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캐논 EOS 800D 리뷰 동영상 있음

팝코넷
2017.04.17. 17:05:56
조회 수
13,703
2
댓글 수
3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Canon EOS 800D

모두를 위한 DSLR


 




버스커 버스커의 벚꽃 엔딩이 매년 봄 음원 차트에 역주행 랭크 되듯이 ‘캐논인가 아닌가’ 의 역대급 광고 카피도 봄마다 스물 스물 수면위로 올라와 신상 카메라를 갈망하는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듯 하다. 새학기가 시작되고 화려한 봄 꽃이 피기 시작하는 이 무렵. 카메라에 본격 취미를 붙여보려는 20대 초반 젊은 여성들도 여전히 캐논을 소리친다. ‘캐논이 좋지 않나요?’ 캐논의 브랜드 파워! DSLR에서는 절대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이다. 게다가 요즘의 캐논 EOS DSLR은 광학 뷰파인더와 라이브 뷰 촬영 모두를 쾌적하게 누릴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쪽으로든 추천하기가 좋다. 특히, 2017년의 캐논은 다가가기 좋은 보급기로 공략하는 해로서 EOS M5의 정기를 이어받은 컴팩트한 EOS M6로 캐논 미러리스를 요구하는 소비자들을 포섭 중이며 DSLR에서는 보급기 라인 최초로 듀얼 픽셀 CMOS AF와 DIGIC 7을 탑재한 EOS 800D와 EOS 77D가 앞장섰다. 캐논은 이렇게 미러리스와 DSLR의 쌍방 공략으로 활기찬 봄을 맞이하고 있다. 오늘 이야기의 주인공은 캐논 DSLR의 대표 라인업 EOS 800D. ‘모두를 위한 DSLR’ 이라는 수식어가 딱 맞아 떨어지는 대중을 사로잡을 DSLR이다.

*  리뷰에 첨부된 EOS 800D의 촬영 샘플은 후보정이 없는 리사이즈 본입니다.
*  리뷰에 사용된 렌즈는 아래와 같습니다.  
-  EF-S18-135mm F3.5-5.6 IS USM (이하 EF-S 18-135 USM으로 표기)    
-  EF-S 24mm F2.8 STM (이하 EF-S 24mm로 표기)    
-  EF 40mm F2.8 STM (이하 EF 40mm로 표기)



 

· 45점 올 크로스 AF 센서 ·
· 듀얼 픽셀 CMOS AF ·
· 24.2 MP APS-C CMOS 센서 ·
· DIGIC 7 이미지 프로세서 ·
· 3.0인치 104만 화소 프리앵글 터치 스크린 ·
· Full HD 1920x1080 60p 비디오 ·
· ISO 100~ ISO 25600 (확장감도 최대 ISO 51200) ·
· 동체 추적 초당 최대 6매 연사 ·
· 무선 공유 Bilt In Wifi / NFC / Bluetooth ·



EOS 800D 부위별 명칭




 

 


 

EOS 77D와 EOS 800D는 2년 전 세대보다 확~ 달라진 버전 업 된 성능을 탑재하고 나왔다. 보급기 라인업 최초로 듀얼 픽셀 CMOS AF를 탑재했으며, 라이브 뷰에서 세계에서 가장 빠른 0.03초의 AF 속도를 실현했다고 한다.(* 캐논 기준, APS-C 기종 렌즈 교환식 카메라 중)  또한 기존의 19포인트였던 AF 시스템을 45점 올 크로스 AF로 상위 기종과 다를 바 없는 AF 성능을 구현했으며, EOS DSLR 최초의 새로운 DIGIC 7 엔진을 탑재하여 속도, 정확성, 화질, 동영상 에서 진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연사 속도와 최대 촬영장수, 지원감도 등에서도 버전업 되었으며, 저전력 효율로 배터리 성능도 기존에 비해 훨씬 뛰어나다. 뷰파인더 크기는 상위 기종과의 균형과 제품 크기 제한 등을 위해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했지만 45 올 크로스 AF 시스템으로 AF 포인트 범위는 더 넓게 자리잡게 되었다. 작은 차이지만 크기와 무게도 컴팩트해져 기존 모델보다 휴대성도 좀 더 유리해졌다.



 

전반적으로 기존 제품보다는 한 단계 위 급의 모델로 느껴질 정도였다. 쾌적한 파인더 촬영을 위한 45 포인트 올 크로스 AF와 진화된 속도와 성능을 가져온  DIGIC 7도 크지만, 무엇보다 듀얼 픽셀 CMOS AF 시스템 도입이 세대 변화에 가장 크게 작용했다. 그것으로 인해 라이브 뷰 활용도가 훨씬 높아진것도 사실이며 EOS DSLR이 미러리스 카메라 수준의 촬영 인터페이스를 지닐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보급기 라인업에 이와 같은 시스템을 도입한 것 역시 캐논으로서도 큰 결단이었을 것이다. EOS 800D는 보급기에 모두가 간절히 바래왔던 소망을 현실로 이뤄준 셈이다. 그리고, 직접 EOS 800D를 사용해본 본 리뷰어 입장에서는 여러 최신 기술 탑재와 완성된 보급기로의 탈바꿈을 감안할 때 5만 원의 소폭 가격 상승에 대해서는 충분히 납득이 갔었다.



 

함께 발매한 EOS 77D와 EOS 800D의 위치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2015년 중급기와 보급기 사이에 새롭게 자리매김한 EOS 760D 후속 EOS 77D는 EOS 80D의 하위 모델로서 상단 액정 창과 후면 다이얼 및 AF-ON 버튼 등을 마련하여 외부 조작성을 배려한 모델이다. 본격적으로 사진에 취미를 붙이고자 하는 유저를 타깃으로 한다. 기타 AF 시스템, 화질, 뷰파인더 등은 EOS 800D와 동일. 제품 네임이 다소 애매했던 기존 모델 EOS 760D와는 달리 EOS 80D의 하위 모델로 인식하기 좋은 EOS 77D로 새롭게 네이밍 했다. (EOS 77D의 일본 네임은 EOS 9000D)



 


준 중급기 EOS 77D와 보급기 EOS 800D


약 10만 원의 가격 차이를 보이고 있는 EOS 77D와 EOS 800D는 위의 비교 표에서도 보았듯이 조작성의 차이일 뿐, 화질이나 기본 성능은 모두 동일하다고 봐도 무방하다. 크기도 동일하며 무게만 약 8-9g EOS 77D가 조금 더 무겁다. 캐논 입장에서는 사용자 층을 다양하게 고려한 것이며 소비자 입장에서도 선택권이 넓은 것은 좋은 것이다. 작년에 EOS 760D를 리뷰 하면서 느낀 점은 조작성의 작은 차이가 사진의 준비에서 은근히 영향을 준다는 것. 액정을 보지 않고 촬영 정보를 확인 가능한 상단 액정 창, 수동 조작이나 노출 보정 시 버튼을 누르지 않고 휠 다이얼 만으로 빠르게 조작 가능한 것. 모드 다이얼이 왼쪽에 위치하고 중앙에 락 버튼을 둔 것. 심장, 두뇌는 같아도 촬영 준비를 좀 더 빠르게 할 수 있는 것은 중요한 장면에서 은근히 크게 작용할 때가 있다. 사용자 스타일에 따라 조금의 투자로서 좀 더 만족스러운 사진 생활을 즐길 수 있게 되는 것. 중급기 EOS 80D는 다소 부담스럽고 EOS 800D의 성능 정도에 조작성이 좀 더 가미가 된 제품을 원하는 분이라면 EOS 77D가 좋은 선택일 수 있다. 다소 밋밋한 요리에 본인 취향의 양념이 살짝 더 가미되었다고 할까?



EOS 800D와 EOS 77D의 외관 차이




EOS 800D / EOS 77D



전원 OFF/ON/동영상 레버와 모드 다이얼이 EOS 800D는 오른쪽, EOS 77D는 왼쪽에 마련되고 있다. 그리고 EOS 77D의 모드 다이얼에는 다이얼이 쉽게 돌아가지 않도록 중앙에 락 버튼이 있는데 토글 버튼이 아니고 누른 상태로 다이얼을 돌리는 형태다. 다이얼 위의 촬영 모드 종류도 동일하다.



