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파나소닉 미러리스 최상위 플래그십 카메라 Lumix GH5 리뷰 동영상 있음

팝코넷
2017.05.19. 10:25:00
조회 수
10,613
5
댓글 수
7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Panasonic

Lumix GH5
 
새로운 경계로의 탐험
 
 
 


 
파나소닉 미러리스 최상위 플래그십 카메라 GH5가 영상&사진가들을 위해 세계 최강의 미러리스 머신으로 돌아왔다. 파나소닉 GH하면 영상 업계에서는 프로페셔널 무비 카메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엄연히 렌즈 교환식 미러리스 카메라 카테고리로서 강력한 영상 스펙과 인터페이스는 기본이요, 사진에서도 플래그십 카메라 다운 뛰어난 퍼포먼스를 지니고 있다. 미러리스 카메라 사상 세계 최초의 4K 60P 동영상 기능과 4:2:2 10-bit 메모리 녹화를 지원. 그리고, 6K Photo 기능으로 약 18MP 화질을 30fps로 촬영이 가능하다. 영상 분야에서 워낙 유명한 카메라 이기에 이미 해외에서는 다양한 촬영 샘플들을 통해 그 성능을 입증 받고 있다. 팝코넷 리뷰는 다른 미러리스 카메라 리뷰처럼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의 활용에 무게를 실었음을 미리 밝히며, 리뷰에 사용된 바디가 정식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실 제품과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을 가능성을 염두 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리뷰에 사용된 GH5 카메라는 비정식 샘플기로서 실제 판매 제품과 성능과 화질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리뷰에 첨부된 GH5 촬영 샘플은 후보정이 없는 리사이즈 본입니다.
* 리뷰에 첨부된 GH5 동영상 샘플은 유투브 업로드 과정에서 화질이 다소 저하되었습니다.
* GH5 샘플 촬영은 아래의 렌즈들을 사용했습니다.

- LEICA DG VARIO-ELMARIT 12-60mm F2.8-4 POWER OIS (이하 Leica 12-60으로 표기)
- LEICA DG VARIO-ELMAR 100-400mm F4.0-6.3 ASPH. POWER OIS (이하 Leica 100-400으로 표기)
- LEICA DG NOCTICRON 42.5mm F1.2 ASPH. POWER OIS (이하 Leica 42.5mm 로 표기)
- LUMIX G X VARIO 35-100mm F2.8 POWER O.I.S.(이하 X35-100으로 표기)
- LEICA DG SUMMILUX 25mm/F1.4 ASPH (이하 Leica 25.4로 표기)
- LUMIX G VARIO 7-14mm F4.0 ASPH (이하 7-14로 표기)

 
 


 
- 4K 60P Movie -
- 6K / 4K Photo -
- 로우패스 필터 제거 2,033만 화소 Live MOS -
- 최대 5스탑 보정의 Dual I.S.2 -
- DFD 기술, 225개 포인트 AF 시스템 / 0.05초 AF -
- 최대 초당 12매, 동체 추적 초당 9매 연사 -
- 1.52배 (35mm 환산 0.76배) 약 368만 화소 유기 EL LVF -
- ISO 200 ~ ISO 25600 감도 범위 (확장 ISO 100) -
- 3.2인치 3:2 162만 화소 프리앵글 터치 모니터 -
- Bluetooth / WiFi 내장 -

 
 


 
3년의 기다림이 무색하지 않게 미러리스 카메라 부문 세계 최초의 4K 60p 동영상과 6K Photo 와 4 : 2 : 2 10bit 메모리 녹화 기능을 탑재했다. 동영상 머신 답게 4K 60p를 메인으로 내건 만큼 GH5 역시 카메라 업계에서는 최강의 동영상 성능을 뽐내고 있다. 4K 60p 영상과 6K Photo를 지원하고도 합리적인 가격을 선보인 이유에 대해 파나소닉은, 컨슈머 용으로서 가격을 어느 정도 합리적으로 제한하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이라고 인터뷰 한 바 있다. 그만큼 GH5는 괴물급 성능을 지녔음에도 우리에게 최대한 부담스럽지 않게 다가오려 노력했다. GH4에 비해 출시가는 다소 높아졌지만, 영상 전문가 입장에서 볼 때 캠 장비 가격을 감안하면 충분히 납득이 가는 가격과 스펙으로 평가받는다.
 
 


 
동영상뿐 아니라 사진 슈팅을 모두 포함하여 파나소닉 미러리스 최신 기술이 모두 집약됐으며, 조만간 4월 및 여름 등을 거쳐 400Mbps ALL-Intra 를 비롯, 더욱 화려한 스펙으로 거듭난다. 풀픽셀 리드 아웃 방식으로 크롭을 없애고 롤링 셔터 왜곡을 줄였으며 바디와 렌즈의 진화된 손떨림 보정 기술 Dual IS 2는 동영상 및 사진 촬영 시 보다 안정된 영상을 제공해준다. 약 18MP로 30fps 촬영이 가능한 6K Photo는 미래의 4K 이상 구현을 위한 잠재된 파워로서 3:2 / 4:3 비율로 제한되지만 6K Photo 촬영 시엔 지금까지 DSLR/미러리스 카메라가 구현한적 없는 4K를 뛰어 넘는 초 고화소 영상이 메모리에 기록되는 카메라다. 그리고, 사진에서의 동체 추적 9fps 연사 성능역시 한컷 한컷 소중하게 간직하려는 혼이 느껴졌다. 같은 DFD라도 GH5의 슈팅 성능의 완성도는 차원이 다르다. 공간 인식, 움직임 벡터, 컨트라스트 AF의 빈틈 없는 조화는 확실한 세대 진화를 어필하며 완벽에 가까운 슈팅 성능을 뽐내고 있었다.

솔직히 GH5는 리뷰로 다 표현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GH5를 기대하고 있는 분들에게 미안함이 먼저 앞서는 카메라였다. 단지, 본 리뷰가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는 정보가 되어주길 바랄 뿐이다. 그러면, 다가가는 것 조차 조심스러운 이 괴물 카메라와 한걸음씩 친해져 볼까?

 
 
 
GH5 부위별 명칭










 
 
 
 
강성과 견고성을 겸비한 고품질 디자인
방한 기능이 추가된 방진 방적 설계

 
 
 




 
DSLR 급의 묵직한 그립감으로 조작 반응 속도가 상당히 뛰어나며 파인더 사용시 안정감도 좋아 촬영에 집중할 수 있다. 마그네슘 합금 소재로 강성과 견고성이 뛰어나다. 후면의 새로운 조이스틱 탑재, 잠금 장치가 마련된 금속 다이얼, 빠르게 설정 가능한 드라이브 다이얼, 돌기 사용 및 높이를 달리 하여 보지 않고도 원하는 버튼을 찾기 쉬운 상단의 버튼들, 전면(상단)/후면 커맨드 다이얼과 휠 다이얼, 조작감이 뛰어난 프리앵글 터치 액정 등 화려하고 완벽에 가까운 인터페이스를 추구했다. 아울러 기존에 비해 내한 성능을 높인 방진 방적 바디로 설계되어 새로운 고성능 표준 줌 LEICA 12-60과 함께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된 촬영을 즐길 수 있는 신뢰성을 준다.
 
 


 
 
 
 
고화질 368만 화소 OLED 뷰 파인더
파인더 집중을 위한 조이스틱 탑재

 
 
 
4매 구성의 렌즈를 채용한 0.5인치 약 368 만 화소의 압도적 해상도 성능의 라이브 뷰 파인더를 탑재. 응답 속도가 빠르고 쾌적한 유기 EL (OLED) 디스플레이로 지연 시간을 느끼기 힘든 약 0.01 초의 고속 표시가 가능하다.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를 현실감 있게 파악이 가능하고 약 10000 : 1 이상의 높은 명암비 성능으로 피사체의 세세함에 이르기까지 풍부한 계조로 뷰가 된다. 약 1.52 배 (35mm 환산 : 약 0.76 배)의 파인더 배율과 약 100 %의 시야율, 대형 아이컵과 아이 포인트 21mm로서 안경 착용자도 시원시원하게 볼 수 있다.
 
 



실제 파인더를 들여다 보면 야외에서는 약간 어둡게 느껴지는 감도 있지만 계조가 정말 뛰어나고 시원한 크기를 지녀 기존 카메라들에 비해 보다 현실감 있는 EVF를 실감할 수 있다. 또한 새롭게 절전 LVF 촬영 모드를 지원. 아이 센서로부터 뷰 파인더에서 눈을 떼었을 시 3/5/10 초 후에 자동으로 절전 모드가 되도록 설정 가능한데 이렇게 하면 촬영 가능 매수를 약 400 매에서 약 1000 매까지 늘릴 수 있다.
 
 


 
엄지 손가락으로 조이스틱을 사용, 클릭 및 방향 전환을 통해 초점 영역을 빠르게 움직일 수 있어 뷰파인더 뷰 상황에서도 AF 조작이 쉬워진다. 조이스틱으로 방향 조작을 하는 즉시 AF 영역이 활성화 되고, 클릭하면 정 중앙 위치로 돌아온다. 물론 조이스틱에도 사용자 기능 설정이 가능하다. 단, 대각선으로는 움직이지 못하고 4방향으로만 가능하며, 필자처럼 손이 작은 경우에는 조이스틱 위치가 다소 먼 감이 들기도 한다. 소프트한 조작감을 지니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동영상 촬영의 경우 화면 터치로도 AF 영역을 변경할 수 있지만 터치 대신 조이스틱을 사용해도 조작 소음이 적은 것이 장점이다.
 
 
 
 
 
대형 3.2 인치 고화질 약 162 만 화소 프리 앵글 모니터
 


 
GH5는 모든 것에 최상의 인터페이스를 추구했다. 3.2인치 약 162만 화소 터치 지원 모니터 채택. LUMIX로서는 처음으로 RGBW 대응 모니터를 탑재하여 기존의 RGB 방식과 비교시 RGB 이외에 W (화이트)도 포함한 화소 구조로 최대 휘도가 GH4 대비 2 배 이상이 되어 야외 시인성이 더욱 높아졌다. 때문에 밝은 촬영 환경에서도 확인하기 쉽고 장시간 촬영이 많은 전문 사진 작가들에게도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프리앵글 방식과 터치 지원으로 모니터의 각도를 자유 자재로 조정, 가로/세로 로우앵글, 하이앵글 등 촬영의 폭이 넓어진다.
 
