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MSI B350M 박격포 리뷰

2018.03.02. 15:07:50
조회 수
15,414
4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1 . 제품 소개

 

2018년 2월 12일 밤 11시, 그토록 기다렸던 AMD 레이븐 릿지(Raven Ridge) APU가 정식으로 공개되었습니다. 새로운 AMD RYZEN APU 시리즈는 향상된 AMD SenseMI 기술과 새로운 Precision Boost 2가 적용되어 유연한 성능을 가지게 된 것을 장점으로 앞세우고 있지만, 많은 사용자들이 주목하는 부분은 처음으로 등장한 내장 그래픽 코어 "Radeon Vega Graphics"의 성능과 활용성이었습니다. AMD RYZEN 프로세서에 VEGA 코어가 탑재됨에 따라 AMD 프로세서 기반 PC에서도 외장 그래픽을 생략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RYZEN 기반 미니 PC나 베어본, 소형 데스크톱을 꿈꿔오던 많은 사용자들의 꿈을 실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로써 AMD는 HEDT 프로세서인 Threadripper와 프로세서 성능에 초점을 맞춘 AMD RYZEN 7/5/3 CPU 시리즈, VEGA 그래픽으로 높은 활용성을 제공하는 RYZEN APU 시리즈에 이르는 라인업을 완성하게 되었으며, 올해에도 작년과 같이 전폭적인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새로운 AMD APU 시리즈가 매력적인 또 하나의 이유는 바로 AMD RYZEN 7 공개와 함께 출시되었던 AM4 소켓 기반의 X370/B350/A320 메인보드를 그대로 활용한다는 점입니다. 해당 메인보드 모두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거치면 그대로 AMD APU를 장착할 수 있게 설계되었는데, 이미 작년부터 판매를 시작한 제품군인만큼 가격 역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고, 다양한 라인업 제품군이 이미 완비되어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컴퓨터 메인보드 및 그래픽 카드, 관련 하드웨어 전문 제조사인 MSI(http://kr.msi.com/)의 AMD 메인보드 라인업도 RYZEN 7 출시 이후 지속적인 추가가 이뤄져 폭넓은 선택권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MSI가 출시한 AMD AM4 메인보드는 네 가지 메인 라인업에 모두 배치되어 있는데, MSI 하이엔드 라인업인 Enthusiast GAMING에는 X370 XPOWER GAMING TITANIUM과 X370 GAMING M7 ACK가 포진해있으며, 메인스트림 급인 Performance GAMING은 X370 GAMING PRO CARBON과 X370 KRAIT GAMING, B350 GAMING PRO가 위치해 있습니다. 그리고 엔트리 라인업인 Arsenal GAMING에는 ATX 폼팩터인 B350 토마호크와 Micro-ATX 폼팩터인 B350M 박격포, B350M 바주카가 위치해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PRO 시리즈의 B350M PRO-V D PLUS 및 DH까지 출시된 상태입니다. 특히 이번 RYZEN APU는 내장 그래픽을 활용한 소형 데스크톱 구성에 최적의 조건을 갖춘 프로세서인 만큼, 엔트리급 사양과 Micro-ATX 폼팩터로 구성된 Arsenal GAMING에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MSI Arsenal GAMING 라인업 중에서도 AMD Micro-ATX 폼팩터 메인보드 시리즈 중 맏형이라 할 수 있는 MSI B350M MORTAR(박격포)가 이번 리뷰를 통해 소개해드릴 메인보드입니다. MSI B350M 박격포는 AMD RYZEN 서밋 릿지와 AMD APU 브리스톨 릿지, 그리고 새로운 RYZEN 레이븐 릿지 프로세서까지 활용할 수 있는 AM4 소켓 메인보드입니다. 전반적인 구성은 24.3x24.3mm의 PCB 사이즈를 갖추고 있는 만큼 아담한 크기의 데스크톱 구성에 최적화된 레이아웃을 갖추고 있는데, 하드웨어 확장성 만큼은 엔트리급 데스크톱에 부족하지 않은 수준을 만족하고 있습니다. 오버클럭이 가능한 B350 칩셋을 탑재한 만큼 전원부는 MSI MILITARY CLASS 5 등급의 4+2페이즈 디자인이 적용되었으며, RYZEN 프로세서 성능을 끌어올리기 위해 최대 3,200MHz DDR4 메모리를 지원하는 DDR4 BOOST 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준수한 전원부에서 알 수 있듯, MSI B350M 박격포는 가격대 성능비를 중시하는 사용자를 위한 제품이면서도 일반적으로 데스크톱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많은 기능들이 아낌없이 투입되어 있습니다. 먼저 Steel Armor가 적용된 PCI-Express 3.0 x16 슬롯과 한 개의 PCI-Express 2.0 x 16 슬롯, 그리고 두 개의 PCI-Express 2.0 x1 슬롯을 갖춰 그래픽 카드 이외의 장치 구성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Turbo M.2 슬롯과 4개의 SATA 3 포트가 제공되어 드라이브 구성에서도 충분한 수준을 만족하고 있습니다. 인터페이스에서는 최신 규격인 USB 3.1 Gen 1 Type-C 포트와 3개의 USB 3.1 Gen 1 포트, 2개의 USB 2.0 포트 및 P/S 포트, 그리고 내장 그래픽만으로 디스플레이 출력을 가능케 해주는 DP/HDMI/DVI-D 포트를 갖춰 효율적인 장치 구성이 가능하겠습니다.