EOS 800D / EOS 77D



상단 액정 정보창은 EOS 77D만의 특권이다. ISO 감도, 셔터스피드, 조리개, 배터리 잔량, WiFi 기능, 촬영 가능 매수, 노출 레벨, FE 잠금, 다중 기능 잠금 경고, 벌브 노출 시간 등을 확인이 가능. 후면 액정을 보지 않고 바디 상단을 통해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촬영에 대한 준비를 보다 빠르게 할 수 있다. 이 차이 때문에 EOS 77D는 어두운 곳에서 확인이 가능한 조명 버튼이 있고 EOS 800D에는 그 위치에 후면 액정 패널을 끄고 켤 수 있는 DISP 버튼이 대체된다.



EOS 77D 에만 있는 상단 액정 정보 창



EOS 77D는 투 다이얼을 통해 노출 보정이나 M 모드에서 조리개&셔터스피드를 빠르게 조작 가능하다. 후면 커맨드 휠 다이얼과 휠 다이얼 락 스위치가 EOS 77D에만 있다. EOS 800D의 경우, 노출 보정 시나 M 모드에서 조리개 조작시에는 후면의 노출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상단의 커맨드 다이얼을 회전시켜야 한다. 



EOS 77D의 후면 조작 인터페이스 (AF-ON, 퀵 컨트롤 다이얼)



또한, EOS 77D에만 있는 후면 상단의 AF-ON 버튼에는 측광&AF, AE/FE 잠금, AF 멈춤, AE잠금, FE 잠금, 기능 끔 등의 사용자 기능을 할당할 수 있다



 

 


컴팩트한 크기, 편리한 프리 앵글 터치 액정


2004년 EOS 300D로 시작된 캐논 EOS의 대표 라인업은 인터페이스와 몸매를 꾸준히 가꾸어 왔다. 2011년 EOS 600D에서 프리앵글 액정을 탑재하며 570g으로 다소 무거워졌지만  EOS 800D는 바디만 500g이 채 안 된다. 해마다 꾸준히 다이어트에 성공한 셈이다. 바디 외관 역시 구석구석 마감도 더 좋아지고 그립감도 보급기로서 적절하다. 무엇보다 듀얼 픽셀 CMOS AF에 의해 라이브 뷰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프리앵글 액정의 쓰임새가 훨씬 좋아진 점이 부각되었다. 2축 회전 방식으로 인해 가로/세로 촬영 상관 없이 하이앵글, 로우앵글 촬영이 가능하고 셀프 촬영도 지원. 게다가 터치 감도 무척 뛰어나 편리한 조작성에서 소비자에게 어필하기 좋다.



 

빛의 반사에 강한'클리어 뷰 액정 II’를 채용하였으며, 약 104 만 화소의 해상도로 대낮의 야외에서도 선명한 화면으로 촬영이 가능하다. 사진과 같은 3 : 2 와이드 3.0 형으로서 표면에 오염 방지 코팅을 실시하였다. LCD 모니터를 구성하는 보호 커버 역시 강화 유리를 사용해 강도를 유지하면서 박형화를 실현했다. 액정은 수평으로 175도 펼쳐지고 다시 전후 방향으로 총 260도의 최대 회전 범위를 지니고 있다.  



로우 앵글 촬영 자세 / 하이 앵글 촬영 자세 / 셀프 촬영 자세




프리 앵글 액정을 활용한 다양한 구도의 라이브 뷰 촬영 샘플


가로로 로우 앵글 촬영 / 가로로 하이 앵글 촬영




세로로 로우 앵글 촬영 / 세로로 하이 앵글 촬영




셀프 촬영



EOS 800D는 그립감도 적당하고 팬케이크 렌즈라면 부피와 무게도 현격하게 줄일 수 있어 여성들에게도 부담스럽지 않는 크기와 무게를 지녔다는 생각. 그런 면에서 화질 좋고 촬영이 편한 DSLR을 고려중인 여성분들에게도 망설임 없이 추천할 수 있는 카메라다. 





바디만의 실 측정 무게는 488g 을 나타냈으며, 배터리+메모리 포함 무게는 532g, 그리고 요즘 각광받고 있는 EF-S 24mm 팬케이크 렌즈로 촬영 시의 무게는 654g, 화각이 조금 더 좁은 EF 40mm 팬케이크 렌즈 촬영 시는 658g, 폭넓은 표준 줌 렌즈로 여행,일상 출사에서 유용한 EF-S 18-135 USM 렌즈 촬영 시 무게는 1052g 을 나타냈다. 또한, EOS 800D와 킷으로 구성되는 새롭게 리뉴얼된 컴팩트 표준 줌 EF-S 18-55mm F4-5.6 IS STM 렌즈라면 렌즈 만의 무게가 215g 이기 때문에 약 750g 으로 일상 촬영을 즐길 수 있다. 



EOS 800D의 다양한 조합 시의 무게 (측정 오차 -2g ~ +2g)


EOS 800D Body / Body + 메모리,배터리 / EF-S 24mm F2.8 촬영시 / EF 40mm F2.8 촬영시 / EF-S 18-135 촬영시 / EF-S 17-55mm F2.8 촬영시 / EF-S 18-135 + EF-S 24 휴대시




 


600장 촬영의 우수한 배터리 운용 능력


배터리는 기존과 동일한 배터리 팩 LP-E17 를 사용하는데 전력 효율이 꽤 좋아졌다. 스펙 상으로는 상온에서 600매, 그리고 라이브 뷰 촬영에서도 270매에 이르고 있다. EOS 750D가 파인더 기준 440매 였던 걸 감안하면 기대 이상의 업그레이드. 화성과 대부도 출사를 하루 다녀온 바 있는데 라이브 뷰를 꽤 많이 사용했는데도 RAW+JPG로 사진 약 350매, 동영상 약 7분 정도를 촬영하고도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지 않았었다. 뷰파인더가 아닌 라이브 뷰만 사용해도 스펙상 270매(기존 EOS 750D는 180매)에 이르기 때문에 꽤 괜찮은 성능이 아닌가 싶다. 그렇다 하더라도 배터리 하나는 더 소지하고 출사를 나가야 안심이 될 것이다. 라이브 뷰와 동영상 촬영을 함께 즐긴다면 말이다. 충전은 충전기로만 가능하다.



 


 


Dual Pixel CMOS AF 탑재APS-C 렌즈 교환식 세계 최단 AF 속도 0.03초


듀얼 픽셀 CMOS AF는 캐논 독자의 반도체 기술로 탄생한 AF 방식으로서 CMOS 센서의 1 화소를 2 개의 포토 다이오드로 구성. 1 화소에서 2 개의 화상 신호를 검출하고 위상차 AF를 실시하는 것으로 포커스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산출한다. 따라서 기존 방식처럼 포커싱 위치를 찾아 변칙적인 포커스 이동이 없는 부드럽고 빠른 AF가 가능하다. 모든 유효 화소에서의 정보를 이용해 위상차 AF로 빠르게 초점을 맞출 수 있다. 



 

EOS 800D는 듀얼 픽셀 CMOS AF 탑재로 세계 최고 속도인 0.03초를 구현했다고 한다.(EF-S 18-55 STM 렌즈, 제조사 측정 기준) 덕분에 피사체를 부드럽게 추적하는 성능 역시 뛰어나며 동체추적 촬영 시에도 자연스럽게 초점이 변동되는 영상과 사진을 얻을 수 있다. 0.03초 스펙의 검증 여부를 떠나 일단, 라이브 뷰로 촬영해보면 기존에 비해 월등히 쾌적해지고 편리해졌다는 것이 펙트다. 라이브 뷰에서 지원하는 AF 영역 모드인 얼굴인식 + 트래킹 AF, 부드러운 존 AF, Live 1 포인트 AF 등 전체적으로 DSLR이라는 것을 순간 잊게할 정도로 우수한 AF 성능을 구사한다. Live 1 포인트 AF 에서 AF 에리어 크기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게 개선되면 더욱 좋을 듯 하다.



