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해 AMD는 PC 시장에 새로운 지평(New Horizon)을 열기 위해 CPU와 GPU 모두 새로운 아키텍처를 선보였다. 그 중에서 CPU 쪽은 라이젠으로 다시 반전의 기회를 마련하면서 AMD의 부활을 알리는 일등공신 역할을 했지만, 하반기 출시한 그래픽 카드는 물량 부족과 비싼 가격, 높은 소비전력, 그리고 무엇보다 가상화폐 채굴 열풍으로 고성능 그래픽 카드의 씨가 마르면서 일반 소비자는 물론 리뷰 제품도 구하기 어려웠다.
특히 라데온 RX VEGA 시리즈는 게임 성능보다 가상화폐 채굴 성능이 경쟁 제품 대비 월등히 높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가뜩이나 라데온 구하기 힘든 우리나라에서는 출시는 됐지만 물건은 없는 상황이 오랫동안 계속됐다.
그나마 다행스럽게 가상화폐 열풍이 한풀 꺾이고 그래픽 카드 제조사들이 비레퍼런스 제품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라데온 RX VEGA는 그림의 떡이 아닌 돈주고 살 수 있는 제품이 되었는데, 오늘은 기가바이트에서 만든 비레퍼런스 모델 라데온 RX VEGA 64 게이밍 HBM2 8GB 그래픽 카드를 살펴보도록 하자.
윈드포스 2X 쿨러와 6개 모니터 연결하는 비레퍼런스 디자인
제이씨현에서 유통하는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VEGA 64 게이밍 그래픽 카드는 답답해 보이던 AMD 레퍼런스 디자인과 달리 기가바이트 특유의 윈드포스(WindForce) 2X 쿨러를 탑재해 시원한 느낌을 주는 비레퍼런스 모델이다. 그래픽 카드 PCIe (PCI-Express) 슬롯과 출력 포트에 더스트 커버(Dust Cover)를 붙여 먼지가 들어가거나 슬롯이 긁히지 않도록 배려했다.
라데온 RX VEGA 64 게이밍에 적용된 기가바이트 윈드포스 2X 쿨링 시스템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의 100mm 팬으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때보다 공기 흐름이 원활하며 팬 표면에 블레이드 무늬를 적용해 일반적인 팬보다 공기 흐름을 23% 더 증가시켰다.
특히 그래픽 카드 온도가 50도 이하일 때는 팬이 돌아가지 않도록 하는 스톱 앤 스핀(Stop & Spin) 기술이 들어가 고사양 게임이나 GPU에 과부하가 걸리는 작업을 하지 않을 때는 쿨러 소음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며 설령 쿨러가 돌아가도 레퍼런스 공랭 버전보다 훨씬 조용하다.
다만 제품 가격이나 성능 면에서 플래그십 모델에 해당하는데도 불구하고 기가바이트 어로스(Arous) 게이밍 브랜드를 사용하지 않고 쿨러에 별도의 LED가 들어가지 않은 것은 아쉬운 점이다.
그래픽 카드 뒷면에 장착된 블랙메탈 백플레이트는 제품 보호 및 그래픽 카드 변형 방지 뿐만 아니라 발열 해소에도 도움을 주는 쿨링 시스템 역할도 수행한다. 라데온 RX VEGA 64가 경쟁 제품에 비해 전력 소모가 높기 때문에 보조 전원 커넥터는 8핀 2개를 사용한다. AMD 공식 스펙에서도 공랭식 라데온 RX VEGA 64는 TDP 295W에 파워 서플라이는 750W 이상을 권장하고 있다.
쿨러 뿐만 아니라 비레퍼런스 모델인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VEGA 64 게이밍의 또 다른 장점은 출력 포트다. AMD 라데온 RX VEGA 64 레퍼런스 디자인에서는 3개의 디스플레이포트(DP)와 1개의 HDMI 포트만 제공하는데, 기가바이트 비레퍼런스 제품은 DP와 HDMI 포트 3개씩 최대 6개의 멀티 디스플레이 구성을 할 수 있다. DP 1.4 출력시 최대 8K 해상도(7680x4320@60Hz)를, HDMI 2.0b 출력 포트에서는 최대 4K 해상도(4096x2160@60Hz)를 지원한다.