 

정 사각형 폼펙터인 만큼 디자인 역시 안정적인 느낌을 주고 있으며, 해당 리뷰에 사용된 블랙 버전과 화이트 PCB인 ARCTIC 버전이 모두 출시되어 다양한 테마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또 각 모서리와 오디오 라인 쉴딩에 RED 앰비언트 LED를 적용하고, MSI MYSTIC LIGHT를 활용할 수 있는 헤더도 마련되어 있어 AMD Wraith Sphire 및 MAX 쿨러, 혹은 MSI MYSTIC LIGHT SYNC를 지원하는 제품을 연동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입맛에 맞는 LED 튜닝도 가능하겠습니다.

 

AMD RYZEN 서밋 릿지 CPU와 좋은 케미를 보여준 MSI B350M 박격포, 새로운 AMD 레이븐 릿지 APU와의 조합에서는 또 어떤 활약을 보여줄 수 있을지 AMD RYZEN 5 2400G를 활용한 테스트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품 특성

 

※ 공식 홈페이지 :  https://kr.msi.com/Motherboard/B350M-MORTAR

 
 
 

2 . 제품 외형 및 구성품

▲ MSI B350M 박격포 패키지 정면 사진입니다.

 

 

 

 

 

 

▲ MSI B350M 박격포 패키지 측면 하단에는 제품 시리얼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 MSI B350M 박격포 패키지 후면 사진입니다.

 

 

 

 

 

▲ MSI B350M 박격포 패키지 구성품입니다. 사용 설명서와 빠른 설치 가이드, 구매 감사장, 메모리 설치 안내장, 드라이버 디스크, I/O 쉴드와 2개의 SATA 3 케이블을 제공합니다.

 

 

 

 

 

▲ MSI B350M 박격포 제품 정면 사진입니다.

 

 

▲ MSI B350M 박격포는 안정적인 CPU 전력 공급을 위해 8(4+4)핀 전원 단자를 요구합니다.

 

▲ CPU 소켓 좌측 하단에 시스템 쿨링팬용 헤더가 위치해 있습니다.

 

▲ CPU 소켓 우측 상단에는 CPU 쿨러용 헤더가 위치해 있습니다.

 

 

 

▲ MSI B350M 박격포는 AM4 소켓의 AMD RYZEN(서밋 릿지) CPU 및 RYZEN(레이븐 릿지) APU를 정식 지원합니다.

 

 

▲ MSI B350M 박격포 메인보드 측면부에는 시스템 쿨링팬용 헤더와 EZ Debug LED가 위치해 있습니다.