라이브 뷰 AF 및 터치 AF [EF-S 18-135 USM]
(얼굴인식 + 트래킹 AF -> 부드러운 존 AF-> Live 1 포인트 AF)




EF-S 18-135 USM과 함께면 환경에 상관 없이 라이브 뷰 촬영이 쾌적하기에, 카메라를 사용하다 보면 라이브 뷰 촬영 비율이 점점 높아지게 된다. 라이브 뷰에서의 동체 추적 연사나 동영상 촬영시의 인물 추척 AF 및 자연스러운 AF를 보면, DSLR도 앞으로 라이브 뷰의 활용도가 훨씬 높아질 것임을 직감하게 된다. 



라이브 뷰 동영상 촬영시의 AI 서보 AF
[1080 60p, EF-S 18-135 USM] (얼굴인식 + 트래킹 AF)





 
라이브 뷰 촬영 전환은 후면 엄지부 쪽의 붉은 점이 있는 라이브 뷰 촬영 전환 / 동영상 촬영 버튼을 누르면 되는데, 라이브 뷰 전환을 해도 일정 시간 동안 사용을 안 하면 자동으로 광학 뷰파인더 촬영 모드로 전환된다. 리뷰에 사용한 표준 줌 렌즈 EF-S 18-135 USM과 EF-S 24mm 팬케이크 렌즈 모두 AF 속도가 쾌적하다. 아래는 EF-S 18-135 USM 렌즈와 EF-S 24mm 렌즈의 AF 속도 테스트다.



센서면 80% x 80% 를 커버하는 넓은 범위의 AF 영역



 

라이브 뷰 촬영 시의 이점은 사진의 색상, 노출 등을 미리볼 수 있다는 것과 뷰파인더 보다 훨씬 넓은 범위에서 AF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EOS 800D는 화면 전체의 약 80% x 80% 범위내 모든 면에서 AF가 가능하다. 터치와 조작을 병행하여 다양한 구도로 원하는 곳으로의 AF가 편하다. AF 정확도도 뛰어나고 렉도 적어 활용성이 참 좋다.




편리한 라이브 뷰 화면 빠르고 간편한 라이브 뷰 터치 조작 & 터치 AF


EOS 800D는 기본적으로 정전식 터치 조작이 우수해 화면 터치에 의한 기능 설정 시, 화면을 통해 색상이나 효과를 바로 바로 직감할 수 있기 때문에, 초보자들에게 있어 라이브 뷰 + 우수한 터치 기능은 가장 큰 매력 요소로 작용한다.



라이브 뷰에서의 간편한 터치 조작과 우수한 터치감




여성들의 셀프 촬영이나 터치 지점을 위주로 한 AF/AE 촬영 시 터치샷/터치 AF도 유용하게 활용된다. EOS 800D는 별도의 측거점 연동 스팟 측광 설정은 없는데, 1점 AF 시 화면 터치를 해보면 터치 지점을 중심으로 스팟 측광에 가까운 노출이 적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 속의 밝은 곳을 터치하면 약간 어둡게, 어두운 곳을 터치하면 다소 밝게 측광을 하고 얼굴에 터치를 하면 얼굴 위주의 측광을 실시한다. 아래 터치샷 & 터치 AF 영상의 뒷부분을 확인해보면 터치한 지점의 색상이나 밝기 위주로 측광이 능동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라이브 뷰 터치 샷 및 터치 지점 중심의 AF/AE [EF-S 18-135 USM]




터치샷의 반응 속도 또한 우수한 편. 라이브 뷰의 Shot To Shot 속도가 환상적이지는 않지만, 이 정도의 속도면 라이브 뷰 실 촬영 시 불편함은 없다. MF 촬영 시에는 화면 확대에 의해 뷰파인더 보다 정확한 초점을 잡을 수 있다.  피킹 기능은 지원하지 않는다.



라이브 뷰 동체추적 AI SERVO 초당 4.5 매 연사


뷰파인더보다 동체 추적 범위가 더 넓은 라이브 뷰 AI SERVO 연사 촬영에서도 초당 4.5 매 속도로 동체 추적 촬영이 가능하다. 뷰파인더 촬영(초당 6매) 보다는 속도가 다소 느리지만 얼굴인식 + 트래킹 AF에서의 동체 추적 촬영 결과물이 꽤 좋다. 기존 카메라 비해 얼굴인식에 의한 동체 추적 성능이 훨씬 좋아진 게 느껴진다. 이 역시 라이브 뷰 촬영의 활용도를 보다 높일 수 있는 요소가 되며 라이브 뷰 촬영 중에는 미러가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이 카메라가 DSLR 이라는 것을 잠시 잊게 만든다.


얼굴인식 + 트래킹 AF에 의한 라이브 뷰 서보 AF 연사 촬영 화면 






 


듀얼 픽셀 CMOS AF 시스템과의 환상 궁합
EF-S 18-135mm F3.5-F5.6 IS USM


듀얼 픽셀 CMOS AF의 성능을 최적으로 이끌어내는 EF-S 18-135 USM 렌즈는 불과 1년 전에 발매된 최신 고배율 줌 렌즈로서 2012년 6월에 발매되었던 EF-S 18-135mm F3.5-5.6 IS STM의 후속 렌즈다. 최초로 캐논 나노 USM를 탑재한 바로 그 주인공이다. AF 구동용으로 탑재된 나노 USM은 기존 AF 구동용 모터보다 더 소형으로 설계되고 USM과 리드 스크류 타입 STM의 특장점을 모두 겸비하고 있다. USM의 빠른 AF와 정숙하고 부드러운 STM의 장점을 모두 지니고 있기 때문에 사진은 물론, 동영상 촬영 시에도 정숙, 신속한 AF 촬영에서 무척 유리한 렌즈다. 이런 특징으로 인해 렌즈 밑면에 별도의 액세서리와 함께 전동 줌 구동이 가능하도록 단자와 기어 링도 마련되어 있다. EOS 800D와 함께하기 좋은 렌즈 중 여행용, 일상 출사용, 동영상 촬영용으로 모든 상황을 산뜻하게 포괄할 수 있는 이만한 표준 줌 렌즈도 없다는 생각이다.



 


일상의 소소한 스냅이 더 즐거워지는 라이브 뷰 촬영


라이브 뷰 촬영 성능의 우수성은 프리앵글 액정과 만나 시너지를 이루었다. 뷰파인더를 들여다 보지 않고 여러 각도로 간편하게 촬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음식 촬영을 더 예쁘게 담거나 스트리트 포토의 편리한 스냅, 좁은 공간에서 셀프 촬영 등에서도 라이브 뷰 촬영이 쾌적하면 그만큼 일상의 기록은 더 즐거워진다. 



 


올 크로스 45 포인트 AF 센서 인텔리전트 뷰 파인더


라이브 뷰에 이어 DSLR의 특권인 광학 뷰파인더 촬영에 대한 이야기다. 먼저 AF 측거점이 기존 19 점에서 올 크로스 45 점으로 대폭 향상 되었다. 뷰 파인더 배치 또한 보다 광범위하게 분포하게 되었다. EOS 80D 등의 중급기에 사용되는 올 크로스 45 포인트 AF 센서를 탑재하여 다양한 상황에서 보다 쾌적하고 빠른 촬영 성능을 구사한다. F5.6 광속 대응 크로스 (가로 / 세로) 측거가 가능하며 사용 빈도가 높은 중앙 측거점의 경우는 초점 정밀도가 뛰어난 F2.8과 F5.6 듀얼 크로스 측거를 배치했다. 또한 최대 27점에서 F8을 대응하여 초망원 렌즈 사용의 편의성도 고려했다. 