2슬롯 두께의 레퍼런스 모델과 달리 윈드포스 2X 쿨러를 사용한 기가바이트 비레퍼런스 디자인은 쿨링 팬 커버가 올라오면서 메인보드 슬롯 3개 두께를 차지하기 때문에 2장의 그래픽 카드로 멀티 GPU (CrossFire) 구성을 하려는 사람은 메인보드 호환성을 잘 살펴야 한다.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VEGA 64 게이밍의 윈드포스 2X 쿨링 시스템에서 듀얼 팬이 달린 커버 부분을 제거하면 GPU 및 전원부 열을 식혀주는 메인 히트싱크와 백플레이트를 확인할 수 있다.
열 전도율을 높이기 위해 2중 구조의 대형 복합식 히트파이프를 적용했으며, GPU와 히트파이프가 직접 맞닿는 '히트파이트 다이렉트 터치(Heat Pipe Direct Touch)' 설계로 최대한 빨리 GPU 열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했다. 히트싱크에는 비대칭 경사적으로 냉각 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쿨링팬에서 불어넣는 바람으로 인한 소음을 줄였다.
백플레이트 안쪽으로도 GPU가 있는 PCB 뒷쪽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힐 수 있도록 구리 히트싱크를 따로 달고 전원부 열을 전달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히트파이프가 들어갔다.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VEGA 64 게이밍은 하위 모델 RX VEGA 56 게이밍과 마찬가지로 AMD 레퍼런스 보드와 다른 기가바이트 독자적인 설계를 적용했다. 라데온 RX VEGA 64는 8GB HBM2 그래픽 메모리가 GPU와 함께 패키징 되었기 때문에 일반 그래픽 카드에서 메모리가 달린 자리에 전원부 부품이 배치되어 있다.
14nm FinFET 공정으로 만들어지는 AMD 라데온 RX VEGA 64 GPU는 이름 그대로 64개의 차세대 컴퓨팅 유닛(64 nCU)과 4096개의 스트림 프로세서(1CU당 64개의 SIMD), FPS 성능을 향상시키는 지오메트리 엔진과 효율성을 향상시킨 픽셀 엔진, GDDR5 대신 2048-bit 메모리 버스를 가진 고대역 8GB HBM2 메모리와 이를 바탕으로 고대역 캐시 기술을 적용했다.
GPU 클럭은 라데온 RX VEGA 64 레퍼런스 공랭 버전은 베이스 클럭 1247MHz, 부스트 클럭 1546MHz인데,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VEGA 64 게이밍 모델은 약간 오버클럭된 베이스 클럭 1276MHz, 부스트 클럭 1560MHz로 동작한다. 하지만 HBM2 메모리 속도는 레퍼런스와 같은 945MHz (1.89Gbps)다.
그 밖에 AMD 멀티 GPU 기술인 CrossFire를 비롯해 FreeSync 기술, HDR 콘텐츠 지원 및 HEVC/H.265 main10 프로필 하드웨어 가속, 부드러운 동영상 재생을 위한 플루이드 모션(Fluid Motion) 기술을 지원한다. 144Hz급 게이밍 모니터들 대부분은 엔비디아 G-Sync 기술을 적용하면 비용이 올라가기 때문에 AMD FreeSync 기술을 지원하는데, 이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포스가 아닌 라데온 계열 그래픽 카드가 필요하다.
전원부는 기가바이트 특유의 메탈 초크와 솔리드 캐패시터, Lower RDS(on) 모스펫을 사용한 12+1 페이즈 Ultra Durable 디자인을 채택했으며, 그래픽 카드 전면 뿐만 아니라 후면에도 전원부 일부를 배치해 히트파이프가 들어간 백플레이트를 통해 전원부 발열을 분산시켜 처리하도록 했다. 추가 전원 커넥터는 레퍼펀스와 같은 8핀 커넥터 2개가 들어간다.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VEGA 64 게이밍 제품 구성물로는 그래픽 카드와 퀵 가이드, 드라이버 CD, 8핀 전원 변환 케이블 1개가 들어갔다. 국내 유통사인 제이씨현에서 3년 무상 보증을 받을 수 있다.