 

 

▲ MSI B350M 박격포 우측 하단에는 4개의 SATA 3 포트와 1개의 USB 3.1 Gen 1 헤더가 위치해 있습니다.

 

 

▲ MSI B350M 박격포 우측 하단에는 페러렐 포트용 헤더, 2개의 USB 2.0 헤더, USB 3.1 Gen 1 헤더, 프론트 패널용 점퍼 및 비프음 스피커용 헤더가 위치해 있습니다.

 

 

 

▲ 좌측 하단에는 오디오 헤더, 시스템 쿨링팬용 헤더, RGB LED 스트립용 헤더, 온도 센서용 헤더, 시리얼 포트용 헤더, 섀시 침입 커넥터가 위치해 있습니다.

 

 

▲ MSI B350M 박격포의 PCI-Express 3.0 x16 슬롯에는 Steel Armor로 메탈 쉴팅 처리가 되어있어 견고한 내구성을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 PCI-Express 슬롯 사이에 Turbo M.2 슬롯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 MSI B350M 박격포의 입출력 단자는 PS/2 콤보 포트, 2개의 USB 2.0 포트, 디스플레이 출력을 위한 DVI-D / DP / HDMI 포트, 3개의 USB 3.1 Gen 1포트, 1개의 USB 3.1 Gen 1 Type-C 포트, 이더넷 포트, SPDIF 광출력 단자를 지원하는 오디오 포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MSI B350M 박격포 후면 사진입니다.

 

 

▲ MSI B350M 박격포 오디오 라인 쉴딩과 각 모서리 네 군데에 RED 앰비언트 LED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3 . 전원부, 칩셋 및 방열판

​​​​​​

▲ MSI B350M 박격포의 방열판을 모두 제거한 정면 사진입니다.

 

▲ MSI B350M 박격포의 방열판을 모두 제거한 후면 사진입니다.

 

 

 


 

 전원부 및 방열판

 

 

▲ MSI B350M 박격포는 4+ 2페이즈 전원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방열판은 측면 모스펫에만 적용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노출되어 있습니다.

 

 

 

 

 

 

 

 

 

 

 


 

 칩셋 및 방열판

 

 

 

▲ MSI B350M 박격포 AMD B350 칩셋을 장착하고 있습니다.

 

 

 

 

 

4 . UEFI BIOS

MSI MSI B350M 박격포의 UEFI BIOS입니다.

MSI 특유의 CLICK BIOS 5로 구성된 UEFI BIOS는 쉽고 간편하게 접근 가능한 EZ 모드를 제공하여 초보자도 간단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Advanced 모드로 접근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상세한 설정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또한, 정식으로 한국어를 지원하기 때문에 편리한 옵션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일반적인 Motherboard와 마찬가지로 일부 전문적인 내용의 번역은 생략되었습니다.)

 

 

 


 

 

 

 

 

 

 

 

 

 

 

 

 

 

 

 

 

 

 

 

 

 

 

 

 

 

 

 

 

 

 

 

 

 

 

5 . 테스트 구성

 

 

 

기본 테스트(VRM 온도 및 소비전력)는 기본 상태와 3.8GHz 오버클럭을 적용한 상태로 나누어 측정을 진행했습니다.

CPU 쿨링의 경우 기본으로 제공되는 AMD Wraith STEALTH 쿨러를 사용하였으며, 테스트 기준 실내 온도는 지속적인 에어컨의 ON/OFF로 23±1℃ 수준을 꾸준히 유지했습니다.

 

오버클럭 테스트는 플레이웨어즈에서 자체적으로 지정한 수치를 적용했으며, 효과적인 코어 온도 해소를 위해 NOCTUA NH-U12S SE-AM4를 사용하였습니다. 자세한 오버클럭 적용값은 테스트 사양표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 오버클럭 테스트에서는 원활한 진행을 위해 NOCTUA NH-U12S SE-AM4 쿨러가 사용되었습니다.

 

▲ 파워 서플라이는 FSP AURUM PT1200W 80Plus PLATINUM을 사용했습니다.