 

DSLR의 가장 큰 특권은 실상 그대로를 보면서 초점을 맞추고 촬영할 수 있는 광학 뷰파인더가 아닐까 싶다. 밝은 시인성과 피사체의 움직임을 지연시간 없이 생생하게 확인하며 찍는 맛!. 때문에 순간 포착력이 좋고 광학 뷰파인더 만의 촬영감 때문에서라도 DSLR을 벗어나지 못한 분들이 많다. EOS 800D는 약 0.82배 배율, 약 95% 시야율의 펜타 미러 뷰파인더를 탑재했다. 바디 급을 감안하면 무난한 크기와 성능. 주요 정보를 볼 수 있는 인텔리전트 뷰 파인더 탑재로 각종 정보와 함께 전자 수평계, 격자 표시, 깜빡임 검출, 화면 비율 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아래)


 

얼굴에 초점을 우선하는 컬러 트래킹 AF



 

EOS 800D는 초점 시 피부색을 감지하여 인물을 정밀하게 식별하는 컬러 트래킹 AF 가 기본으로 설정돼있다. 자동 초점은 기본적으로 앞의 피사체에 초점이 맞기 쉬운데, 색상 감지가 탑재된 EOS 800D는 컬러 트래킹 AF 에 의해 인물의 얼굴에 우선적으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동체 추적 촬영을 위한 AI 서보 AF설정 시, 검지 한 피부색을 따라간다. 얼굴이 움직여도 그대로 얼굴을 우선으로 추적을 실시하는 것이다. 피부 톤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가장 근접한 피사체에 초점이 이루어진다.



4가지의 AF 영역 모드




EOS 800D는 4가지의 AF 영역 선택 방식을 선택할 수 있어 구도와 초점에 집중할 수 있다. 상단의 AF 영역 선택 버튼이 있어 뷰파인더를 보며 빠르게 전환이 가능하다.






수동 선택 : 단일 포인트 AF - 45 점 중 초점을 맞출 위치를 1점 으로 선택할 수 있다. 움직임이 적은 피사체나 인물의 눈동자 등 특정 부위에 보다 정확하게 초점을 맞추고 싶을 때 유용하다.



 
수동 선택 : 존 AF - 45 점을 9개의 존으로 구분. 선택한 영역에서 피사체를 자동으로 감지한다. 구도 우선과 함께 피사체도 움직일 가능성이 있는 경우 좋다.



 
수동 선택 : 대형 존 AF - 45 점을 3개의 구역으로 분할. 선택한 영역 안에서 피사체를 자동으로 감지. 구도 우선과 피사체가 좀 더 크게 움직일 가능성이 있는 경우 좋다.



 
자동 선택 AF - 45 개 측거 센서 모두 카메라가 피사체를 자동으로 감지. 피사체의 움직임이 불규칙하고 예측할 수 없는 경우, AI 서보 AF 조합으로 동체 추적 촬영시 유용하다.



4가지 AF 영역 모드 설정에 따른 파인더 화면 





초당 6매 연사 우수한 추적 성능의 AF SERVO AF


동체 추적 AI SERVO AF 초당 6매 연사 파인더 화면 [EF-S 18-135 USM]






깊이 방향 동체 추적 AI SERVO AF 인물 연사 촬영 [65매, EF-S 18-135 USM, A모드, ISO 800]




약 24.2MP 풀화소 그대로, 연사 속도 최고 초당 약 6 매로 진화했다. 또한 약 7560 화소 RGB + IR 측광 센서로 매 촬영 시 밝기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밝기를 조절한다. 색을 감지하는 RGB 픽셀과 외광을 검출하는 IR 화소 두 가지를 연계시켜 피사체 검출 정확도를 더 높이고 있다. 정확도와 완성도가 우수하며, 얼굴 인식 성능도 좋고 결과물 또한 좋다. 연사 촬영장수도 JPEG Large/Fine으로 약 190매, RAW로는 약 21매, RAW+JPEG Large/Fine 으로는 약 19매의 스펙을 지녔는데, 메모리 종류에 따라서는 촬영 장수 성능이 더 늘어난다. 실제 샌디스크 Extreme PRO 32GB SDHC I U3로 테스트 시 JPG Large/Fine으로 500장 이상 촬영해도 속도가 느려지지 않았으며, RAW로는 28매 까지, RAW +JPG(Fine)으로는 23매 까지 속도를 유지했었다. 최단 셔터스피드는 1/4000초로 기존과 동일하다.



깜빡임 방지 촬영 설정에 따른 실내 연사 이미지



깜빡임 방지 촬영 설정 (촬영 컷 모두가 색상과 노출이 균일함)




깜빡임 방지 촬영 해제 (색상과 노출이 불규칙하다.)



 


광학 뷰파인더 & 미러리스의 촬영감 모두를 누릴 수 있는 EOS 800D


EOS 800D를 사용하면서 묘한 교차감을 느꼈는데, 그 이유는 광학뷰와 라이브 뷰 촬영의 경계 때문이었다. 아이러니하게도 광학뷰로 촬영할지 액정으로 촬영할지, 촬영 순간 고민이 되는 경우가 있었다. 프리 앵글 액정과 쾌적해진 라이브 뷰 촬영 감 때문이다. 분명 나 스스로는 광학 뷰의 특권을 마음껏 누리고 싶은데 괜히 라이브 뷰로 전환을 하고 있는 나를 발견하게 된다. 거기에 대다수가 스마트폰으로만 사진을 찍는 요즘엔 왠지 다소 두툼한 DSLR쯤은 들고 있어야 카메라답다고 봐줄듯한 편견까지도... 참 묘하다. DSLR을 갈망했던 10년 전 과거의 나로  회귀하고 있는 느낌마저 들었다. 미러리스보다 카메라다워 보이는 DSLR, 그리고 보급기 DSLR로 광학 뷰의 특권과 라이브 뷰의 편리함을 모두 누릴 수 있는 EOS 800D. 카메라가 점점 귀해지는 요즘 참 복잡미묘한 흥미를 가져다 준 카메라였다. 이는 가장 대중적인 DSLR의 세대 변화를 맞이하는 개인적 감정일 뿐일 수 있기에, 기존에 다양한 카메라를 다뤄 본 EOS 800D 사용자 분들 중, 비슷한 느낌을 받으신 분이 계실지 궁금했다.



EOS 800D SERVO AF 연사 촬영 샘플 [EF-S 18-135 USM]


 



부드러운 프레임의 Full HD 60P Movie 빠르고 부드러운 동영상 서보 AF


듀얼 픽셀 CMOS AF 탑재로 인해 동영상에서도 빠르고 능동적인 AF로서 쾌적한 촬영 환경을 제공해준다. 촬영 중 반셔터 및 화면 터치에 의한 AF 등도 가능해 촬영 중의 인터페이스도 뛰어난 편. 또한 렌즈와 디지털 보정에 의한 5축 보정 시스템을 지원하며, 자유로운 프리앵글 액정으로 표현력과 촬영 편의성 면에서도 좋다.



얼굴인식+트래킹 AI Servo AF [1920x1080/60p, 60Mbps, EF-S 18-135 USM]




FHD에서 이전 기종에 비해 프레임이 높아진 60p를 지원하고 비트레이트 역시 좀 더 높아졌다. FHD 60p에서 비트레이트는 60Mbps. 비록 4K 까지는 아니지만 일상에서 사용하기 좋은 깨끗하고 화사한 색감의 FHD 영상이 장점.  HDR 동영상 화질이 눈에 띄게 업그레이드 된 점도 인상 깊었으며 타임랩스 동영상 같은 경우는 90Mbps 전송률까지 올라섰다. 1번에 촬영할 수 있는 동영상 최대 촬영 시간은 29분 29초다. 



 

EOS 800D 동영상의 최대 장점은 역시 듀얼 픽셀 CMOS AF에 의한 촬영 중 능동적인 서보 AF 성능이다. 움직이는 피사체를 따라 자동으로 반응하는 AF 성능이 뛰어나다. EF-S 18-135 USM 라면 소음 없이 깔끔하고 자연스러운 AF 영상을 담을 수 있다. 또한 인물 촬영 시에는 얼굴인식+트래킹 AF를 사용하면 카메라가 알아서 인물의 얼굴에 연속 AF를 실시한다. 