 


 
아울러 뷰파인더 뷰 상태에서도 터치 조작으로 AF 위치를 움직일 수 있는 터치 패드 AF도 가능하다. 특히, 프리앵글 방식의 액정으로 인해 액정을 왼쪽으로 펼치고 사용하면 파인더 뷰 중에 액정이 코 등에 닿아 터치 조작이 되는 염려를 베제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패드 AF 기능이 신경쓰이면 기능 자체를 끄면 된다.
 
 



터치 패드 AF / 터치 셔터 / 터치 AF 및 터치 AE / 터치 줌 (전동 줌 렌즈 사용시)

 
 
 
 
 
듀얼 SD 카드 슬롯 채택
 
 


 
UHS-I / UHS-II 스피드 클래스 3 (U3) 규격 SDHC / SDXC 메모리 카드에 대응하는 2개의 SD 카드 슬롯을 탑재하여 순차적 기록, 백업(동시) 기록, 배분 기록 등이 가능하다. 아울러 올 여름 펌웨어를 통해 비디오 속도 클래스의 SD 카드 대응 예정으로서 4K의 All-Intra (400Mbps) 기록이 가능해진다.
 
 


 
 
 
 
직관적이고 응답성이 뛰어난 다이얼/버튼 조작
편리한 메뉴 구조 및 My 메뉴 지원

 
 


 
조리개와 셔터 스피드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커맨드 다이얼을 바디 그립 상부 검지부와 후면 엄지부에 2 개를 탑재. 안정감 있게 그립한 상태에서 뷰 파인더에서 눈을 떼지 않고 피사체에 집중하면서 다이얼을 조작할 수 있다.
 
 


 
수동 조작시 사용되는 전 후 다이얼에 조리개와 셔터스피드, 조작 방향, 그리고 A/P/S 모드 시의 노출 보정을 하나의 다이얼에 할당할 수 있다. 노출 보정을 할당하지 않으면 A/S 모드에서는 전,후 다이얼 모두로 조리개나 셔터스피드를 조작할 수 있고, P모드에서는 프로그램 시프트 조작이 된다.

또한, 상단의 Fn1 버튼을 누르면 전후 다이얼을 이용해 할당 기능을 일시적으로 변경 가능해 메뉴 화면에서 기능을 호출하는 번거로움 없이 버튼 하나로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Fn1 버튼을 통해 활성화 되는 전 후 다이얼 할당 기능 역시 사용자가 지정 가능하다.

 
 


 
왼쪽 상단에 위치한 드라이브 모드 다이얼에 단사와 연사, 인터벌 촬영, 셀프 타이머 외에, 6K 포토 모드와 포스트 포커스 선택 모드를 마련했다. 다이얼을 통해 드라이브 모드를 즉각 전환 할 수 있다. 또한 오른쪽 상단에 위치한 모드 다이얼에는 오 조작을 방지하는 다이얼 조작 잠금 버튼을 마련 했으며, P / A / S / M 크리에이티브 동영상 모드, 사용자 정의 1,2,3, 크리에이티브 컨트롤, iA(인텔리전트 오토)의 10가지 촬영 모드를 탑재하고 있다.

후면에 탑재된 휠 다이얼은 크기가 상당히 크고 회전 시 클릭감이 정교하고 만족스럽다. 사이즈 역시 GH4에 비해 두께 등이 증가하여 본인이 조작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민첩하고 정교한 조작이 기능하다. 메뉴나 수치 조작 등 아주 다양하게 활용된다. 단, 조리개나 셔터스피드 조작을 할당할 수는 없다.

 
 

휠 다이얼 조작 / 커맨드 다이얼 조작 / AF 모드 다이얼 조작

 
 


 
기본 설정 항목과 관계없이 자신의 취향과 스타일에 맞게 탭 중 하나를 본인이 직접 구성 할 수 있는 마이 메뉴를 새롭게 탑재하여 자주 사용하는 설정 기능만을 등록해두면 여러 메뉴 항목에서 찾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DISP. 버튼으로 설정 항목의 정보를 화면에 텍스트로 표시 가능하다. 메뉴 조작 중 잘 모르는 설정 항목이 있는 경우 DISP 버튼을 누르면 해당 설정의 기능을 화면에 텍스트로 표시 할 수 있다. 메뉴에서 잘 모르는 항목이 있는 경우 매뉴얼 없이도 기능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영상 촬영을 전문으로 하는 곳이면 여러 대의 GH5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이 때 SD 카드를 통해 카메라의 설정을 통일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여러 대의 GH5을 사용하는 경우 카메라 하나에 설정을 한 후 동일한 설정을 다른 GH5에 반영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촬영 기능을 할당 할 수 있는 20개의 기능 버튼을 탑재하고 있다. 기능 버튼은 본체 전면 1 개, 윗면 1 개, 후면 4개, 터치 영역 내 5 개, 그리고 조이스틱 상하 좌우와 휠 다이얼 커서 상하 좌우의 4개로 카메라 전반에 걸쳐 폭넓게 배치되고 있어 사용자 스타일에 맞게 기능을 할당하여 원활한 촬영 동작이 가능해진다. 설정할 수 있는 82항목의 기능 중 사용 빈도가 높은 기능을 기능 버튼에 적당히 등록 해두면 메뉴에 들어가는 일이 줄어들고 원하는 기능을 바로 호출 할 수 있다.
 


 
 
 
 
단단하고 고급스러운 외관
 
 
 
GH5가 마이크로 포서즈 시스템의 미러리스 카메라이지만 바디 전체 크기는 컴팩트하고 가볍다고 말할 수는 없다. GH4에 비해 약 165g 무게가 늘어났다. 물론 미러리스 카메라임이 의심될 정도로 크고 무겁지만 성능을 감안하면 플래그십다운 크기라는 생각. 타사의 APS-C DSLR과 비슷한 수준. 반면 그립감이나 조작성, 촬영감이 상당히 뛰어나며 렌즈가 컴팩트 하다는 큰 장점이 있다. 35mm 환산 24-120mm에 달하는 LEICA 12-60 렌즈를 물려도 휴대성에 지장을 주지는 않는다. 이번에 새롭게 발매된 LEICA 12-60 렌즈는 GH5용뿐 아니라 다른 파나소닉 바디 유저들 모두가 탐내고 있는 표준 줌 렌즈다.
 
 
 
GH5 (LEICA 12-60) vs GX85 (X 12-35)
 


 
GH5 (LEICA 12-60) vs EOS 800D (18-135mm)
 


GH5의 다양한 렌즈 조합시 무게 (측정 오차 : -2g ~ +2g)
 

Body Only / 배터리+메모리 2개 포함 / LEICA 12-60 촬영시 /

LEICA 100-400 촬영시 / LEICA 42.5mm 촬영시 / LEICA 25.4 촬영시 /
X 35-100 촬영시 / X 12-35 촬영시 / Lumix 7-14 촬영시
 
 


 
배터리는 DMW-BLF19 를 사용하는데 LEICA 12-60 렌즈 기준으로 파인더 촬영 400매, 그리고 모니터 촬영 410매의 성능을 지니고 있다. 앞서 설명한 절전 기능을 이용하면 최대 1000매 촬영도 가능하다. 기본 포함된 충전기에 의한 충전 방식으로서 USB 충전은 지원하지 않는다. 사용해보니 동영상 촬영 용도가 높은 카메라임을 감안할 때 여분의 배터리 하나는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좋다는 생각이다. 모니터 사용으로 영상 촬영시 연속 촬영 가능한 배터리 성능은 약 160 분 [AVCHD (FHD / 60p)에서], 약 120 분 [MP4 (4K / 30p / 100Mbps)에서] 수준이다. 연속 촬영이 아닌 실 촬영 성능은 약 절반 수준이라고 보면 된다.
 
 




 
 
 
 
미러리스 세계 최초! 4K 60p 영상 지원
크롭 없는 풀 픽셀 리드아웃 녹화


 
 
GH5는 미러리스 카메라로 전문 영상 촬영 영역을 넓히는 혁신을 이뤄냈다. FHD에 네 배에 달하는 4K(3840x2160) 화질로도 60p의 매끄러운 영상을 실현. 그동안 FHD 에서만 가능했던 60p를 4K 화질로 구현한 것이다. 또한, 보다 풍부한 색상 프로파일을 지닌 4K 4 : 2 : 2 10bit의 SD 카드 기록을 지원한다. [30p 이하] 게다가 올 여름 펌웨어에 의해 보다 고화질로 기록 할 수 있는 400Mbps ALL-Intra 를 지원할 예정으로 또한번 미러리스 카메라의 무비 역사를 화려하게 장식하고 있다.
 
 
 
4K 3840x 2160 / 60p, 150Mbps, 4:2:0 8bit [LEICA 12-60, 얼굴 인식 AF]
 

 
 
또한 GH5 센서와 엔진의 월등한 진화로 인해 센서를 크롭하지 않고 센서 전역을 사용한 4K 촬영을 실현하여 기존 카메라들의 4K 기록시 크롭되는 아쉬움을 깨끗하게 해결했다. 결국 GH5는 4K 영상도 렌즈 본연의 화각으로 넓게 담아낸다. 더불어 센서를 통한 많은 정보량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4K 기록뿐 아니라 FHD 에서도 보다 선명하고 리얼한 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현재는 최고 비트레이트가 150Mbps지만 4월과 올 여름의 펌웨어를 거쳐 최대 400Mbps 지원의 완전 체가 될 예정. 4K 화질에서 60p와 4:2:2 10bit 내부 기록은 미러리스 카메라에서는 역사적인 일이다. 프레임은 포맷별로 너무 다양해서 일일이 나열하기도 힘들 정도. 각 포맷별로 지원하는 프레임에 대한 보다 자세한 스펙은 파나소닉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지원 파일 포맷은 4가지로 나뉜다. 고화질 TV 등에서 재생 시 적합한 AVCHD, PC 등에서 재생 시 적합한 MP4, 그리고 고화질 영상으로 편집을 위한 데이터 형식인 MP4 (LPCM)과 MOV로 지원하고 있다. 현재의 포맷별 지원 프레임은 아래와 같다. [모두 메모리 녹화 기준]
 
 
 
MP4 (LPCM) / MOV 포맷 선택 시 동영상 지원 프레임
 


 
MP4 포맷 선택 시 동영상 지원 프레임
 


 
AVCHD 포맷 선택 시 동영상 지원 프레임
 


 
아나모픽 (4:3) 동영상 지원 프레임
 


 
참고로, 256GB 용량의 메모리로 150 Mbps 녹화시 약 220분 녹화 가능하며 100 Mbps 영상의 경우 약 340분 녹화가 가능하다.