AMD 라이젠 프로세서와 함께 4K 게이밍 PC 구성
AMD는 지난 해 라이젠(Ryzen) 데스크탑 프로세서를 출시하면서 데스크탑 PC 시장에서 다시 인텔과 경쟁 구도를 만들 수 있었는데, 최초의 라이젠 공개 행사였던 '새로운 지평(New Horizon)' 이벤트에 사용된 데모 PC가 당시에는 아직 공식 명칭도 없었던 라이젠 7 1800X CPU와 VEGA 아키텍처 기반 싱글 그래픽 카드였다. AMD 라이젠 7 1800X 프로세서와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VEGA 64 게이밍 그래픽 카드 조합이라면 AMD의 새로운 지평을 체감하는 고성능 데스크탑 PC 구성이 가능해진다.
흔히 파스 점수로 불리는 3DMark FireStrike 기준으로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VEGA 64 게이밍의 그래픽 점수는 21,090점, 익스트림 및 울트라 설정에서는 각각 10,000점과 5,000점을 넘는데, 이 정도면 지포스 GTX 1070 Ti 또는 GTX 1080에 해당하는 게임 성능으로 볼 수 있다.
AMD는 라이젠 프로세서와 베가 아키텍처 그래픽 카드를 처음 공개하면서 배틀필드1과 배틀프론트 등 AAA급 PC 게임에서 4K 해상도로 60프레임 이상의 게임 플레이가 가능하다고 소개한 바 있다.
실제로 라이젠 7 1800X와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VEGA 게이밍 그래픽 카드로 구성된 테스트 시스템은 고사양 FPS 게임 배틀필드1에서 그래픽 옵션을 최고로 설정하고도 4K 해상도에서 평균 60프레임에 가까운 성능을 보여준다. 풀HD 해상도에서는 그래픽 옵션을 조금만 조정하면 AMD FreeSync를 지원하는 144Hz 게이밍 모니터에 걸맞는 성능을 내줄 것으로 기대된다.
블리자드의 하이퍼 FPS 게임 오버워치 역시 그래픽 옵션을 최고로 설정하고도 4K 3840x2160 해상도에서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VEGA 64 게이밍으로 평균 60프레임의 게임 플레이가 가능하다. 풀HD 해상도에서는 그래픽 옵션을 유지하면서 144Hz는 물론 165Hz 게이밍 모니터에도 최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전세계적으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플레이어언노운스 배틀그라운드(Battleground)는 게이머들 사이에서 핵 문제와 최적화 문제로 불만이 높은데, 안타깝게도 그래픽 옵션을 최고 수준으로 설정하면 4K 해상도에서 평균 40프레임 안팎을 기록했다. 대신 2560x1440 QHD 해상도와 1920x1080 FHD 해상도에서는 60프레임 이상의 원활한 게임 플레이를 할 수 있다.
배틀그라운드와 비슷하면서도 무료 플레이가 가능한 포트나이트 배틀로얄 역시 그래픽 옵션을 최고로 설정하면 배틀그라운드와 큰 차이가 없는 평균 프레임을 보여준다. 4K 모니터에서 평균 60 프레임 이상으로 게임을 즐기고 싶다면 그래픽 옵션에서 타협점을 찾아야 할 것이다.
AMD 플루이드 모션과 프리싱크도 지원
게이밍 그래픽 카드로써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VEGA 64 게이밍은 경쟁사 지포스 시리즈 하이엔드 모델과 크게 차이나지 않는 성능을 보여준다. 하지만 게임 외에 동영상이나 모니터 기능, 멀티 모니터 등 부가적인 옵션에서도 AMD 계열 제품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있다.
라데온 RX VEGA 64에 들어간 미디어 엔진은 H.264는 물론 H.265/HEVC 포맷에 대한 하드웨어 인코딩 및 디코딩을 지원하므로 4K 동영상도 CPU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끊김없이 재생할 수 있다.
24fps/30fps 동영상을 60fps로 부드럽게 보여주는 AMD 플루이드 모션 비디오(Fluid Motion Video) 기능도 지원한다. 이 기능은 기존 라데온 그래픽 카드나 AMD APU도 지원했는데, 일부 영화나 애니메이션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게임용으로 지포스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면서도 일부러 플루이드 모션 비디오를 위해 라데온 계열 세컨드 그래픽 카드로 사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AMD 라데온 RX VEGA 64 그래픽 카드를 사용한다면 게임용과 동영상 재생용으로 그래픽 카드를 따로 나누지 않아도 된다.