얼굴인식 + 트래킹 AI Servo AF  동영상 촬영 시 EOS 800D의 액정 화면 [EF-S 18-135 USM]




아래는 얼굴인식 + 트래킹 AI Servo AF로 촬영한 EOS 800D의 FHD 60p 인물 동영상 샘플이다. 얼굴을 인식하는 순간 노출의 변화와 AF가 빠르고 스무스하게 동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주밍 시의 AF 동작 역시 우수하다. 



얼굴인식 + 트래킹 AI Servo AF Movie [1920x1080 / 60p, 60Mbps, EF-S 18-135 USM]




야간, 실내 촬영시의 노이즈 억제력도 무난한 수준이다. EOS 800D는 A/S 모드는 지원하지는 않지만 수동 M 모드를 지원한다. 동영상에서의 감도 지원 범위는 ISO 100 ~ ISO 25600이다. 



M 모드 야간 촬영
[M모드, ISO 400, F3.5, 1/25초, 1920x1080 / 24p, 30Mbps, EF-S 18-135 USM]






동영상 촬영 중 편리한 터치 조작


앞서 듀얼 픽셀 CMOS AF에서도 언급했듯이 동영상 촬영 중 터치 조작도 유용하다.  얼굴 인식 + 트래킹 AF로 설정, 인물 영상 촬영 중 얼굴을 인식 중이라 하더라도 화면에 터치를 하면 터치 지점을 중심으로 AF 및 트래킹이 동작된다.


얼굴인식 + 트래킹 AF 에서 동영상 촬영 중 화면 터치에 의한 AF 동작 [EF-S 18-135 USM]





화면 터치에 의해 조리개, 셔터스피드, 노출, 감도 등을 소리 없이 조작이 가능한 것도 장점. 아래는 M모드로 촬영 중, 조리개, 셔터스피드, 노출 등을 조작해본 것으로서 조리개 조절에 의한 심도 변화도 비교적 자연스러운 것을 볼 수 있다.


M모드 에서 동영상 촬영 중 화면 터치에 의한 조리개, 셔터스피드, 노출 보정 [EF-S 18-135 USM]





확실히 IS 만 사용했을 때 보다 바디 전자식 보정이 가세한 것이 보다 안정적이다. 디지털 보정 IS가 가세되면 화각이 다소 줄어들고 약간의 화질 저하를 수반한다. 화질 저하가 신경 쓰이면 디지털 보정은 ‘강하게’ 보다는 일반 ‘설정’ 이 무난할 것이다. EF-S 18-135 USM의 폭넓은 화각은 활용도가 참 좋다. 여행용으로는 최적의 화각. 또한 동영상 촬영용으로도 참 좋다. 역동적이지 않은 망원 촬영 시에는 굳이 디지털 보정 IS까지 사용할 필요 없이 렌즈 자체의 광학 손떨림 보정 성능 만으로도 우수하며 화질과 화각 유지 면에서도 좋다.


EF-S 18-135 USM의 풀주밍 광학 손떨림 보정 IS Off/ON 비교 [1920x1080 / 30p, 30M bps]


광학 손떨림 보정 IS 끔



광학 손떨림 보정 IS 켬



디지털 IS를 사용할 수 없는 EF 렌즈


 

디지털 IS 가 모든 렌즈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와 같은 EF 렌즈들은 디지털 IS를 사용할 수 없다.



타임랩스 동영상 제작 지원


일정 간격으로 촬영한 사진을 연결해 카메라 내에서 풀 HD 동영상으로 기록 재생이 가능한 타임랩스 동영상 제작 기능을 지원한다. EOS 800D의 타임랩스 자동 제작 영상은 약 90M bps로서 얼마 전에 리뷰한 미러리스 EOS M5의 24Mbps보다 화질이 우수하다. 촬영 간격은 00:00:01 ~ 99:59:59초, 그리고 촬영 매수는 2매 ~ 3600매 까지 설정 가능. 촬영 후에는 자동으로 FHD 30p ALL-I의 타임랩스 영상이 제작된다. 



타임랩스 동영상 (1920 × 1080 / 30p), 5초 간격 300장 촬영





고화질 HDR 영상 지원


HDR 영상은 이전 모델 760D 등에서 EOS 최초로 지원했던 기능이다. 당시 HD 화질에만 국한되었었기 때문에 이번 EOS 800D의 FHD 30Mbps HDR 동영상은 이전보다 훨씬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효과도 기대 이상으로 막강하다. 명부에 특히 강해 HDR 이라면 명부 위주로 촬영해도 좋다. HDR 영상은 표준 노출, 노출 부족의 화면을 교대로 60fps 촬영하고 합성하여 30fps로 저장하는 기술이다. EOS 800D의 HDR은 개인적으로 많이 어필하고 싶은 기능 중 하나였다. 이 기능은 모드 다이얼의 SCN 장면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일반 FHD 영상 vs HDR FHD 영상 비교


일반 FHD 영상 (1920x1080 60p, 60Mbps)



HDR 영상 (1920x1080 30p, 30Mbps)




 


2,420만 화소 APS-C CMOS 센서
EOS DSLR 최초의 최신 DIGIC 7 엔진


EOS 800D는 약 2420 만 화소의 대형 CMOS 센서를 탑재했으며 EOS DSLR 최초로 최신 두뇌  DIGIC 7을 탑재하여 고속 처리, 해상감 향상, 저 노이즈, 고화질 동영상 등 사진의 품질과 성능 향상을 실현했다. DIGIC 7에 의해 기존에 비해 방대한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 할 수 있었으며, 기본 ISO 감도에서 최고 25,600의 실현, 풀화소 초당 약 6 매의 고속 연사와 60Mbps의 풀 HD 60p 및 개선된 화질의 HDR FHD 영상 등의 다양한 기능 진화를 이뤄냈다. 아울러 명암이 큰 노을이나 풍경 촬영 시 그라데이션도 보다 부드럽게 표현하는 14bit A / D 변환 (16384 계조)을 채용하고 있다. 재미있는 것이 얼마 전 리뷰한 미러리스 카메라 EOS M5를 떠올려보면 같은 DIGIC 7 엔진의 성격이 EOS 800D의 사진에도 비슷하게 반영된다는 느낌을 받았다는 것. EOS 800D가 보급기이기도 하지만 기존 카메라에 비해 좀 더 화사한 느낌으로 인해 카메라 컨셉과 사진이 무척 잘 어울린다는 생각이 들었다. 색감도 보급기에 걸맞게 약간 더 강렬한 느낌. 기존 카메라에 비해 암부 보정 능력도 개선된 느낌을 받았다.



 


EOS 800D로 촬영한 다양한 원본 샘플


EF-S 18-135mm F3.5-F5.6 IS USM 촬영 원본 [18mm, F8.0]  / 중심부 원본 크롭 / 구석부 원본 크롭




EF-S 18-135mm F3.5-F5.6 IS USM 촬영 원본 [18mm, F8.0] / 원본 크롭




EF 40mm F2.8 STM 촬영 원본 [F4.0] / 원본 크롭




EF-S 18-135mm F3.5-F5.6 IS USM 촬영 원본 [78mm, F10.0] / 중심부 원본 크롭 / 구석부 원본 크롭




EF-S 18-135mm F3.5-F5.6 IS USM 촬영 원본 [18mm, F8.0, 5초] / 명부 원본 크롭 / 암부 원본 크롭




EF-S 18-135 USM 렌즈의 쓰임새와 가격 등을 감안할 때 화질도 우수한 편이다. 물론 최대 망원에서는 컨트라스트와 선예도가 다소 저하되지만 디테일까지 크게 훼손시키지는 않는다. 특히 광각부터 중간 화각 까지의 중심부 주변부 화질은 정말 우수하다. 동영상에서도 STM의 부드러운 AF 장점을 흡수한 USM 모터 탑재로 AF 시 소음도 적고 빠르고 정확하다. 무엇보다 EF-S 24mm 팬케이크 렌즈의 화질과 성능이 정말 뛰어나다. 이번에 제대로 사용해보면서 그 우수성을 다시 실감했기에 가성비와 휴대성 면에서 초강력 추천하는 렌즈가 되었다. 게다가 35mm 환산 약 38mm의 초점거리를 지녀, 풍경, 인물, 스냅, 음식 등 다방면에서 걸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초심자들에게도 꼭 권하고 싶은 렌즈다. 이 렌즈 하나 물리고 외출하면 일상의 스냅 용으로 부족할 게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F2.8 최대 개방에서의 화질도 기대 이상으로 뛰어나다. 이토록 가성비가 출중한 EF-S 24mm의 조리개별 해상력 테스트를 아래 첨부해본다.