추후 펌웨어에 의해 최대 400Mbps 를 지원할 예정. 펌웨어에 의해 지원될 주요 프레임은 아래와 같다. [모두 메모리 녹화 기준]

 
 
 
4월과 여름, 펌웨어로 업그레이드 되는 추가 지원 프레임
 


 
4K 화질로 60p를 지원하는 것은 고화질+부드러운 영상 표현에 효과적이다. 4K Photo 역시 60fps로 지원하여 필요 시에는 역동적인 장면의 중요한 컷을 놓치지 않고 고화질 사진으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촬영중 카메라를 움직일 시에도 화면이 훨신 매끄럽게 전환된다.
 
아나모픽 모드는 크리에이티브 동영상 모드(M) 에서 사용 가능하며 4K 영상 화질로 기록한 4:3 비율의 영상을 16:9 화면 비율로 최적화 할 수 있도록 편집 가능한 모드이며 이 모드에서는 4K 의 모든 고해상도와 뛰어난 화면을 결합할 수 있다. 아나모픽은 펌웨어를 통해 6K급 (4992x3744 / 30p) 도 지원할 예정이다.
 
 
 
아나모픽 4K 영상(4:3) 3840x 2160 / 60p, 150Mbps, 4:2:0 8bit [LEICA 12-60]
 

 
 
아래는 C4K 4:2:2 10bit vs C4K 4:2:0 vs FHD 4:2:0 8bit 의 비교 영상으로서 그 아래 해당 영상의 캡쳐 이미지의 크롭 화질도 첨부해보았다. 사실, 10bit와 8bit 는 캡쳐 크롭 화질로는 체감이 잘 안되기 때문에, 동영상 원본을 다운 받아 동영상 보정 툴에 의한 보정 범위 비교나 크로마 비교 등을 해보는 것이 더 확실하다.
 
 
 
C4K 4:2:2 10bit vs C4K 4:2:0 8bit vs FHD 4:2:0 8bit 영상 비교
 

4:2:2 10bit : C4K 4096x 2160 / 24p, 150Mbps, [LEICA 12-60 LENS, MP4]
 
 

4:2:0 8bit : C4K 4096x 2160 / 24p, 100Mbps, [LEICA 12-60 LENS, MP4]
 
 

4:2:0 8bit : FHD 1920x 1080 / 24p, 100Mbps, [LEICA 12-60 LENS, MP4]
 
 


 
 
 
 
미러리스 세계 최초 4:2:2 10-bit 메모리 녹화 지원
 
 
 
GH4에서는 외부 레코더를 필요로 했던 4 : 2 : 2 10bit 을 GH5에서는 SD 카드에 기록 할 수 있다. 외부 레코더가 필요 없기 때문에 보다 빠른 기동성을 확보하면서 고품질 영상을 기록할 수 있으며 듀얼 메모리 슬롯을 통해 2개의 SD 카드에 백업 동시 저장도 가능하다. 4 : 2 : 2 10bit 기록은 4 : 2 : 0 8bit에 비해 2배의 색 정보와 128 배의 정보량을 지닌 기록 방식으로서 방대한 색상 정보를 이용, 컬러 그레이딩 시의 미묘한 색상 표현과 역동적 색상 등 고급 편집에 대응한다. CG 합성 용으로서도 높은 퀄리티를 유지할 수 있어 영상 제작 분야에서는 상당히 유용한 스펙이다.
 
 


 
기존 동영상 기록 방식 4 : 2 : 0은 4 개의 Y(밝기 정보)에 대해 B (블루) · R (레드) 색상 정보를 각 1 개 보유하고 있었던 반면 GH5는 4개의 휘도 정보에 대한 2배의 색 정보를 보유하는 영상 방식인 4 : 2 : 2로 진화 되었다. 4 : 2 : 0에 비해 색상 정보를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기에 피사체의 질감과 색상을 더 충실하게 재현한다. 또한 VFX에서 사용되는 크로마키 촬영 시에도 모서리 부분이 부드럽게 표현되어 합성 시에도 보다 아름다운 표현을 가능케 한다.
 
 
 
4:2:2 10bit 녹화 영상
 

4K 3840x 2160 / 30p, 150Mbps, 4:2:2 10bit [7-14 LENS, MP4]
 
 

C4K 4096x 2160 / 24p, 150Mbps, 4:2:2 10bit [LEICA 12-60 LENS, MP4]
 
 
4:2:2 10bit C4K 녹화 영상 캡쳐 JPG 이미지 4096x 2160
 


 
 
 
 
AF 감도/속도 사용자 설정 지원
자연스러운 AF 반응 속도

 
 
 
개인적으로 가장 궁금했던 것이 바로 4K 영상에서의 유동적인 AF 속도였다. 필자는 물론이요 일반 소비자들의 경우에는 이 성능이 특히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 결론만 얘기하자면 4K 24p/30p 에서도 개선되었으며, 4K 60p 영상에서는 높은 프레임으로 인해 보다 쾌적하고 빠르게 자동 초점에 대응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는 한결 좋아진 셈이다.
 
 
 
4K 3840x 2160 / 60p, 150Mbps, 4:2:0 8bit
 

[LEICA 12-60, 얼굴 인식 AF 설정]
 
 
GH5는 사진과 동영상에서 AF 속도와 피사체 변경에 의한 감도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동영상의 경우는 AF 속도와 AF 감도를 설정 가능한데, AF속도는 -5부터 +5까지 11단계, 그리고 AF감도는 -3부터 +3까지 7단계로 지원한다. AF속도는 초점 잡는 자체의 속도에 해당하며, AF감도는 피사체 변경 시 카메라가 초점 작업을 기다리는 정도를 설정한다. –수치면 기다림이 길어지고 +면 기다림이 짧아진다.
 
 


 
 
4K 영상 촬영 중 화면 터치에 의한 AF 반응 성능 [LEICA 12-60]
 

[AF속도 +5, AF감도 +3 설정, 3840x 2160 / 60p, 150Mbps, 4:2:0 8bit]
 
 
4K 동영상 촬영 중 화면 터치에 의한 반응 속도 또한 양호하다. 이 역시 AF 속도 설정에 따라 반응이 빨라지고 느려진다. C4K 24p / 4K 24p,30p 등에서는 속도를 약간 빠르게 설정하고 4K 60p 에서는 표준으로 놓으면 전반적으로 자연스러운 속도를 보여줄 것이다. AF 사용자 설정을 몇 가지로 세팅하여 저장하고 불러올 수 있으면 더 좋을 듯 하다.
 
 
 
얼굴인식 AF 성능 [LEICA 12-60]
 

[3840x 2160 / 60p, 150Mbps, 4:2:0 8bit]
 
 
인물 촬영 시 얼굴 인식 AF 성능도 우수하다. 화면 속에 인물이 등장하지 않는다 해도 멀티 AF로 상황에 따라 자연스럽게 반응하며 얼굴 인식 AF 상태에서도 화면 터치에 의한 별도의 AF 위치로 초점 설정이 가능하다. 그야말로 동영상 인터페이스에서는 만능에 가까운 수준이다.
 
 
 
3840x 2160 / 60p, 150Mbps, 4:2:0 8bit [LEICA 12-60]
 

 
 
 
 
 
퀵 모션, 슬로우 모션의 VFR 가변 프레임 지원
 
 
 
GH5는 슬로우 모션이나 퀵 모션으로 재생이 가능한 VFR 기록 기능을 탑재. 기록 프레임 속도를 기준보다 높게 하여 재생 시에는 슬로우 영상으로 표현되며, 반대로 기록 프레임 속도를 기준보다 낮게 하여 재생 시에는 퀵 재생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K 100Mbps에서의 가변 프레임 설정 / FHD 100Mbps에서의 가변 프레임 설정

 
 
FHD에서는 최대 180fps, 4K(100Mbps)에서는 60fps까지 기록 가능해 고화질 영상을 슬로우 모션이나 퀵 모션으로 즐길 수 있다. 단, 가변 프레임 촬영 시에는 MF 만 가능하고 음성은 녹음되지 않는다. MF만 가능하지만 뷰파인더나 액정의 퀄리티가 뛰어나 피킹 기능 등으로 초점 작업이 어렵지 않다. 아래는 LEICA 100-400의 중망원을 이용 촬영한 180fps 설정 FHD 영상으로서 촬영 중간에 MF 조작을 겸한 것이다.
 
 
 
VFR 180fps 촬영, 1920x1080 / 60p, 100Mbps, 4:2:0 8bit [LEICA 100-400]
 

 
 
4K 100Mbps 에서도 가변 프레임 설정이 가능하다 24p로 설정할 경우, 60fps 세팅으로 최대 40%의 슬로우 모션이 가능하고, FHD 의 경우 24p로 설정하면 180fps 세팅으로 최대 13%의 슬로우 모션이 가능하다. 4K VFR 화질이 꽤 우수하다. 그리고 FHD 의 경우 프레임 설정이 높을수록 화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 시의 밝기 환경에 따라 적절한 화질과 프레임 설정으로 최적의 화질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VFR 180fps 촬영, 1920x1080 / 60p, 100Mbps, 4:2:0 8bit [LEICA 12-60]
 

 
 
 
 
 
동영상 포토 스타일 & 시네 라이크
별매의 V-Log L 지원

 
 
 
Like 709 감마 모드
 

[C4K 4096 x 2160 / 24p, 150Mbps, 4:2:2 10bit]
 
 
GH5는 편집 시 유용한 다이내믹 레인지 우선 감마 커브 효과의 시네 라이크 D, 콘트라스트 중시 감마 커브 효과의 시네 라이크 V, 그리고 Like 709 감마를 지원한다. Like709 의 경우, 과 노출된 부분을 압축하여 최소 채도로 촬영이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색상 표현으로 활용하기 좋은 사진 스타일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별도 구매 사용 가능한 V-Log L은 센서가 지니는 넓은 다이나믹 레인지를 활용하여 컬러 그레이딩 등 편집 작업을 통해 보다 매끄러운 계조의 영상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V-Log는 필름 소재를 디지털화 시 규격화 된 10-bit Cineon 개념으로 개발된 Log 특성이며, V-Log L은 마이크로 포서즈 센서 용으로 최적화된 Log 특성으로서 12 스톱의 풍부한 계조로 영상 표현이 가능하다. 또한, 컬러 그레이딩 작업을 위한LUT(룩업 테이블) 어시스트 표시를 지원, 메모리 카드에 LUT 프로필을 넣고 카메라에 복사해두면 V-Log L 촬영시 변환 된 영상을 참조하면서 촬영이 가능하다. (*.대여된 GH5 비정식 샘플기에는 V-Log L 이 탑재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동영상 촬영 중 WB/사진 스타일
설정 변경 가능

 
 
 
기존 GH4의 경우 동영상 촬영 중 화이트 밸런스 및 사진 스타일 등 촬영 설정을 변경할 수 없었지만 GH5는 촬영 중에도 해당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때문에 환경에 따라 보다 유연하게 대응이 된다. 실제 GH4 당시, 이 기능이 되지 않아 불만을 토로하시는 분들을 꽤 보았었다.
 