또한 게임용 그래픽 카드로 지포스를 쓰는 사람이 많지만 정작 144Hz급 이상의 게임용 모니터는 화면 갈라짐과 입력 지연을 해소하기 위해 AMD 프리싱크(FreeSync) 기술을 지원하는 제품이 더 많다.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엔비디아 지싱크(G-Sync) 기술은 하드웨어 모듈과 라이센스 비용이 추가되어 모니터 가격이 크게 올라가는데, AMD 프리싱크는 무료로 개방되어 모니터 제조사들이 비용 부담 없이 지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포스 그래픽 카드를 사용할 경우 지싱크 기술이 들어간 게이밍 모니터에서만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AMD 프리싱크 기술이 무용지물이었는데, AMD 라데온 RX VEGA 64를 그래픽 카드로 쓰면 게이밍 모니터에서 제공하는 프리싱크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소비 전력 높지만 윈드포스 2X 쿨러로 발열 관리
AMD 라데온 RX VEGA 64에서 단점으로 지적되는 것이 높은 소비전력이다. 라데온 RX VEGA 64의 공식 TDP는 공랭 버전을 기준으로 295W, 동작 클럭이 올라간 수랭 버전에서는 그래픽 카드 하나로 345W다. 이 때문에 AMD에서 라데온 RX VEGA 64를 장착하는 PC의 권장 파워 서플라이를 750W급 이상으로 잡고 있다.
물론 그래픽 카드가 늘 295W로 동작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실제로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VEGA 64 게이망을 장착한 테스트 시스템은 idle 모드에서 60~70W 안팎, 일반 동영상을 볼 때는 60~90W 정도로 시스템 소비 전력이 높지 않았다. 그 대신 3D 게임이 돌아갈 때는 300W 후반까지 소비전력이 올라갔다.
기가바이트 비레퍼런스 그래픽 카드에 널리 사용되는 윈드포스 2X 쿨러는 2개의 대형 블레이드 쿨링팬과 강력한 히트싱크를 조합해 소음과 쿨링 양쪽에서 모두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데, 라데온 RX VEGA 64 게이밍 그래픽 카드에서도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다.
그래픽 작업을 하지 않을 때는 GPU 클럭이나 소비전력도 낮고 쿨링팬도 돌아가지 않아 쾌적하고 배틀그라운드와 같은 고사양 3D 게임을 플레이 할 때도 팬 속도를 많이 올리지 않고 소음과 쿨링 밸런스를 잘 잡아준다.
레퍼런스보다 나은 선택, 기가바이트 RX VEGA 64 게이밍
기가바이트 라데온 RX VEGA 64 게이밍은 검증된 윈드포스 2X 쿨러와 최대 6개의 모니터 출력 기능을 갖춰 게임용으로도 멀티 디스플레이 구성용으로도 레퍼런스 디자인 제품보다 쓰임새가 좋아졌다.
화려한 LED 효과는 없지만 쿨링 성능을 높이고 온도가 낮을 때는 무소음으로 동작하는 윈드포스 2X 쿨러는 AMD 그래픽 카드에서 소비전력과 발열을 걱정하던 소비자들에게 적어도 발열 걱정은 덜어줄 수 있는 적절한 솔루션이다.
그러나 라데온 RX VEGA 자체가 물량 부족으로 시장에 충분히 공급되지 못했고 그로 인해 지포스 GTX 1070/1080 시리즈를 세분화한 경쟁사보다 가격 및 성능에서 불리한 입장인 것은 사실이다. 물론 가상화폐 열풍과 메모리 가격 인상으로 고사양 그래픽 카드 가격이 전반적으로 크게 올라간 상향 평준화(?) 상태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물량 공급만 이뤄진다면 지포스 대신 이 제품을 찾는 사람도 늘어날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아직도 가상화폐 채굴용 그래픽 카드를 구하기 위해 지포스보다 효율이 높은 라데온 RX VEGA 64를 노리는 사람들도 있을텐데 부디 기가바이트에서 붙인 제품 이름처럼 채굴보다 게이밍 용도로만 사용되길 바란다.
Copyrightⓒ 넥스젠리서치(주) 보드나라 미디어국. www.bodnar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