 

 

6 . 발열 및 소비전력

 스트레스(안정화; Stability) 테스트

 

 

Prime95-Mininized.jpg

 

시스템의 최대 소비전력을 측정해보기 위해서 Prime95 29.3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측정 방법은 Prime95의 LargeFFT 항목을 기준으로 테스트를 20분간 진행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였음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테스트는 AMD RYZEN 5 2400G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VRM(전원부) 온도 및 소비전력을 측정했으며, 실내온도는 23±1℃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 온도 및 소비전력 측정은 사용자 환경 및 시스템 구성에 따라 다양한 변수가 존재할 수 있음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MSI B350M 박격포의 전원부(VRM) 온도 측정 / 바이오스 기본값

- MSI B350M 박격포의 전원부(VRM) 온도 측정 / 3.8GHz OC, CPU Voltage 1.30V

- VRM 온도 및 소비전력 측정 : CPU 온도는 Prime95 스크린샷에 포함된 AIDA64 센서 온도를 참조


유휴 상태(IDLE) - 풀로드 테스트를 마치고 10분 후 측정(Nothing After 10 minutes without)
풀로드 상태(LOAD) - Prime95를 통해 20분간 안정성 테스트를 진행(Prime95 Stability Test 20 minutes after)

 

▲ MSI B350M 박격포 기본값

유휴 상태

▲ MSI B350M 박격포 기본값

풀로드 상태

▲ MSI B350M 박격포 3.8GHz OC

유휴 상태

▲ MSI B350M 박격포 3.8GHz OC

풀로드 상태

 
 
 
 오버클럭 안정화 확인

 

​​​​​​▲ MSI B350M 박격포 3.8GHz OC / CINEBENCH R15.038 64bit

 

 

▲ wPrime 2.10 / 1024M

 

 

 


 

 전원부 온도 측정

 

* 기본값 상태

▲ MSI B350M 박격포

기본값 유휴 상태

▲ MSI B350M 박격포

기본값 풀로드 상태

 

 

* 3.8GHz + CPU Voltage 1.3V

▲ MSI B350M 박격포

3.8GHz OC 유휴 상태

▲ MSI B350M 박격포

3.8GHz OC 풀로드 상태

 

 

 테스트 결과

 

이번 테스트에 사용된 RYZEN 5 2400G은 RYZEN CPU 출시 초와 마찬가지로 Tctl/Tdie 온도가 별도로 측정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추가적인 발열 해소에 도움을 주는 설정이기는 하지만, 코어 온도가 더 높게 측정되어 추가 클럭 인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합니다. 또한 새로운 프로세서에 대한 BIOS 안정화가 적용되지 않아 기본 상태에서 인가하는 CPU 전압도 소폭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기본으로 제공되는 AMD Wraith STEALTH 쿨러 역시 TDP 65W 급이므로 RYZEN 2400G의 장시간 풀로드에 적합하지는 않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 기본 상태에서는 APU의 완전한 성능을 끌어내지 가능성이 있는 편입니다. 다만 해당 문제들의 경우 이미 지난 RYZEN CPU에서 해결된 사례가 있는 문제인 만큼 추후에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됩니다.

 

MSI B350M 박격포는 기본 상태의 풀로드 환경에서 최대 69.7℃를 기록했으며, 유휴 상태에서는 약 61.2℃를 기록하였습니다. 모스펫이 노출된 구조인 것을 감안한다면 상대적으로 적절한 수준의 온도라고 볼 수 있겠으며, 코어 온도를 테스트 환경보다 더욱 낮게 유지할 수 있다면 더욱 안정적인 활용이 가능하겠습니다. 3.8GHz로 동작하는 오버클럭 상태에서는 풀로드 환경에서 최대 77℃를 기록했으며, 유휴 상태에서는 약 63.9℃에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했습니다. 해당 테스트에 사용한 쿨러가 전원부를 냉각이 이뤄지지 않는 타워형 쿨러임을 고려하더라도 추가적인 오버클럭에 부담이 없겠으며, 전체적으로 높은 안정성을 갖췄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소비전력 측정

 

 

Prime95 테스트를 진행하는 동안 소비전력을 측정해보았습니다.