 
 
동영상 촬영 중 사진 스타일 및 화이트 밸런스 변경 [LEICA 12-60]
[C4K 4096 x 2160 / 24p, 150Mbps, 4:2:2 10bit]

 

동영상 촬영 중 사진 스타일 변경
 
 
 
 
 
일정 속도의 자동 초점 전환 기능
 
 
 


 
줌을 고정한 상태에서 지정한 초점 위치로의 자동 초점 전환 기능도 지원한다. 사용자는 초점 지역 3곳을 정확하게 지정할 수 있으며 촬영 중 미리 설정한 세 곳으로의 초점 이동을 카메라에 믿고 맡길 수 있다. 초점 전환 속도는 5가지로 지정 가능하며, 녹화 시작시의 초점 이동 지점 선택, 그리고 초점 전환시 대기 시간을 0초 / 5초 / 10초로 선택할 수 있다.
 
 

포커스 지점 설정 / 초점 전환 속도 설정 / 초점 전환 대기 시간 설정

 
 
 
자동 초점 전환 기능 활용 [LEICA 12-60]
 

 
 
 
 
 
4 : 2 : 2 10bit HDMI 라이브 뷰 출력
 


동영상 녹화 중 HDMI 단자를 통해 바디의 SD 카드 영상 기록 중에도 4 : 2 : 2 10bit 영상 신호를 동시에 출력 할 수 있다. 타사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과 함께 편집 할 경우에도 색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4K 동영상 촬영 시에는 HDMI 1080p 전환 출력을 지원해 4K를 지원하지 않는 모니터를 사용하면서 4K 기록이 가능하다.
 
 
 
 
 
HDMI 케이블 홀더 기본 포함 HDMI Type A 단자 표준 탑재
 
 
 
기본 포함된 HDMI 케이블 홀더를 사용시 HDMI 케이블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디에 HDMI Type A 단자를 탑재하여, GH4의 type D에 비해 다양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다.
 
 


 
 
 
 
노이즈 캔슬링 마이크 내장
 


스테레오 음성 녹음 L / R 채널에 더해, 카메라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줌 소음, 및 각종 소음을 억제 할 수 있는 노이즈 캔슬링 마이크를 탑재. 조용한 환경에서 동영상 촬영 시 거를릴 수 있는 각종 소음을 억제한다. 바람 소리에 대한 노이즈 감소 성능도 GH4보다 향상되었다.
 
 
 
 
 
휘도 레벨 , 파형 모니터 / 벡터 범위 컬러 바 표시 기능
 
 

휘도 레벨 / 파형 모니터 / 벡터 범위

 
 
8bit 휘도 레벨에서 동영상의 기준인 16-235, 16-255 색조뿐 아니라 사진의 0-255 계조에서 동영상 촬영이 가능해 사진과 동영상을 결합한 영상을 만들 때 밝기 레벨이 적절한 편집이 가능하다. 10bit 기록 모드에서는 0-1023, 64-940, 64-1023 선택을 지원한다. 아울러 파형 모니터와 벡터 범위를 LCD 모니터에 표시 할 수 있다.
 
 

파형 모니터 / 벡터 범위

 
 
또한 외부 모니터의 화질 조정 등에 편리한 컬러 바 출력 기능과 음성 조정에 필요한 1kHz 오디오 기준 신호도 출력 가능하다.
 
 

SMPTE 컬러 바 / EBU 컬러 바 / ARIB 컬러 바

 
 
 
 
 
XLR 마이크 단자 고성능 고음질 음성 녹음 지원
 
 


별매의 XLR 마이크 어댑터 단자를 사용하면 고음질 XLR 마이크를 통해 고성능 스테레오 음질로 립싱크 걱정 없는 동영상을 기록 할 수 있다. 또한 GH5라면 4K 동영상 촬영 시에도 고해상 (96kHz / 24비트, MOV) 녹화가 가능. 컨트롤 패널의 입력 스위치를 사용하여 별도의 마이크/선/콘덴서 마이크를 선택할 수도 있다.
 
 


 
 
 
 
초당 30매의 6K Photo, 초당 60매의 4K Photo
 
 
 


 
기존 파나소닉 카메라의 4K PHOTO 대비 약 2.25 배의 화질인 약 18M의 고화질로 초당 30 프레임의 고속 연사 6K PHOTO를 실현했다. 4K PHOTO보다 훨씬 고해상도의 화질로 결정적 순간의 사진을 포착 할 수 있다. 또한, 4K 60p 영상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4K PHOTO의 2 배의 속도가 되는 초당 60 프레임의 초고속 연사가 가능하다. 따라서 30fps로도 부족한 결정적 순간을 포착할 기회가 넓어지며 눈으로 알 수 없는 피사체의 움직임, 인물의 표정 등 순간의 베스트 of 베스트를 캐치한다. 읽기 가속 성능으로 롤링 셔터 현상도 좀 더 억제했다.
 
 


 
사실, 6K가 진정한 6K 해상력은 아니지만, 추후 진정한 6K 또는 8K 로의 진입을 위한 기초 단계를 다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기존의 8M에 비해 18M 급의 화질은 해상력 차이가 상당히 크다. 6K/4K Photo 이미지는 비교적 고속 셔터 스피드로 저장되며 당연히 조리개,셔터,ISO 등의 촬영 정보가 기록된다.
 
 
 
6K Photo 기능으로 촬영 저장한 이미지와 원본 크롭 화질
[18MP, 5184 × 3456, LEICA 12-60]

 

촬영 원본 / 원본 크롭

 
 
 
4K Photo 기능으로 촬영 저장한 이미지와 원본 크롭 화질
[8MP, 3504 × 2336, LEICA 12-60]

 

촬영 원본 / 원본 크롭

 
 
 
4K 60fps 설정으로 촬영 저장한 8M 60fps 연속 이미지 [LEICA 12-60]
[5초 구간 300장 연속 이미지를 일괄 저장 후 일부 연속 이미지만 Gif로 구성]

 


 
 
6K 30fps 설정으로 촬영 저장한 18M 30fps 연속 이미지 [LEICA 100-400]
[5초 구간 150장 연속 이미지를 일괄 저장 후 일부 연속 이미지만 Gif로 구성]

 


 
 
6K Photo 촬영 시 6K 30p 무비도 함께 저장된다. 이 6K Photo를 위해 저장되는 초 고화소 영상은 고사양 환경을 요구한다. 유투브에도 업로드를 시도해봤는데 지원되는 동영상이 아니라며 업로드가 되지 않는다. Viemo에는 업로드에 문제가 없었다. 아무튼, GH5는 C4K 촬영 프레임 그 이상의 화질 영상 구현이 가능한 엄청난 카메라다. 6K Photo로 촬영한 영상을 확인해보니 비트레이트는 약 200Mbps로 저장되고 있었다.
 
 


 
6K/4K Photo는 촬영 방식에 따라 3가지 모드를 지원하여 다양한 상황의 순간을 캐치할 수 있다. 6K/4K 연사는 셔터를 누르고 있는 동안 촬영, 6K/4K 연사(S/S)는 버튼을 누르면 촬영되고 다시 누르면 종료, 6K/4K Pre 연사는 셔터를 누르기 이전 1초와 이후의 총 2초 동안 촬영이 가능해 이미 지나간 극적인 순간을 기록 할 때 유용한 기능이다. GH5는 6K와 4K로 지원하고 4K의 경우엔 60fps(H)와 30fps로 설정 가능하기 때문에 도합 9개의 메뉴 중에서 선택 가능하다.
 
 
 
6K / 4K Photo 기능으로 촬영한 이미지를 플레이 하면서 이미지 선택 저장하기
 

 
 
6K / 4K Photo 이미지를 선택 저장하려면 촬영한 연속촬영 영상을 플레이 하면서 원하는 순간을 확인 버튼으로 저장시키면 된다. 5초 구간의 모든 프레임의 일괄 저장도 가능하다.
 
 
 
롤링 셔터 감소 기능 활용하기
 

 
 
이미지 저장 시 유용한 기능이 추가되었는데 바로 롤링 셔터 감소 기능이다. 빠르게 움직이며 촬영한 연속 이미지의 경우 (위 6K 말 달리는 사진 등) 배경이나 피사체에 약간의 대각 왜곡이 발생하는데 이를 보정해주는 기능이다. 저장 시, 화면의 롤링 셔터 감소 터치 버튼을 터치해주면 된다.
 
 
 
롤링 셔터 감소 기능 적용 / 미 적용 비교 사진
 

롤링 셔터 감소 적용 저장 / 롤링 셔터 감소 미적용 저장

 
 
LEICA 100-400으로 빠르게 달려가는 말을 6K Photo로 촬영 저장한 이미지로서 롤링 셔터 감소 기능을 적용했을 때와 적용하지 않고 저장한 이미지의 차이를 보여준다. 보정 능력이 꽤 훌륭하다.
 
