쿨러 그리고 측면 LED 까지...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
Performance.
실질적인 3D 게임 성능은 매우 높은 팩토리 오버클럭에 힘입어 일반적인 GTX 770 으로는 오버클럭을 한다고 가정해도 다다르기 힘든 수준을 달성하고 있다. 특히나 기본 상태에서도 1,320 MHz 라는 매우 높은 클럭을 출렁임없이 유지하는 모습은 매우 인상적이었다. 게임 성능 테스트에서도 일부 게임은 오버클럭시 GTX 780과 비슷한 성능을 보여주는 경우도 존재하여 놀라움을 선사하였다.
그러나 GTX 770 칩셋 자체가 이미 클럭을 많이 끌어올린 칩셋으로 실질적인(체감적인) 성능 차이가 크지는 않다. 어디까지나 숫자로서 만족하는 감성적인 요소가 크다.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GTX 770 중에서도 가장 높은 팩토리 오버클럭을 가지고 있는 특별함으로 받아들이도록 하자.
또한, 팩토리 오버클럭이 매우 높게 적용된 탓에 추가 오버클럭 여유폭은 크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입수된 샘플 하나만으로는 판단하기 어렵지만 겨우 +20 MHz 만 가능한 것으로 보아 GPU 선별 작업을 통해 한계까지 클럭을 끌어올린 성격의 제품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Cooling efficiency.
마지막으로 쿨링 성능...
사진과 같의 트리플 팬 구성이지만 히트 파이프 결합 형태는 수직 형태로 설계되었으며 외형적 완성도를 위해 가이드 안으로 모두 감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이 히트싱크 면적의 극대화를 이루는데 걸림돌로 작용했던 것일까? GPU 발열 해소 능력은 레퍼런스 쿨러 대비 뛰어난 편이지만 정숙성 부문에서는 기대 이하의 성능을 보여주었다. 물론 20 cm 이격 상황에서 45.9 dBA 수치가 나쁜 편은 아니었지만 외형적인 포쓰에 비해서는 다소 아쉬운 수치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최고 수준의 쿨러들은 풀로드시 40 dBA 초반대의 수치를 보임)
장점 (Advantage)/ 단점 (Disadvantage)
● 이보다 특별한 외형은 없다!! 화이트 PCB 와 쿨러 그리고 측면 LED 까지...
● GPU 선별 과정을 통해 압도적인 팩토리 오버클럭과 커스텀 PCB 설계로 안정적인 부스트 클럭 보장
-> 1,202 MHz 의 베이스 클럭은 일반적인 GTX 770 에서 오버클럭으로도 안정화를 보기가 쉽지 않다.
● 종합적인 쿨링 솔루션이 뛰어나다. (메모리 및 전원부 독립형 히트싱크 탑재)
● 레퍼런스 대비 강화된 전원부와 POWER TARGET 최대 수치 강화 (123%, 레퍼런스: 106%)
● 독특하고 개성 넘치는 패키지 구성품
● 레퍼런스 GTX 770 대비 다소 높은 소비 전력
● 기대치 보다 떨어지는 소음치
● 한정된 수량으로 현재 시점에서는 구입하기가 용이하지 않음
● 가격대비 성능의 시각으로 접근하면 대안이 많다
Coolenjoy eXtreme Overclock Team
쿨엔조이벤치 (조승환)
<저작권자(c) 쿨앤조이(www.coolenjoy.net).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