소비전력의 측정은 Wattman 테스터기를 통해서 얻어지는 풀로드 상태 / 유휴 상태 데이터 값을 각각 20분 및 10분씩 추출하여, Active Power(W)를 기준으로 평균값과 최대값을 추출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w.jpg

※ 소비전력의 경우, Wattman 테스터기를 통해 얻어지는 데이터 값의 평균치(Average Watt)와 최대치(Peak Watt)를 측정했습니다.

 

 

 

 테스트 결과

 

 

MSI B350M 박격포의 소비전력을 측정한 결과, 기본 상태와 오버클럭 상태가 거의 동일한 소비전력 패턴을 보여주었습니다. 기본 상태에서는 유휴 상태에서 61.99W, 풀로드 상태에서 평균 130.36W(최대 134.3W)를 기록하였으며, 3.8GHz로 동작한 오버클럭 환경에서는 기본 상태에서 71.41W, 풀로드 상태에서 131.79W(최대 134.3W) 수준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기본 상태에서 인가되는 전압이 약 1.35V 이상인데 반해 오버클럭 상태에서는 약 1.3V로 기본 상태보다 더 낮은 전압이 인가된 결과로 볼 수 있겠으며, 향후 UEFI BIOS 수정을 통해 기본 상태에서의 인가전압이 최적화된다면 이번 결과보다 소폭 낮은 소비전력을 기록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아직까지 동종의 프로세서로 테스트가 진행된 데이터가 부족하기 때문에 소비전력 수준에 대한 평가를 내리기는 어렵지만, 일반적인 엔트리급 프로세서의 소비전력 수준을 기준으로 본다면 평균적인 수준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7 . CPU 인가 전압 테스트

 

오버클럭을 적용하는 경우 혹은 오버클럭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최적의 전압을 찾으려는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CPU 전압을 조절해야 합니다. CPU 전압은 메인보드의 종류와 메인보드에 내장된 LLC(CPU Load-Line Calibration) 옵션에 따라서 적용되는 값이 달라지는데, 사용자가 입력한 전압보다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등 일부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테스트 방법은 시스템 구성의 "기본값 상태"에서 CPU 전압만을 1.35V로 인가한 후, 각 LLC 단계별로 1분 가량 풀로드 / 유휴 상태의 CPU-Z 전압을 확인하는 형태로 진행했습니다.

본 테스트에서 사용된 MSI B350M 박격포는 Mode 1부터 Mode 8까지 총 8단계의 LLC 값을 제공함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해당 테스트는 시스템 구성이나 UEFI BIOS 버전,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유념해주시기 바라며, CPU 인가 전압량에 따라서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숙지해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테스트의 UEFI BIOS는 MSI B350M 박격포 7A37v1B 버전을 사용했습니다.

 

 

 


 

 테스트 결과

 

▲ CPU Load-Line Calibration "Mode 1" - LOAD (1.352V)

▲ CPU Load-Line Calibration "Mode 8" - LOAD (1.312V)

 

 

※ CPU 전압 기준: 1.35V

​​​​​​

각각의 CPU LLC 값을 테스트해 본 결과, 최솟값인 "Mode 8"에서는 풀로드 상태에서 최대 0.038V 가량 낮은 CPU 전압이 인가되었으며, 최댓값인 "Mode 1"에서는 풀로드 상태에서 최대 0.002V 상승한 수치를 기록하였습니다. MSI B350M 박격포의 LLC 옵션은 전 구간에서 큰 전압차를 보여주지는 않으며, 안정적인 시스템 동작에 집중하고 있는 세팅으로 보입니다. 시스템 구성이나 오버클럭 수치의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기는 하겠지만 일반적인 오버클럭 적용 사례라면 "Mode 1 ~ Mode 2" 가 추천되겠으며, 익스트림 오버클럭 등 풀로드 상태에서 추가적인 전압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동작을 원할 경우에는 "Mode 1"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다양한 LLC 모드 중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수치에 가장 가까운 값을 인가하는 옵션은 "Mode 1"이었습니다.