 
 
 
 
6K 포스트 포커스 / 포커스 스테킹
 
 


 
촬영 후 화면을 보면서 터치 지점을 기준으로 초점을 잡아 이미지를 저장하는 포스트 포커스 기능 역시 6K/4K로 지원한다. GH5가 225 점 AF 영역을 지니고 있지만 포스트 포커스 촬영 시의 AF는 기존 파나소닉 4K 카메라와 동일하다. AF를 여러 구역으로 나누고, 고속 AF(공간 인식 AF)로 피사체의 포커스 포인트를 즉시 산출. 가까운 (Near)곳에서 먼(Far)곳에 포커스 포인트를 바꾸면서 연속 촬영하여 촬영 후 동일 장면에서 다양한 초점 지역을 선택 저장할 수 있는 기능으로 GH5는 18MP의 6K 이미지를 창조해내는 것이 장점이다.
 
 
 
초점 영역을 다르게 선택 저장한 포스트 포커스 활용 이미지
[6K, 5184x3456, LEICA 12-60mm, ISO 800]

 

인물의 얼굴에 초점 저장

 
 

앞의 모형 꽃에 초점 저장

 
 

배경에 초점 저장

 
 
포커스 스테킹은 이른바 조리개 조임 없이 여러 장의 다양한 심도 이미지를 활용하여 한 장의 깊은 심도의 팬 포커스 이미지를 창출하는 기능이다. 포스트 포커스로 촬영한 포커스 정보를 바탕으로 초점 위치가 다른 여러 이미지를 합성하여 초점이 맞는 범위를 넓힌 사진을 만들 수 있다. 카메라가 사진 전체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한 장의 사진으로 합성하는 자동 합성과 초점을 맞추고 싶은 범위를 터치 조작으로 임의로 지정하여 저장하는 범위 합성 2 가지 모드를 지원한다.
 
 
 
6K/4K 포스트 포커스 및 포커스 스테킹 기능 활용
 

 
 

일반 촬영 - 초점 범위가 좁음 / 포커스 스태킹 - 초점 범위가 넓음

 
 



 
 
12mm 광각 LEICA 12-60 [3840x 2160 / 60p, 150Mbps, 4:2:0 8bit, L.모노크롬]
 

 
 
 
 
 
강력한 5축 손떨림 보정 Dual I.S.2
 
 
 
센서 시프트 기술과 렌즈 광학식 보정이 함께 연동하여 손떨림 보정 성능을 극대화 시킨 Dual IS 기술은 GX8에 처음 탑재되었었지만 동영상에는 센서 시프트 보정이 적용되지 않았었다. 그런데, GX85에서 바디 측의 Roll 보정이 추가됨과 동시 4K 영상까지 센서 시프트 보정이 적용된 진화된 Dual IS가 탑재되었고 G85에서 Dual IS를 한 단계 더 발전시킨 Dual IS 2가 적용되었다. GH5 역시 파나소닉 최신 기술인 최대 5스탑 보정의 Dual IS 2를 탑재. 사진은 물론, 동영상 4K 화질에 모두 적용되어 언제 어디서나 강력한 손떨림 보정 기술로 보다 안정된 촬영을 즐길 수 있다.
 
 


 
고정밀 자이로 센서와 손떨림 정보의 연산 제어 알고리즘 진화에 의해 상하 좌우의 병진 떨림(X / Y)과 상하 좌우의 각도 및 회전 떨림(Yaw / Pitch / Roll)의 센서 손떨림 보정 5축 BIS. 그리고 렌즈 손떨림 보정 2축 (Yaw / Pitch) 의 OIS연동 제어에 의해 최대 셔터 속도 5 단 분의 보정 성능을 실현했다. 바디 손떨림 보정 기술이 적용되기 때문에 광학식 손떨림 보정이 탑재되지 않은 렌즈까지 손떨림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장점. 단, OIS 가 탑재되지 않은 렌즈는 상하 좌우 병진 떨림(X / Y)보정을 지원하지 않는다. 이 성능은 사진은 물론, 4K 영상이나 4K/6K Photo 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현재까지 Dual IS 2를 지원하는 렌즈는 아래의 왼쪽 목록과 같으며 나머지 오른쪽에 나열한 OIS 렌즈는 Dual IS 까지만 지원한다. (아래)
 
 


 
걸으면서 촬영하거나 초망원 촬영 시에도 기존에 비해 훨씬 안정적인 촬영이 가능하다. 아래는 다양한 상황에서 테스트해본 Dual IS 2의 성능 테스트로서 손떨림 보정이 적용되지 않았을 때와 Dual IS 2가 적용되었을 때의 성능 차이를 실감할 수 있다.
 
 
 
Dual IS 2 성능 비교 (LENS : LEICA 100-400, 400mm 최대 망원)
[4K 3840x 2160 / 60p, 150Mbps, 4:2:0 8bit]

 

Dual IS 2
 
 

손떨림 보정 끔
 
 
아울러 OIS가 탑재되지 않은 렌즈 역시 센서 시프트에 의해 손떨림 보정이 적용된 보다 안정된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데 이런 렌즈의 경우 화면에는 Dual IS 2 + 손바닥 아이콘 표시가 아닌 손바닥 아이콘만 표시되고 바디 손떨림 보정 성능이 적용된다. OIS가 없는 렌즈 역시 전자식 EIS 를 함께 적용 가능하다.
 
 
 
OIS 가 탑재되지 않은 렌즈의 손떨림 보정 성능 (LENS : LEICA 25.4)
[FHD 1920x1080 / 60p, 100Mbps, 4:2:0 8bit]

 

손떨림 보정 BIS 적용
 
 

손떨림 보정 끔
 
 
역시 사진 촬영에서도 강력한 손떨림 보정 기능이 그대로 발휘된다. 아래는 LEICA 100-400을 사용하여 200mm(35mm 환산 400mm)로 실내에서 1/15초로 최대한 숨을 참으며(군대에서 엎드려 쏴 하듯이) 촬영한 5장의 손떨림 보정 ON/OFF 비교 샘플이다.
 
 
 
200mm (환산 400mm) Dual IS 2 손떨림 보정 ON/OFF 비교
[LEICA 100-400, ISO 200, 1/15초]

 




Dual IS 2 손떨림 보정 5매 원본 크롭 / 손떨림 보정 OFF 5매 원본 크롭

 
 
 
12mm 광각 (LENS : LEICA 12-60) [FHD 1920x1080 / 60p, 100Mbps, 4:2:0 8bit]
 

 
 
 
400mm 망원 (LENS : LEICA 100-400) [C4K 4096x2160 / 24p, 150Mbps, 4:2:2 10bit]
 

 
 
 
 
 
초광속 AF, 빠르고 정확한 추적 성능
 
 
 
GH5는 최단 AF 속도 0.05초(LEICA 12-60, 광각 기준)의 초광속 AF 속도를 이뤄냈다. 파나소닉 바디 TOP AF 속도이자 전 미러리스 브랜드를 포함해도 AF속도, Shot to Shot 등에서 가장 뛰어난 퍼포먼스. 이동 피사체 추적 알고리즘은 진화된 공간 인식, 모션 벡터 예측 및 DFD(Depth From Defocus)기술을 결합한 콘트라스트 AF 기술을 활용하여 업계 최상의 위치에 올라설 수 있었다. 모든 프레임을 더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 모션 감지 오류를 최소화 하면서 바디의 AF 드라이브는 최대 480fps까지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필드에서 보여주는 AF 속도는 정말 뛰어나다. 환경에 상관없이 보여주는 쾌적한 AF는 혀를 내두르게 할 정도. 위상차 기술 없이 이정도의 속도와 완벽성을 기한 것에 놀라울 따름이다.
 
 





 
 
측거점은 49점에서 225점으로 대폭 증가하여 보다 섬세한 AF 프레임 선택이 가능하다. 이는 동체 추적 연사 촬영 시에도 섬세하게 추적하는 근간이 되었다. 아울러, 사용자 정의 멀티 AF 역시 보다 디테일하고 폭넓게 응용이 가능하다.
 
 
 
49점에서 225점으로 대폭 증가한 측거점 / 225점 측거를 활용한 사용자 정의 멀티 AF
 


버튼이 아닌 후면의 AF 조이스틱으로 AF영역 움직일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좌우 방향으로만 움직인다. AF 형식은 얼굴/눈 인식, 트래킹, 225영역, 사용자 멀티, 1영역, 핀 포인트 등으로 지원한다.
 
 
 
 
 
AF 조이스틱 조작 및 AF모드 설정 및 활용
 

 
 
 
 
 
새로운 차원의 동체 추적 성능
동체 추적 초당 9매, 600매 이상 연사

 
 
 
새로운 카메라를 쥐게 되면 AFC 동체 추적 촬영을 가장 먼저 테스트 해보는데 이 성능을 통해 카메라의 전반적인 AF 성능을 유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쾌하고 랙이 느껴지지 않는 셔터감, 빠르고 진동 없는 셔터, 추적 시뮬레이션, 피사체 변화에 따른 AF 반응 속도, AE 반응, 연사 초점 성공률 등... 감히 말하는데, GH5는 그간 보여준 파나소닉 바디 중에서도 최고임은 물론, 타사 플래그십 미러리스와 견주어도 최상의 성능이다. 단순히 최고 연사 속도로 비교될 게 아니라 내가 촬영하는 순간의 한 컷 한 컷의 완성도가 더욱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GH5는 타사의 모범이 되는 플래그십 카메라다. GH5는 최대 초당 12매 연사, 그리고 동체추적 시에는 라이브 뷰 화면으로 초당 9매의 AF/AE 연사가 가능하다. JPG로는 600매 이상, RAW+JPG는 60 매 이상의 스펙을 지니고 있다. [UHS-II (U3) 기준]
 
 
 
225점 멀티 AF, 동체추적 초당 최대 9매 연사 화면
 

 
 
기존 카메라의 AF 제어는 각 프레임마다 AF를 추적하기 때문에 피사체에 따라 AF 추적이 지연 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GH5는 공간 인식 기술 및 영상 인식, 그리고 콘트라스트 AF의 조합으로 피사체의 위치와 거리 정보를 감지 및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도입. 모든 촬영 장면에서 고성능 동체 추적을 실현했다. 공간 인식 기술에 의해 초점 영역을 추출하고 그 영역의 움직임 벡터에 의해 피사체의 위치를 감지 및 이동을 예측하여 정확하고 지속적으로 피사체를 추적한다. 피사체 움직임 방향, 피사체 초점 및 예측으로 완벽에 가까운 동체 추적 촬영을 가져온 것이다.
 