EF-S 24mm - 조리개별 중심부,주변부,측면부,구석부 해상력 테스트


 


 

항상 렌즈 해상력을 평가할 때 크기와 가격을 감안하기 마련인데 결과물 자체만 놓고 봐도 기대 이상의 우수한 화질이다. 중심부, 주변부, 구석부까지… F2.8부터 좋다. 미러리스 용 EF-M 22mm 렌즈를 빼 닮은 느낌?. EF-S의 디지털 전용 렌즈로서 APS-C 에 최적화 하여 크기, 광학 성능 모든 면에서 팔방 미인인 팬케이크 렌즈다. 수차, 주변부 조도 등 렌즈 보정 항목을 적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테스트를 했기 때문에 조리개 개방에서 주변부 비네팅이 다소 있는데 F4.0만 되어도 충분히 개선되고 F5.6이면 신경 쓰이지 않는다. F5.6에서 전체적으로 가장 뛰어난 해상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중심부의 경우는 F2.8-F4.0 도 아주 훌륭하다. F11.0 이 넘어가면 회절 현상에 의한 해상력 저하가 나타난다.
그러면 활용도가 무척 뛰어난 EF-S 18-135 USM 렌즈의 해상력도 간단히 살펴보자. 이 렌즈 역시 기본 해상력 성능은 충분히 구사한다. 광각에서 왜곡이 좀 있지만 EOS 800D에 탑재된 왜곡 보정이 지원되며 전 줌 영역 조리개 개방 화질도 준수하다. 화각과 크기, 동영상 등에서 상당한 매력의 소유자다. 아래는 이 렌즈의 18mm 광각, 50mm/85mm/135mm의 주요 조리개별 해상력으로서 중간 화각 이후부터는 F11.0까지만 첨부했다. 참고로 광각에서는 최소 조임이 F22.0 이지만 최대 망원에서는 F36.0까지 가능하다.



 


왜곡, 주변 조도, 색 수차, 회절 보정 지원


EOS 800D는 JPEG에서 주변 조도, 색 수차, 왜곡, 회절 보정을 지원한다. 주변 조도나 색 수차 보정 등은 기본으로 켜져 있다



주변 조도 & 색 수차 보정 : EF-S 18-135 USM 광각, F3.5 조리개 개방 주변부


주변 조도 & 색 수차 보정 OFF / 주변 조도 & 색 수차 보정 ON



주변 조도와 색 수차 보정을 켜고 촬영하면 조리개 개방에서도 수차 현상과 비네팅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왜곡 보정도 지원하여 광각에서 왜곡이 신경이 쓰이는 경우 효과적인 보정이 가능하다.(아래)



왜곡 보정 OFF/ON 비교 : EF-S 18-135 USM 광각 18mm



실내 왜곡 보정 챠트 왜곡 보정 OFF/ON 비교



실내 왜곡 보정 챠트 왜곡 보정 OFF/ON 비교



F16.0 회절 보정 ON/OFF 해상력 비교



회절 보정은 조리개 값이 높은 수치에서 저하되는 해상력을 조금 더 개선시켜준다. 작은 차이지만 해상력이 저하되는 F11.0-F22.0 구간에서 이미지를 좀 더 선명하게 가져갈 수 있다. 왼쪽은 EF-S 24mm 렌즈의 F16.0 구간에서의 회절 보정 OFF/ON 비교 이미지다. 




 


기본 지원 감도 ISO 100 - ISO 25600, 최고 ISO 51200 지원


DIGIC 7 엔진을 탑재하면서 기본 지원 감도는 최대 ISO 25600까지 지원하고 확장으로는 ISO 51200까지 가능하다. 고감도 이미지는 기존의 캐논이 보여주었던 디테일 패턴을 보여준다. 고감도에서는 다소 거친 입자감도 느껴지긴 하지만, ISO 12800까지도 전체적인 색 균형을 잃지 않아 고감도에서 인물을 촬영해도 피부톤이 비교적 잘 표현된다. 캐논은 역시 감도 상관 없이 밝은 색감 표현과 자연스러운 인물색이 최대 장점이라는 생각이다. 감도 설정 항목에서 아쉬운 점은 최저 셔터 속도 설정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것이었다.



 

ISO 800 ~ ISO 25600 고감도 샘플 이미지 



 



화사한 발색, 자연스러운 오토 밸런스  


보정 없이도 전반적으로 살짝 화사한 색으로 튜닝된 느낌을 받았다. 맑은날 거리에서 촬영한 생기 발랄한 색은 기분까지 들뜨게 한다. 역시 대중적인 인물색은 캐논의 전통적인 무기. 기존에 보여준 캐논 색감을 이어 받았으며 EOS 5D Mark IV처럼 오토 화이트 밸런스를 두가지로 지원하여 보다 다양한 상황을 대처하고 있다. 피사체 색상에 따른 측광의 변화가 인상 깊다. 전반적으로는 약간은 밝은 측광. 자동 픽쳐 스타일에서 보여주는 진한 풍경색 역시 EOS 800D에서 발휘되는 매력이다. 



 


 

오토 화이트 밸런스는 풀사이즈 바디 EOS 5D Mark IV처럼 분위기 우선과 화이트 우선으로 설정할 수 있다. 분위기 우선이 기본이 되며 화이트 우선의 경우 어두운 실내의 텅스텐 조명 하에서도 피사체의 색 그대로를 표현하려고 한다. 실내에서 발생하기 쉬운 붉은색을 적절히 억제하고 흰색을 흰색으로 재현하는 편. 아래는 다양한 상황에서 촬영한 분위기 우선 과 화이트 우선 AWB의 비교 사진이다



분위기 우선과 화이트 우선의 AWB 비교


분위기 우선 AWB / 화이트 우선 AWB



다소 붉은 것이 신경 쓰일시, 화이트 우선 AWB로 설정하면 붉은 그라데이션을 눈에 띄게 제거할 수 있다. 개인에 따라 약간 붉더라도 따스한 분위기의 실내 사진을 선호하면 분위기 우선 AWB를 활용하면 된다. 사용해보니 화이트 우선 AWB는 식당에서의 음식 사진에 꽤 잘 어울리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화이트밸런스는 자동, 태양광, 그늘, 흐림, 텅스텐, 백색 형광등, 플래시, 사용자 설정(1가지)의 8가지를 지원하고 있으며 색온도는 지원하지 않는다.



화이트 밸런스별 실내 인물과 노을 색


자동 (분위기 우선) / 태양광 / 그늘 / 흐림 (600K) / 텅스텐 / 백색 형광등 / 플래시 /  커스텀 설정 인물 (흰 종이 이용)



초심자분들이 사용하기 좋은 장면 인텔리전트 오토 모드 사용시 환경에 따라 장면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플래시가 팝업 되는데, 내장 플래시 발광에 의한 피부색 또한 자연스러웠다. 



내장 플래시 사용에 의한 실내외 인물색 [장면 인텔리전트 오토 모드, 역광 인물 자동 인식]


플래시 끔 / 플래시 발광








초심자를 위한 ‘안내’ (가이드) 기능


EOS 800D는 초심자도 이해가 쉽도록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적용했다. ‘안내’ 화면으로 설정하면 흰색 배경에 큼직한 아이콘, 그리고 어렵지 않게 필요한 기능만을 빠르게 설정 가능하도록 가이드하고 있다. 촬영 용어나 카메라 용어가 익숙하지 않은 초심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각 기능에 대한 설명, 그리고 사진과 아이콘 및 그래픽을 이용한 UI로 한 눈에 파악이 쉽고 터치를 지원해 화면을 보면서  터치하며 따라하기 좋다.