 

※ 해당 테스트는 Prime95 29.3을 통해서 풀로드를 걸었을 때 나타나는 전압의 표본으로, 로드량에 따라 인가 전압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전압 입력 수준에 따라서 위 도표와 다른 편차 폭을 보일 수 있음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8 . M.2 속도 테스트

최근 출시되는 메인보드는 M.2 슬롯이 PCIe 3.0 x4 레인을 Native로 지원하는 경우가 많아 최대 32Gbps의 대역폭을 제공합니다.
이에 따라 플레이웨어즈에서는 Samsung SSD 950 PRO 256GB(NVMe) 모델과 간단한 벤치마크를 통해서 메인보드의 M.2 대역폭을 어느 정도 활용하는지 측정해보았습니다.

 

※ 테스트에 사용된 M.2 SSD는 최대 속도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쓰로틀링을 방지하고자 방열판을 별도로 부착했음을 참고해주시기 바라며, M.2 SSD에 방열판을 장착할 경우 포트 위치에 따라 그래픽 카드 등과 간섭이 생길 수 있음을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 M.2 저장장치 테스트에는 삼성 SSD 950 PRO 256GB(NVMe) 모델이 사용되었습니다.

 

 

테스트에 사용된 장치 및 벤치마크 툴은 아래와 같습니다.

 

* 테스트 Motherboard : MSI B350M 박격포

* 테스트 M.2 : 삼성 SSD 950 PRO 256GB (NVMe)

* 벤치마크 툴
- Anvil's Storage Utilities 1.1.0
- AS SSD Benchmark 1.9.5986.35387
- ATTO Disk Benchmark v3.05
- CrystalDiskMark 5.2.0 (Random / 0Fill)
- HD Tune Pro 5.50 (Read / Write)

 

 

 


 

■ 테스트 결과

 

▲ Anvil's Storage Utilities

 

 

▲ AS SSD Benchmark (MB/s) ▲ AS SSD Benchmark (IOPS)

 

 

 ​​​​​​

▲ ATTO Disk Benchmark

 

 

​​​​​​

▲ CrystalDiskMark (Random) ▲ CrystalDiskMark (0Fill)

 

 

▲ HD Tune Pro (Read) ▲ HD Tune Pro (Write)

 

 

 

 테스트 결과 요약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다수의 벤치마크에서 최대 읽기 속도(Seq)의 상한선이 상대적으로 소폭 낮게 측정되었습니다. 하지만 기존 M.2의 대역폭인 10Gbps(1,250MB/s)보다는 높은 수치이며 실사용에 큰 문제는 없는 수준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MSI B350M MORTAR은 NVMe 인터페이스의 고성능 M.2 장치를 활용할 경우 엔트리급 데스크톱에 충분한 성능을 발휘할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9 . 결론

​​​​​​

AMD RYZEN CPU를 넘어 새로운 RYZEN APU까지 포용하는 엔트리 급 메인보드, MSI B350M 박격포

 

AMD에게 있어 2017년은 터닝포인트로 기념할만한 해가 되었습니다. CPU 부문에서는 불도저 아키텍처부터 시작된 FX 계열 프로세서를 완전히 정리하고 ZEN 아키텍처 기반 RYZEN 프로세서 라인업과 최초의 HEDT 프로세서인 Threadripper로 새 출발을 알렸으며, 그래픽 카드 부문에서는 Radeon R9 Fury X 이후 공석에 머물렀던 하이엔드 VGA 라인업에 Radeon RX Vega 56 & 64의 이름을 올리며 Radeon RX 500 시리즈와의 투톱 체제를 구축하게 되었습니다. 지난 2017년은 지난 몇 년간 AMD가 보여주었던 행보와는 다른 과감한 보폭으로 행동에 나서면서 다시 한번 메이저 제조사로의 위용을 드러내는데 성공한 한 해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2017년이 끝을 향하던 10월 27일에는 RYZEN 프로세서와 VEGA Graphics가 융합된 새로운 APU 시리즈를 발표함으로써 2017년의 상승세를 2018년에도 이어갈만한 여지를 남겨두었습니다. 