 
 
수평 이동 피사체의 동체 추적 알고리즘
 


 
또한, 공간 인식 기술과 콘트라스트 AF를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피사체와의 거리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 공간 인식 기술에 의한 거리 정보가 콘트라스트 AF 초점 검출 성능을 지원한다. 따라서 깊이 방향(앞뒤)으로 움직이는 피사체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지속적인 피사체 초점을 맞출 수 있다.
 
 
 
깊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피사체의 동체 추적 알고리즘
 


 
이론적인 기술 설명보다는 실 촬영시의 성능이 중요한데, GH5는 다양한 상황에서 그들의 설명처럼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었다. 최단 기계 셔터는 1/8000초, 그리고 전자식은 1/16000초를 지원. 아래는 다양한 피사체를 동체 추적 초당 9매 연사로 촬영해본 것이다. 초당 9매로 라이브 뷰 연사가 가능하기 때문에 동체 움직임 예측이 쉽고 Shot To Shot 간의 블랙 아웃이나 셔터 랙 등도 준수하여 촬영에 집중 할 수 있다. 무엇보다 결과물 들이 뛰어나다.
 
 
 
다양한 움직임 피사체의 동체추적 초당 최대 9매 연사
 

S모드, 1/8000초, LEICA 100-400

 
 

A모드, F2.8, X 35-100

 
 
종횡으로 움직이는 경주마 장면으로서 초당 9매의 동체 추적 연사를 실시한 것이다. 결과물도 만족도도 상당히 높았다.(총 69매)

옆으로 걸어가는 인물을 따라가며 촬영한 동체추적 초당 9매 연사다. (총 53매)

 
 

A모드, F2.8, X 35-100

 
 

S모드, 1/8000초, LEICA 42.5

 
 
카메라로 가장 많이 테스트 해보는 동체추적 연사가 깊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피사체다. 초점의 변화가 유동적이고 빠르게 움직여야 하기 때문이다. 기존 파나소닉 바디들도 우수했지만 GH5는 더 완벽에 가깝다.(총 53매)


LEICA 42.5mm 의 단렌즈로 테스트해본 앞으로 걸어오는 인물이 동체추적 연사다. 이 렌즈의 경우엔 F1.2의 강력한 밝기를 지원하기 때문에 보다 빠른 셔터스피드 사용이 가능하다. 1/8000초 셔터스피드 우선으로 촬영했는데, F1.2 최대 개방으로 얕은 심도를 유지, ISO 값을 유동적으로 움직이며 AF와 노출을 잘도 잡는다. (총 42매)

 
 
 
얼굴인식 AF, 동체추적 초당 최대 9매 연사 화면
 

 
 
또 한가지 강조하고 싶은 기능은 동체 추적 연사 인물 촬영 시의 얼굴 인식 성능이다. 인물 촬영 시 얼굴 인식 AF로 설정하면 얼굴 인식 시에는 인물을 비교적 밝게 측광을 잡으며 인물의 얼굴을 기준으로 동체 추적 AF/AE가 실시된다. 또한, 연사 중 얼굴 인식을 못하는 상황이 생겨도 초점 실패를 하지 않고 225점 AF가 빠르게 대처하면서 피사체를 놓치지 않는다. 아래 영상을 보면 줄곧 얼굴 인식 AF로 AF/AE 동체 추적 연사를 진행하다가 손으로 얼굴을 잠깐 가렸을 때는 225점 멀티로 잠시 촬영하고 다시 얼굴이 인식이 되면 얼굴 인식 AF로 다시 빠르게 잡아내는 동작을 볼 수 있다.
 
 
 
 
 
AF 사용자 설정 지원
 
 
 
사진에서도 별도의 메뉴로 AF 사용자 설정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이 기능 설정은 AFC 모드에서만 활성화 되기 때문에 ‘동체추적 AF 사용자 설정’ 기능으로 보면 된다. 장면에 따라 총 4가지의 기본 셋을 지원한다.
 
 


 
아울러, 각 항목별로 3 가지 항목을 통해 사용자가 감도를 조정할 수 있다. 피사체 특성이나 자신의 스타일에 맞게 AF 추적 감도,· AF 전환 감도,· 피사체의 움직임 을 설정 가능하다.
 
 


 
AF 추적 동작 중 장애물이 AF 내에 들어왔을 때, AF 추적 동작의 민감도를 설정한다. 감도를 +로 설정 시 AF 프레임 내의 피사체에 즉시 초점을 맞춘다. 그리고 잠금 켜짐 쪽으로 설정하면 기존 피사체 초점에 유지하는 시간이 좀 더 길어진다.
 
 


 
화면 위 움직이는 피사체에 대한 AF 영역 전환 특성을 설정한다. 감도를 +로 설정 시 AF 주위의 AF 프레임에 적극적으로 전환한다. 그리고 잠금 켜짐 쪽으로 설정 시 AF 프레임을 가급적 변경하지 않고 프레임이 돌아올 때까지 버틴다.
 
 


 
피사체의 움직임이 갑자기 변화했을 때 그 움직임에 맞추어 AF 동작을 컨트롤 한다. 가변쪽으로 설정 시 피사체의 움직임과 이동 속도가 급격히 변화 할 때 빠르게 추적하는 성향이 있으며 등속 쪽으로 설정 시 피사체의 움직임과 이동 속도가 일정한 경우에만 추적하는 경향이 있다.
 
 
 
 
 
터치, 다이얼에 의한 편리한 수동 조작
 
 
 
촬영을 위한 옵션 조작 및 기본 수동 조작은 정말 민첩하고 편리하다. 다이얼의 반응 속도도 훌륭하고 사용자 설정 버튼이 풍부하기 때문에 버튼이 남을 정도다. 피킹 기능으로 수동 초점 촬영 역시 편리하고 해상도가 뛰어난 뷰파인더 덕분에 뷰파인더 뷰 상태에서도 쾌적한 조작성을 제공해준다.
 
 
 
터치&다이얼 수동 조작
 

 
 
AF + MF기능과 더불어 MF시 초점의 피크 위치가 다른 색으로 표시되는 피킹 기능을 탑재 하여 사진은 물론 동영상 MF 촬영시 정확한 초점을 어시스트 해준다. 해상도가 뛰어난 뷰파인더와 액정이 더해져 쾌적한 MF 촬영이 가능하다. 터치한 부분을 기준으로 다이얼에 의해 부분 확대가 가능하기 때문에 구도를 변경하지 않고 편하고 빠르게 초점을 잡아낼 수 있다.
 
 
 
MF 기능과 피킹 기능 활용
 

 
 
 
GH5 동체추적 촬영 샘플
 



 
 
 
 
신개발 20.3M Live MOS 센서 로우패스 필터 제거의 우수한 해상력
 
 
 
GH5은 유효 화소 수 20.3M를 실현한 신개발 Live MOS 센서를 채용했다. 기존 모델 GH4 (16M) 대비 픽셀 수 약 25 % 증가에 로우 패스 필터리스 설계로서 해상도 성능이 월등히 향상되었다. 20.3MP를 사용하는 GX8 역시 로우패스 필터를 탑재한 스펙이었기에 GH5가 현존 파나소닉 루믹스 바디 중에서는 해상력이 가장 뛰어나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GH4 대비 읽기 속도가 약 2 배로 진화하고 연사 속도의 고속화 및 4K / 60p 동영상 촬영을 가능케 했으며, 전자 셔터와 동영상 촬영시의 롤링 셔터 왜곡 현상을 좀 더 억제하였다.
 
 


 
해상력, 고감도, 색 재현성에서 진화환 신개발 비너스 엔진을 탑재. 신개발 멀티 픽셀 휘도 생성 및 지능형 디테일 처리에 의해 고해상력, 고화질의 자연스러운 묘사와 함께 모아레 억제 성능도 신경 썼다. 또한 새로운 3 차원 컬러 컨트롤에 의해 암부 명부의 색 재현성을 향상시켜 충실하고 풍부한 색상 표현을 가능케 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직접 사용하면서 느낀 것은 파나소닉 바디 최상의 디테일과 차분해진 색감 표현 이었다. 그 동안 보여준 파나소닉 바디 중 가장 정직하고 디테일한 사진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새롭게 선보인 LEICA 12-60 렌즈와의 조합이 너무도 훌륭했다. 모아레는 아무래도 로우패스 필터가 있는 GX8 등에 비해서는 억제력이 완벽하지는 않아 보인다. 동영상 또한 센서로부터 성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펌웨어에 의해 구현될 400Mbps의 영상 화질이 기대된다. 개인적으로 가장 만족스러운 점은 풀픽셀 리드아웃 방식에 의해 크롭이 없는 4K 영상과 6K Photo 구현이 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기존의 단점을 억제한 자연스러운 색균형 이었다.
 
 


 
 
다양한 원본 샘플
 

LEICA 12-60 렌즈 [12mm F5.6 촬영 원본] / 중심부 원본 크롭 / 주변부 원본 크롭

 
 

LEICA 12-60 렌즈 [32mm F8.0 촬영 원본] / 중심부 원본 크롭 / 주변부 원본 크롭

 
 

LEICA 12-60 렌즈 [60mm, F4.0] / 원본 크롭

 
 

LEICA 42.5렌즈 [F2.0] / 원본 크롭

 
 

LEICA 100-400렌즈 [213mm, F8.0] / 원본 크롭

 
 

LEICA 12-60 렌즈 [42mm, F8.0, 13초 노출] / 원본 크롭

 
 
화소 상승과 로우패스 필터 제거의 시너지로 기존 카메라에 비해 해상력 증가를 가져왔으며 S / N 비도 개선하여 저 노이즈를 실현했다고 한다. GX8부터 시작된 20.3MP 화소 센서도 엔진의 버전업에 따라 화질 개선이 진행되고 있으며 20.3 MP의 고화소임에도 비교적 선방한 화질을 구사했다는 느낌. 반면, 기존에 비해 환상적인 고감도 개선을 기대했다면 아쉬울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사진에서도 절대 소홀히 하지 않았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완전히 동일 조건은 아니지만 기존 GX8 리뷰 시 LEICA 42.5 렌즈로 촬영한 해상력 데이터가 있어 GH5와 F5.6에서의 해상력을 비교해보았다.