초심자도 알기 쉽고 설정도 빠른 EOS 800D의 ‘안내’ 화면 기능





 


이걸 보면 EOS 800D가 초심자, 여성들의 입문용을 의식했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는데, 실제 초심자로 돌아가 생각해보면 캐논이 이런 건 참 잘 만든다 라는 생각이 든다. 예를 들어 배경을 몽실몽실 뭉개서 찍으려면 조리개를 개방하고 심도를 얕게 촬영해야 하는데, 카메라에 대해 이해가 부족한 분들은 조리개 조작에 대한 개념 자체를 잘 모르기 때문에 아이콘과 도움말만 보고도 빠르게 응용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고급 사용자들을 위한 기존의 ‘표준’ 화면도 함께 지원한다.



초심자에게 좋은 표시 레벨 ‘안내’ 화면 / 고급 사용자에게 좋은 표시 레벨 ‘표준’ 화면



아래는 조리개 우선 A 모드 에서 화면의 ‘안내’ 가이드 대로 따라하여 조리개 조작을 통해 배경 흐림을 크게, 또는 작게 표현해본 과정을 보여준다.  친절하게도 조리개를 조임시 카메라가 흔들릴 수 있다는 경고와 삼각대 추천등을 조리개 수치에 따라 단계적으로 보여준다.



조리개 우선 A 모드 사용, ‘안내’ 가이드를 보며 배경 흐림을 다르게 촬영 해보기


 


조리개 값 F2.8/F8.0 설정에 따른 배경 흐림 차이 [EF-S 24mm]


조리개 F2.8설정으로 얼굴에 초점 촬영 (인물의 앞 뒤 배경 흐림이 큼)




조리개 F8.0설정으로 얼굴에 초점 촬영 (인물의 앞 뒤 배경 흐림이 작음)




간편하게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촬영 모드


EOS 800D는 초심자들이 카메라에 모든걸 맡기면서 쉽게 촬영할 수 있는  즐거운 촬영 모드가 즐비하다. 장면 인텔리전트 오토, 크리에이티브 필터, 크리에이티브 오토, 스페셜 장면 모드가 그것. 그리고 각 모드에서 색조나 효과의 강도까지 설정할 수 있다.




크리에이티브 필터 는 총 10가지의 효과를 지원하고 있다. 이른바 아트 필터로서 카메라 내에서 강렬한 자체 후보정으로 사진에 재미있는 효과를 부여한다.



거친 흑백 / 소프트 포커스 / 어안렌즈 효과 / 수채화 효과 / 토이 카메라 효과 / 미니어쳐 효과 / HDR 아트 표준 / HDR 아트 비비드 / HDR 아트 볼드 / HDR 아트 양각



각 모드에서 효과의 강도나 색조 등도 지원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표현력은 기본 10가지에서 훨씬 늘어난다.



크리에이티브 필터 ‘토이 카메라 효과’ 에서 3가지 색조 설정 촬영


차가운 색조 / 표준 / 따듯한 색조



장면 인텔리전트 오토는 언제 어디서나 셔터를 누르는 것만으로 선명하게 촬영하는 전자동 모드다. 카메라가 색상과 밝기, 상황 등 주위의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어떤 장면에서도 적절한 이미지를 기록하다. 인물의 경우 자연스러운 피부색으로, 풍경이라면 푸른 하늘과 녹색을 보다 선명하게 마무리한다. 필요시에는 플래시도 자동 발광한다.



인텔리전트 오토 모드의 인물 자동 인식 촬영


프로그램 모드 / 인텔리전트 오토 모드(플래시 자동 발광)



인텔리전트 오토 모드의 풍경 자동 인식 촬영


프로그램 모드 / 인텔리전트 오토(채도와 컨트라스트 상승)



크리에이티브 오토는 색조, 계조, 밝기, 컨트라스트, 모노크롬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정말 다양한 분위기의 사진을 연출할 수 있다


분위기 표준 / 선명 / 소프트함 / 따듯함




강렬함 / 시원함 / 밝게 / 어둡게




모노크롬



역시 각 모드에서 효과의 강도나 색조 등을 세부 지원해 보다 풍부한 표현이 가능하다. 



크리에이티브 오토 ‘모노크롬 효과’에서의 색조 설정


블루 / 흑백 / 세피아


특별한 장면모드 SCN은 일상의 다양한 장면을 더 세분화하여 현재의 장면에 적합한 모드로 선택 촬영할 수 있다. 단체 사진 모드가 새롭게 추가되었는데 조리개를 F8-F11.0 으로 촬영하여 어느 한 인물에만 초점 잡히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장면은 총 7 종류로서 HDR 역광 보정을 제외한 모든 모드에서 밝기 조정(노출 보정)도 가능하다. 


‘특별한 장면 모드’ 설정 화면





일반 촬영과 ‘특별한 장면 모드’ 촬영의 표현 차이


일반 촬영 / HDR 역광 모드 촬영 (DR과 명암 계조가 뛰어남) / 촛불 모드 촬영 (주변을 자연스러운 밝기로 마무리) / 음식 모드 촬영 (보다 깨끗한 색감으로 처리)



특별한 장면모드 역시 일부 장면모드에서는 색조나 노출 보정 등으로 표현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음식 모드 촬영 시의  색조 설정


색조 차갑게 / 색조 표준 / 색조 따듯하게



EOS 800D의 다양한 효과를 적용하여 촬영한 샘플






 


다양한 표현력의 픽쳐 스타일


강렬한 보정이 가미되지 않은 자연스러운 계조를 기본으로 색감과 색조, 계조, 채도 등을 미세하게 조절하여 다양한 유저의 입맛을 만족시켜주는 픽쳐 스타일은 기본 8가지에 사용자 설정 3가지를 저장 불러올 수 있다. 여기에도 오토 모드가 있는데 오토 모드로 풍경 촬영 시에는 채도가 다소 높은 선명한 색으로 표현해준다. 인물의 경우엔 부드럽고 화사한 피부 톤으로 표현한다.  



픽쳐 스타일 별 인물과 풍경 색


오토 / 스탠다드




인물사진 / 풍경




상세 / 뉴트럴




충실설정 / 모노크롬



동영상에서도 픽쳐 스타일을 그대로 활용 가능하다. 아래는 모노크롬 픽쳐 스타일로 촬영한 영상, 그리고 그 아래 샘플은 사용자 설정을 통해 컨트라스트와 채도를 최대로 설정하여 비비드한 색감으로 촬영해본 동영상이다.



픽쳐 스타일 적용 동영상 [1920x1080 60p, 60Mbps, EF-S 18-135 USM]


모노크롬



사용자 설정 (채도 및 컨트라스트 최대 설정)




14Bit RAW 활용


RAW 변환 기본 제공 툴 Digital Photo Professional 4


 

EOS 800D는 약간 어둡게 촬영하고 암부는 보정을 통해 명암을 조화롭게 보정하는 것이 좀 더 유리해 보인다. 전반적으로 이미지가 다소 밝은 편. 때문에, 맑은 날에는 노출을 -0.3~-0.7EV 정도로 낮춰 찍어도 무난하다. 역시 고급 사용자라면 14Bit RAW 활용이 개인 취향 화질 컨트롤 면에서 좋다. EOS 800D의 RAW 파일은 촬영 사진에 따라 25~45MB 용량을 나타낸다. 아래 명부와 암부를 살펴볼 수 있는 JPEG, 그리고 RAW 변환 이미지를 첨부해본다. 



촬영 원본 및 RAW 변환 이미지


촬영 원본 (EF-S 24mm) / RAW 보정 변환 / 촬영 원본 (EF-S 18-135 USM) / RAW 보정 변환 / 촬영 원본 (EF-S 18-135 USM) / RAW 보정 변환




자동 밝기 최적화 & 하이라이트 톤 우선 


자동 밝기 최적화는 명암이 큰 사진에서 대비를 자연스럽게 보정하고 우수한 계조로 마무리 하는 기능이다. 끔/저/표준/고 의 4단계로 설정 가능. 명부 디테일 보존을 우선으로 하는  하이라이트 톤 우선 기능은 구름, 설경, 인물 촬영 등에서 발생하기 쉬운 화이트 홀 등을 방지해준다. 하이라이트 톤 우선 기능은 다이나믹 레인지 성능을 위해 ISO 200부터 사용 가능하다.