 

그리고 2018년 1월 8일, 새해 시작과 함께 개막한 CES 2018에서 AMD RYZEN APU를 공개함으로써 공격적인 행보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이 새로운 APU는 기존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이 보여주었던 내장 그래픽 성능을 큰 폭으로 상회하는 수준을 갖춤으로써, 게이밍과 그래픽 작업용 PC는 CPU+VGA 조합이라는 기본 전제를 무너뜨릴만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수혜를 가장 많이 받는 것은 별도로 VGA를 구성하지 않는 것이 선호되는 노트북과 미니 피씨, 사무용 피씨 등이 되겠으며, 지금까지 Intel이 독식하고 있는 이 시장에서의 점유율도 끌어올린다면 올 한 해의 전략도 성공적인 방향으로 흘러가게 될 것입니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서, AMD RYZEN 3 2200G와 5 2400G는 뛰어난 내장 그래픽 성능을 갖췄기 때문에 VGA가 없는 시스템 구성에 최고라 할 수 있겠습니다. 특히 두 제품이 각각 $99/$169라는 낮은 가격대에 출시되었다는 점도 가격대 성능비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데, 이번 리뷰를 통해 살펴본 MSI B350M 박격포와 조합한다면 매우 적절한 조합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MSI B350M 박격포는 AMD의 메인스트림 B350 칩셋을 장착한 Micro-ATX 폼팩터 메인보드로, AM4 기반 RYZEN 시리즈 서밋 릿지 CPU와 레이븐 릿지 APU를 모두 장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제품입니다. 오버클럭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원부는 MSI Military Class 5 디자인의 4+2페이즈 전원부를 갖추고 있으며, 습도 보호와 고열 저항, 회로 보호, ESD/EMI 보호 기능이 적용되어 안정적인 동작을 실현하고 있고, 추가적으로 EZ Debug LED와 IC 칩, DDR4 Boost, 여덟 가지 모드의 Load line Calibration도 갖춰 엔트리 급 시스템에 충분한 성능을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MSI B350M 박격포를 활용한 테스트에서는 AMD Wraith STEALTH 쿨러의 낮은 쿨링 능력으로 인한 높은 코어 온도 문제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부족함 없는 기량을 발휘하였습니다. 기본 상태에서는 풀로드 환경에서 약 69℃의 전원부 온도를 기록했으며, 3.8GHz로 동작하는 오버클럭 상태에서도 최대 77℃에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했습니다. 상단부 2페이즈 전원부 구성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방열판을 갖춘 모델에 비해 온도가 높게 측정될 여지는 있겠지만, 해당 수준으로도 매우 인상적인 수준이기 때문에 높은 코어 온도를 잡아줄 고성능 쿨러만 갖춘다면 4GHz 수준의 오버클럭도 시도해볼만하겠습니다. 다만 기본 상태에서 인가되는 전압이 필요 수준보다 소폭 높은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는 향후 UEFI BIOS 업데이트를 통해 조정될 것이기에 큰 문제는 없겠습니다.

 

MSI Arsenal GAMING 라인업 메인보드인 만큼, 게이밍 데스크톱에 중시되는 외부 인터페이스와 오디오, 그리고 PCI-Express 슬롯 등에 다양한 게이밍 특성들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우선 외부 인터페이스는 PS/2 콤보 포트와 2개의 USB 2.0, DVI-D/DP/HDMI 포트, 3개의 USB 3.1 Gen 1 Type-A 포트 및 1개의 Type-C 포트, 15KV 서지 방지가 적용된 이더넷 포트, SPDIF 광단자 연결이 가능한 오디오 포트까지 갖춰 최신 규격의 제품까지 폭넓게 지원됩니다. 특히 오디오 포트는 엔트리 급 제품임에도 일본 니치콘 캐퍼시터와 Realtek ALC 892 코덱을 갖추고 있고, LED 라인 쉴딩 처리로 인한 이점과 MSI Audio Boost를 활용한 최대 7.1채널 오디오 구성이 가능한 점이 돋보입니다. 또 이더넷 포트 하단의 USB 3.1 포트 2개는 VR READY가 적용되어 최신 VR 기기와 손쉽게 연동할 수 있고, MSI Super Charger USB가 적용돼 연결된 장치를 더 빨리 충전하도록 돕습니다. 디스플레이 포트는 RYZEN APU에서 기본으로 Radeon FreeSync 기능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FreeSync 지원 모니터 사용 시 더욱 부드러운 프레임을 즐길 수 있겠습니다.