 
 
 
GH5 vs GX8 해상력 비교 (LEICA 42.5mm F1.2 - A모드 F5.6)
 


 

GH5 원본 크롭 / GX8 원본 크롭

 
 
얼마전 리뷰 했던 보급기 최초 로우패스 필터 제거의 GF9 역시 기존 GF8과 비교하면서 디테일과 해상력 등 이미지의 샤프함을 언급한 바 있는데 확실히 파나소닉 미러리스는 새로운 세대로 진화되면서 이미지의 샤프함이나 노이즈 억제 면에서 한 층 업그레이드 된 양상을 보여준다. 다소 거친 노이즈를 줄이고 이미지를 좀 더 샤프하고 깨끗하게 표현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보니 GX8 역시 파나소닉 박스형(플랫 스타일) 플래그십 다운 면모를 지니고 있다는 생각이다.

화소가 다소 낮은 16MP 급의 GX85과 비교 촬영해본 인물 샘플이 한 장 있어 첨부해본다. GX85는 동영상 촬영 용으로 많이 사용 중인데 16MP 이긴 하지만 파나소닉 미러리스 최초의 로우패스 필터 제거 기종이기도 하다.

 
 
 
GH5 vs GX85 인물 비교 (LEICA 25mm F1.4 - M모드 F2.0, 사진스타일 표준)
 

GH5 촬영 원본 (GH5 촬영 원본 크롭) / GX85 촬영 원본 (GX85 촬영 원본 크롭)

 
 
화소 차이에 의해 좀 더 세밀한 표현에서 GH5가 앞서는 모습. 그리고, 막상 촬영해놓고 보니 색감 표현에도 은근히 차이가 난다. 기존 파나소닉의 중간 밝기에서 다소 신경 쓰이던 붉은빛(자주빛) 그라데이션을 꽤 제거한 모습. GH5는 전체적으로는 좀 더 차분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지닌다. 반면, GX85는 좀 더 생기 있고 밝은 감이 있다. 그렇다고 해서 GH5가 채도가 많이 낮은 것도 아니다. 전체적인 균형에서 좀 더 과도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색감과 우수한 계조를 이끌어내고 있다. 물론 색감은 개인 취향이라 어떤 기종이 더 좋은 색감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야외에서 촬영해보면 LEICA 12-60 렌즈가 화각 대비 상당히 우수한 퀄리티를 지녔음을 깨닫게 된다. 35mm 환산으로 24-120mm를 커버하면서 렌즈 밝기 또한 F2.8-F4.0의 우수한 성능에 Dual IS 2를 지원한다고 하면, 모든 마이크로 포서즈 유저들이 탐할 만 하다. 게다가 F2.8의 고정 밝기를 지닌 X 12-30mm F2.8 렌즈에 비해 크기 차이도 크지 않고 라이카 렌즈 치고는 가격도 괜찮은 편. 화각 범위를 감안하면 위 결과도 우수한 셈이다. 단, 조리개 조임 F11.0이 초과되면 화질 저하가 급격한 편이며 GH5에 탑재된 회절 보정을 적용해도 해상력 개선은 크지 않다.

야외에서는 실내 근거리 해상력 결과보다 더 좋게 느껴진다. 무엇보다 뛰어난 접사 성능을 칭찬하고 싶으며 빛 망울 표현하며 여러모로 잘 만든 렌즈다. 12mm 광각의 조리개 개방에서도 중심부, 주변부 선예도가 우수하며 구석부 화질도 크게 무너지지 않는 편. 중간 화각과 망원 에서는 약간의 화질 저하가 있지만 그래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화각 및 화질 전체의 균형감이 좋은 폭넓은 화각의 표준 줌 렌즈로서 동영상 촬영 시에도 뛰어난 성능으로 보답하는 완소 렌즈다.

 
 


 
 
 
 
ISO 200 – ISO 25600, 확장 ISO 100 지원
 
 
 
GH5는 GH4 대비 해상력 증가와 4K / 60p 지원 및 고화질 영상에 무게를 싣고 있다. 사진의 고감도 노이즈 억제력에서는 오래전 GX8느낌과 비교한다면 이미지 윤곽선은 좀 더 선명하면서도 암부 노이즈가 적은 부드러운 이미지 패턴을 지니고 있는데 고감도 화질 성능 자체를 평가한다면 크게 다르지 않게 느껴졌다. 다만, 고감도나 어두운 곳에서의 색 균형에서는 확실히 좀 더 좋아진 느낌을 받았다. 감도는 ISO 200 – ISO 25600 의 기본 범위를 지니고 있으며 명부 계조가 다소 약한 구간인 ISO 100 ~ ISO 160도 확장으로 지원하고 있다. 아래는 ISO 800 ~ ISO 25600까지의 다양한 고감도 샘플로서 모두 LEICA 12-60 렌즈로 촬영한 것이다. ISO 값은 리사이즈 사진 왼쪽 하단에 작게 표기되어 있다.
 
 


 
GH5로 촬영한 다양한 고감도 샘플
 



 
 

ISO 3200 야경 이미지 원본 / 명부 원본 크롭 / 암부 원본 크롭

 
 
 
ISO 3200의 노이즈 리덕션 별 이미지
 



 
단계별 노이즈 리덕션 차이가 다른 하위 기종에 비해 커 보이지는 않는 것이 특징이다. NR값이 -5 라 하더라도 컬러 노이즈가 크게 증가하지는 않는다. ISO 3200 이하에서는 NR 값을 최하로 낮추는 것이 디테일 표현에서 더 좋을 것이다. NR 표준이 비교적 세팅이 잘되어 있으며 NR이 높다 해도 디테일이 크게 무너지지 않는 점이 인상적이다.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색 실내의 붉은 톤을 줄여주는 AWBc
 
 
 
상위 기종일수록 계조가 좋고 색 균형이 과장되지 않은 표현을 지니고 있는 편이다. 이전의 GX8도 그러했지만 GH5는 그보다도 더 자연스럽고 편안함이 느껴진다. 역광에서 다소 붉게 표현되는 피부톤 역시 많이 억제되었다. 그것은 실내 및 고감도 촬영에서 느낄 수 있는데, 화이트 밸런스의 AWBc가 특히 유용하게 다가왔다. AWBc의 ‘C’ 는 COOL의 약자로서 다양한 조명하에서 피사체의 원래 색상을 표현하려 한다. AWBc는 붉은 조명인 백열등 하에서는 흰색을 좀 더 흰색으로 표현하려는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어떤 경우는 약간 차가운 느낌도 들기도 하지만 자연스러운 분위기의 AWB와 AWBc를 병행해보면 어떤 경우에 어떤 오토화이트밸런스가 좋은지 조금씩 감이 온다.
 
 
 
실내 촬영에서의 AWB와 AWBc의 색감 차이
 

AWB / AWBc

 
 
상황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도 있고 차이가 거의 없는 경우도 있는데 조명이 붉을수록, 감도가 높은 환경일수록 차이가 좀 더 나는 느낌. 보는 바와 같이 AWBc 가 무조건 차갑게 표현하는 것은 아니다. 때에 따라 알맞게 조정되는 편으로서 GH5의 AWB와 AWBc는 캐논 5D Mark IV의 분위기 우선 AWB와 화이트 우선 AWB와 동일한 관계라고 보면 된다. 화이트 밸런스를 세밀하게 보정할 수도 있지만 두 가지 오토화이트 밸런스 만으로도 손이 조금이라도 덜 가게 할 수 있다.
 
 



 
화이트 밸런스 옵션은 기본 7가지 프리셋에 사용자 화이트 밸런스 설정 4개, 색온도 (2500K-10000K)4개를 지원하고 있다. 아래는 일반적인 형광등 하에서의 실내 인물과 석양 풍경을 화이트 밸런스별로 촬영해본 것이다. 주변의 흰 벽 등을 이용한 커스컴 화밸도 꽤 괜찮아 보였다. 실내 인물의 경우 흰 벽을 보면 AWB와 AWBc가 은근히 차이가 있지만 야외 노을 촬영에서는 거의 차이를 못 느낀다. 그리고 노을 촬영 시에는 맑음(일광)이 하늘의 파란색 범위를 좀 더 넓게 표현하고 있다.
 
 
 
화이트밸런스별 인물과 석양 풍경
 

AWB / AWBc / 맑음 / 흐림 / 그늘 / 백열등 / 플래시 / 커스텀(사진속의 흰 벽을 이용) / 색온도 4500K / 10000k

 
 


 
 
 
 
발전하는 파나소닉의 색 높은 질감의 흑백 L. 모노크롬 탑재
 
 
 
기본으로 지원하는 사진 스타일 프리셋은 표준, 선명, 내추럴, 모노크롬, L.모노크롬, 풍경, 인물, 시네 라이크D, 시네 라이크 V의 9개며, 사용자 설정이 별도로 기원된다. 역시 각 사진 스타일에서 컨스라스트, 샤프니스, 채도 등을 각각 11단계로 지원하고 색톤을 결정짓는 색상 또한 11단계로 설정 가능하다.
 
 


 
 
사진 스타일 설정별 인물/풍경 이미지
 

표준 / 선명

 
 

내추럴 / 모노크롬

 
 

L.모노크롬 / 풍경

 
 

인물 / 사용자 (채도&컨트라스트 최대)

 
 

시네 라이크D / 시네 라이크 V

 
 
기본적인 ‘표준’ 에서의 노출은 다른 파나소닉에 비해 살짝 언더 성이 느껴지고 채도는 높지 않으면서 계조는 좋다. 인물 모드는 암부가 밝고 부드러운 채도로 실내외 인물 촬영 시 적합하다. 계조가 좋은 내추럴과 시네 라이크 D도 인상깊다. 풍경 촬영시에는 채도와 컨트라스트가 살짝 강한 풍경 모드를 추천. 사용자 설정도 3가지로 설정 저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면별로 본인이 선호하는 색감을 세팅해놓고 불러와서 사용하면 좋다.
 
 
 
사진스타일, 색상 조정 & 화이트 밸런스 미세 조정
 

 
 

색상 조정 / 화이트밸런스 색상 미세 조정

 
 
컨트라스트 및 채도 외에 11단계로 세부 설정 가능한 색상 항목은 색 톤을 결정짓는다. 그리고 화이트 밸런스의 미세 조정을 통해 색 톤을 본인의 취향에 맞게 저장이 가능하다. 아래는 RAW 파일을 이용, 카메라 내부에서 RAW 현상을 통해 색 톤, AWB 미세 조정을 실시해본 것이다.
 