자동 밝기 최적화


끔 / 고




하이라이트 톤 우선


끔 / 설정 / 명부크롭 / 명부크롭




Bluetooth / Wi-Fi / NFC 탑재 더욱 편리해진 사진 공유


 

Wi-Fi와 NFC 외에 Bluetooth를 지원함으로써 항상 스마트 폰과 연결된 상태를 실현했다. 새롭게 탑재된 Bluetooth 기능으로 스마트폰 접속이 빨라지며 카메라와 한 번 페어링 되면 스마트 폰과 저전력으로 상시 접속되어 스마트 폰에 의한 리모콘 기능을 빠르게 이용할 수 있다. 전원을 켜는 것만으로도 접속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카메라 후면의 버튼에 의한 무선 접속 설정도 빠르다. 캐논 Camera Connect 어플리게이션에 의한 최초 블루투스 접속 실행 시 서툰 초심자들을 위해 친절하게 안내까지 해준다. 카메라와 스마트폰 무선 연결을 한번도 해본 적이 없는 분이라도 화면을 보며 하나씩 따라 하기만 하면 걱정 없이 페어링이 이루어진다. (아래)



EOS 800D와 스마트 폰의 블루투스 페어링 접속 안내 화면




원활하고 빠른 무선 접속 기능에 의해 카메라 내 이미지 확인, 원격 라이브 뷰 촬영, 사진과 동영상 전송, Connect Station 저장 등 다양한 공유 기능을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1TB 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옵션 액세서리 Connect Station CS100 은 EOS 800D와 NFC 무선 접속 방식으로 무선 사진 저장이 가능하며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대형 TV로 편리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본체에 메모리 카드 슬롯도 갖추며 CS100 두 대 간의 송/수신과 Wi-Fi 를 이용한 무선 프린트도 지원한다. 



블루투스 접속에 의한 스마트폰 무선 제어 기능 / 다양한 공유 활용 / Connect Station (커넥트 스테이션) CS100



스마트 폰 무선 접속 밎 카메라 내 이미지 재생, 휴대폰 무선 전송




Wi-Fi/NFC 기능도 지원하여 블루투스가 아닌 NFC 지원 스마트 폰과 카메라의 터치에 의해 사진 및 동영상 원격 촬영과 공유가 빠르게 이루어지며 NFC에 대응하지 않는 휴대폰 역시 WiFi로 간편하게 접속이 가능하다. 원격 촬영 시에는 촬영에 관한 기본 옵션 설정 및 화면 터치에 의한 AF 등이 가능하다. 화면 터치 AF시 반응 속도는 다소 느린 감이 있었다.



스마트 폰 원격 라이브 뷰 촬영






 



EOS 왕자의 화려한 귀환, DSLR 입문가를 위한 추천 1순위 DSLR


EOS 800D를 사용하면서 가장 크게 다가왔던 점은 EOS 라인업의 경계까지 깨뜨릴, 기세 등등의 DSLR 이라는 것. 과연 이것이 보급기 라인업이 맞나? 싶었다. 크기, 성능, 편의성, 화질로 인해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추천하기 좋으며 일상의 패밀리 카메라로서도 매력적 요소가 많다. 듀얼 픽셀 CMOS AF 탑재와 DIGIC 7 엔진에 의한 쾌적한 라이브 뷰 성능, 45점 올 크로스 AF의 뛰어난 광학 뷰 촬영 성능에 의해 미러리스 급의 편리한 촬영 감과 DSLR만의 특권 모두 누릴 수 있다. 이 시리즈의 프리앵글 액정도 제 주인을 만난 듯 액정 활용도가 높아진다. 동일 라인업 상에서는 풀체인지 급의 완전히 새로운 세대로 느껴졌다. 표준 줌과 함께 100여 만원 정도의 DSLR을 찾는다면 EOS 800D 만큼의 좋은 선택지도 없다.



 

EOS 800D는 미러리스가 일상을 사로잡고 있는 현 시대에 보급형 DSLR이 가야 할 길이 무엇인지 그 해답을 명쾌하게 보여준 듯 하다. 왜 이제서야 보급기에 듀얼 픽셀 CMOS AF를 탑재 했는지 의문을 던지는 분도 있겠지만 그 동안의 행보를 감안하면 캐논으로서는 과감한 선택이기도 하다. 물론, 앞으로 더 좋아질 수 있는 여지도 많다. 필자의 경우는 주로 라이브 뷰 촬영 쪽이었는데 아무래도 이전 기종에 비해 라이브 뷰 활용률이 높았기 때문인 듯 하다. 미래에는 더 뛰어난 동영상 스펙 도입이나 라이브 뷰 촬영에서의 인터페이스를 더 편리하게 다듬어가면 더 무서운 존재가 될 것 같았다. 물론 캐논 미러리스 카메라 라인업의 차별화된 전략도 병행될 필요가 있다. 미러리스가 부럽지 않은 카메라다운 카메라. 주위의 DSLR 입문자에게 주저 없이 1순위로 추천할 수 있는 카메라. 이 것만으로도 EOS 800D의 파워는 막강하다. 







 




신나는 디지털 놀이터
팝코넷(http://www.popco.net)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실사용 리뷰] 강아지 고양이 함께 키우는 집 추천파우시 3L & 4구 자동급식기건식 습식 모두 완벽 관리급식량 오류 주의사항까지 총정리 동영상 있음 진블로그
[시승기] 55인치 디스플레이 탑재 및 편의 개선으로 탈바꿈...‘더 뉴 에스컬레이드’ IT동아
이봉원의 봉짬뽕, 여경래 깐풍기, 카다이프 케익~ 4월 마지막 주 편의점 신제품 리뷰 동영상 있음 맛상무
디멘시티 8300을 탑재하고 돌아온 앤버닉의 RG557 등장! 동영상 있음 무적풍화륜
이가격 실화? 28만원대 13인치 LTE 초대형 태블릿? 직접 써본결과 월드프리미엄 BLACK VIEW MEGA8 태블릿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기아 최초의 정통 픽업 ‘타스만’, 온오프로드 모두 달려보니 동영상 있음 모터피디
가격은 내려갔는데 과연 성능은? 코파 퓨어 3 프로 TF 실착 리뷰 동영상 있음 Allthatboots TV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연비, 성능 모두 실패작이다?"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가격이 99.7% 나락가서 똥값이 된 CPU 동영상 있음 민티저
[리뷰] '헬스장 갈 시간 없다'는 핑계는 그만! 인공지능 홈트레이닝 설루션 '트랙미' (1) IT동아
Quiet Noctua Gaming PC Build | NHD15 G2 | Antec Flux | 9800X3D & RX 9070 XT | TCreate Expert 동영상 있음 PC SNAP
갤럭시 S25 시리즈 한 달씩 써 본 후기 (2) 동영상 있음 UnderKG
페라리가 스스로 중고 페라리를 사라고 하는 이유 동영상 있음 Motorgraph
[e제품] 극한의 가성비! ASRock B850M-X R2.0 메인보드 위클리포스트
오토스 자동면 업체측에서 연락이 왔습니다. 제 입장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동영상 있음 공구왕황부장
[리뷰] 하루 한 번이라도 운동을 한다면 꼭 봐야 할 워치. Amazfit Bip 6이 근육 추적부터 오프라인 지도, 하이록스 모드까지 전부 갖췄습니다. 런칭 특가 좋은 타이밍 동영상 있음 진블로그
쇼츠에서 지겹게 본 지브리 스타일 말고 피규어 패키지는 어때?! (1) 동영상 있음 다나와
압도적인 성능 적수가 없다, ASUS ROG STRIX SCAR 18 G835LX-SA041W 노트포럼
조금은 욕심 부려도 되잖아, GAINWARD 지포스 RTX 5060 Ti 파이썬 III 16GB 보드나라
25년 삼성 에어컨 딱 4개 찍어드립니다! 500여개 모두 비교하고 내린 결론! 동영상 있음 노써치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