 
 
색상 조정 & 화이트 밸런스 미세 조정을 활용한 다양한 색감 표현
[바디내 RAW 보정 JPG 저장]

 

표준

 
 

색상 조정 (-5) / 색상 조정 (+5) / 화이트밸런스 미세 조정 (B+2) / 화이트밸런스 미세 조정 (R3, G1)

 
 
기존의 모노크롬 이외에도 질감 묘사에 중점을 둔 L. 모노크롬도 흑백 사진을 즐기는 분들에게 유용하다. 일단, 짙고 어두운 느낌을 주지만 강렬한 디테일로 흑백 사진 특유의 빛과 그림자를 묘사한다.
 
 
L.모노크롬 촬영 샘플
 



 
 
 
 
카메라 내 RAW 보정 기능
 
 
 
 
RAW로 촬영한 파일은 카메라 내에서 JPG 현상이 가능하다. 보정 적용 가능한 중요 항목은 대부분 지원하고 있다. 예를 들어 I.다이내믹 레인지, 하이라이트 쉐도우, 화이트밸런스, 사진스타일, 밝기, 컨트라스트, 노이즈 리덕션, 샤프니스 등… 필자의 경우에는 크리에이티브 컨트롤도 가능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아무튼, 바디 RAW 현상 기능은 명부, 암부 및 색상 보정에 유용하게 활용된다.
 
 
카메라 내 RAW 보정 기능 활용
 

 
 
원본 및 RAW 보정 사진 비교
 

촬영 원본 / 카메라 내 RAW 보정

 
 
 
 
 
인터벌 촬영 기능 & 크리에이티브 컨트롤
 
 
 
인터벌 촬영은 드라이브 다이얼로 빠르게 설정할 수 있다. 장시간 동안 일정 간격으로 연속 촬영하여 기록하는 다큐멘터리 촬영 기법으로서, 시작 시간, 촬영 간격, 그리고 촬영 매수를 설정할 수 있다. 총 9999장 까지 촬영이 가능. 촬영 중간에 촬영 모드나 옵션을 컨트롤 할 수 있으며 촬영 후에는 카메라 자체로 MP4 형식의 동영상으로 저장도 가능하다. 동영상 프레임도 설정 가능하다.
 
 
인터벌 촬영 후 카메라 내에서 동영상 제작 - 4K Movie (3840x2160, 100Mbps)
 

 
 
 
 
 
다이내믹 레인지 & 하이라이트 쉐도우 활용
 
 
 
I.다이내믹 레인지 및 하이라이트 쉐도우 설정
 

 
 
GH5의 I.다이내믹 레인지는 기본 ‘끔’ 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풍경 촬영 시 ‘Standard’ 를 많이 활용했다. 이 기능이 강하게 적용될수록 명부도 약간 개선되지만 암부 복원 능력에 더욱 강하다. 때문에 밝게 촬영하는 것보다 약간 어둡게 촬영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하이라이트 섀도우 곡선 기능을 활용해, 명부와 암부의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다.
 
 
 
 
 
Bluetooth® 와 Wi-Fi®에 희한 효율적 페어링
간섭 내성이 좋은 Wi-Fi® 5GHz (802.11ac) 대응

 
 
 
 


 
GH5는 Bluetooth 4.2 (BLE : Bluetooth Low Energy)를 LUMIX 처음으로 대응하여 저전력으로 쉽게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과 페어링 할 수 있으며 카메라와 상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전용 어플리케이션 Panasonic Image App에서 원격 조작 시, 촬영 전 대기는 Bluetooth ® 로 에너지를 절약하면서 연결하고 촬영 중에는 전송 속도가 빠른 Wi-Fi ® 로 자동으로 전환한다. 때문에 전력 효율과 부드러운 촬영면에서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 2.4GHz 외에 5GHz Wi-Fi ® (IEEE802.11ac)에도 대응하여 2 개의 대역을 지원함으로서 네트워크 환경이 불안정한 상황에서도 보다 안정적인 통신 연결을 할 수 있어 스마트 폰 원격 촬영이 더욱 쾌적하며 동시에 오동작도 방지한다. NFC는 탑재되지 않았다.
 
 

블루투스가 업그레이드된 Panasonic Image App 메인 메뉴 / 원격 촬영 화면

 
 

촬영 옵션 메뉴 / 조리개, 셔터스피드 설정

 
 

카메라 내의 이미지 재생 / 라이브 컨트롤 설정

 
 
원격 촬영 기능은 스마트 폰을 리모콘 처럼 사용하여 카메라를 컨트롤 및 촬영하는 기능으로 스마트 폰을 통해 대부분의 옵션 설정이 가능하고 무선으로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간편한 접속과 스마트 폰 이미지 고속 전송은 웹 상의 페이스 북 이나 기타 SNS 공유를 더욱 쉽고 빠르게 한다. 아래는 스마트 기기 접속, 원격 촬영, 이미지 전송 등의 일련의 과정을 보여준다.
 
 
스마트 폰 접속 및 원격 촬영, 이미지 무선 전송
 

 
 
 
 
 
최상의 영상과 슈팅 퍼포먼스를
실현한 플래그십 미러리스

 
 
 


 
 
GH시리즈는 다른 파나소닉 시리즈와는 조금 다른 타게팅이 되어 왔지만 엄연히 사진으로서도 플래그십 퍼포먼스를 지니고 있다. 막강한 동영상 성능과 경쾌한 조작성, 그리고 사진 퀄리티와 색 표현에서도 만전을 기한 GH5야 말로 모두가 탐내는 미러리스 카메라가 아닌가 싶다. 동영상 모듈을 활용한 6K/4K Photo 성능으로 기존에 눈으로는 알아채지 못했던 순간의 작품을 고화질 포토로 담을 수 있고, 4K 60p 동영상으로 고화질 영상을 더욱 부드럽게 기록할 수 있게 되었으며 4:2:2 10bit 영상으로는 더욱 풍부한 색과 디테일로 프로페셔널한 영상을 담아낼 수 있다. 기존 루믹스와는 다른 크롭 없는 동영상 역시 빼놓을 수 없다. Dual IS2 성능도 정말 뛰어나 별도의 장비 없이도 기존에 비해 훨씬 안정적인 영상을 담을 수 있다. 사진에서는 노이즈 자체는 보다 잘 억제되었지만 고감도 디테일에는 큰 변화를 느낄 수 없어 아쉬움이 있었다. 반면, 색 재현성과 자연스러워진 밸런스는 특별히 반길만한 사항이었다.
 
 
 


 
 
무엇보다 GH5는 현재 진행형이란 점을 주목하자. 올 4월과 여름의 펌웨어를 통해 비로소 완전체로 거듭난다. 업계에서 볼 때는 동영상 스펙 대비 가격도 나쁘지 않아 앞으로 오랫동안 영상 전문가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LEICA 12-60 렌즈가 너무도 활용성이 좋았다. 기존 F2.8 고정 렌즈보다 오히려 더 큰 매력을 느꼈기에 새롭게 발매될 다른 라이카 렌즈인 8-18mm와 50-200mm도 무척 기대된다. 아무튼, 간만에 등장한 GH5로 인해 미러리스 역사의 한 페이지에 기분 좋은 기념비를 세웠다. 이 역사적인 카메라를 위해 올 여름 펌웨어 말고도 지속적인 사후 관리가 이루어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신나는 디지털 놀이터
팝코넷(http://www.popco.net)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비트엠 Newsync P34LGQ : 게이밍 경험을 업그레이드 하기 위한 하나의 선택 쿨엔조이
전성기에 돌입한 대용량 HDD, Seagate BarraCuda 24TB 다나와
[시승기] '풀하드웨어' 최첨단 장비 가득, 5세대 부분변경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오토헤럴드
모두의 예상을 깨버린 갤럭시S25U/아이폰16프맥/샤오미15U 카메라 블라인드 테스트! (여러분도 맞혀보세요ㅋㅋ) (2) 동영상 있음 주연 ZUYONI
가격은 5만원인데... 재미는 8만원이네?? 2025년 두 번째 머스트 해브 게임 《클레르 옵스퀴르 33원정대》 리뷰 동영상 있음 집마 홀릭TV
2025년 최신 조합 게이밍 노트북. MSI 벡터 16 HX AI A2XWHG-U9 QHD+ 기글하드웨어
합리적인 PC 케이스 선택의 첫걸음, 아이구주 VENTI 시리즈. (1) 쿨엔조이
SPM JOYAKDOL75 파우더 핑크 : 상남자가 쓰는 키보드는 이런 컬러군요. (6) 쿨엔조이
[리뷰] “아는 맛이 무섭다”, 던드리드 개발사 신작 ‘세피리아’ 게임동아
[써보니] 마이크로닉스 위즈맥스 우드리안 프로 케이스 위클리포스트
[써보니] 와이파이7 대응 아이피타임 BE6500UA 무선랜카드 위클리포스트
고급스럽게 게임보이 어드밴스 게임 하는 법! 아야네오 포켓 미크로 클래식! 동영상 있음 무적풍화륜
인스타 360 X5 초보자도 쓸 수 있는 간편한 입문용 360 액션캠 insta360 X5 탄생 (1) 동영상 있음 포켓매거진
[시승기] 기아 EV4, 순수전기 세단의 교과서 '실제 주행에서 놀라운 전비 결과' 오토헤럴드
전문가와 크리에이터를 위한 고성능 노트북, MSI 벤처 A16 AI+ A3HMG-R7 2K OLED 노트포럼
한 눈에 들어오는 고주사율 홈 게이밍 모니터, 제이씨현 UDEA EDGE ED2420GT 유케어 IPS 홈게임 180 (2) 케이벤치
N년차 고인물이 알려주는 유튜브 뮤직 꿀팁 3가지 (4) 동영상 있음 다나와
청소기 고르기 고민 끝! 쿠쿠 무선청소기 5종, 용도별로 골라봄! (2) 동영상 있음 노써치
AI부터 게임까지 다재다능 노트북, MSI 스텔스 14 AI Studio A1VFG-U7 퓨어 화이트 (1) 보드나라
시원한 통풍구가 인상적인 Wi-Fi 6 유무선 공유기, ipTIME AX3000Q (1) 보드나라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