 

또한 게이밍 데스크톱에 적합한 제품인 만큼 VGA를 장착하는 PCI-Express 3.0 x16 슬롯에 Steel Armor를 적용하는 것도 빼놓지 않았고, 드라이브 확장성은 4개의 SATA 3 포트와 NVMe SSD를 장착할 수 있는 Turbo M.2 슬롯 하나가 제공되어 보편적인 수준을 만족합니다. 이 외에도 EZ-Mode와 Advanced 모드를 제공하는 MSI Click Bios 5로 편리한 시스템 제어가 가능하며, 메인보드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MSI Command Center, 자동으로 BIOS 및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해주는 MSI Live Update 6, SSD를 최적화해주는 MSI Ramdisk, GAMING Hotkey, Mouse Contol 등 다양한 게이밍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메인터넌스가 가능하다는 점이 MSI B350M 박격포의 메리트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디자인에서는 정 사각형 PCB가 주는 단정함에 RED 앰비언트 LED를 적용하여 스포티한 느낌을 잘 살리고 있습니다. 그리고 MSI B350M 박격포에는 MSI MYSTIC LIGHT 헤더도 하나도 적용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 및 PC를 통해 RGB LED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며, MYSTIC LIGHT SYNC를 지원하는 제품 장착 시 화려한 LED 효과를 부가할 수 있기 때문에 보급형 제품임에도 충분한 LED 튜닝을 가능케 해주겠습니다.

 

MSI B350M 박격포는 2017년 3월에 출시된 메인보드로, 출시 1년 차가 되어가는 만큼 안정적인 가격과 성능을 기대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이미 출시 때부터 RYZEN 3 2200G 및 5 2400G를 곧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내장 그래픽을 위한 디스플레이 포트를 갖추고 있었기에 RYZEN APU를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며, RYZEN CPU를 사용한다고 하면 Steel Armor가 적용된 PCI-Express 3.0 x16 슬롯에 VGA를 장착하면 됩니다. MSI B350M 박격포는 RYZEN 기반 엔트리 급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적합한 구성을 갖추고 있으며, RYZEN APU 기반 게이밍 데스크톱 및 미니 PC를 상상해왔던 사용자들에게 현실적인 메인보드라 할 수 있겠습니다. RYZEN 3 2200G와 5 2400G를 손꼽아 기다려온 AMD 팬이라면, MSI B350M 박격포로 시스템을 실현하시길 바랍니다.

※ 글 작성일 기준 인터넷 최저가 : 99,300원

 

 

 

작성자 : 플레이웨어즈 안은월

 

 

 

 

 


<©플레이웨어즈(www.playware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상품

1/1

관련 카테고리

1/1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RTX 5090 탑재한 노트북이라고 하니 지나칠 수 없어서 만들어 본 뮤비. ASUS ROG 제피러스 G16 GU605CX 동영상 있음 다나와
디자인도 성능도 만족, ESSENCORE KLEVV DDR5-6400 CL32 URBANE V RGB 케이벤치
darkFlash DCM33 RGB : 미니미니한 3면 강화유리 어항 케이스 (2) 쿨엔조이
높은 작동 속도와 메모리 타이밍!! G.SKILL DDR56000 CL26 TRIDENT Z5 NEO RGB H 화이트 패키지 (32GB(16Gx2)) (1) 동영상 있음 쿨엔조이
더 튼튼해졌네? 100kg 하중까지 버티는 듀얼 모터 전동형 모션데스크 핏쳐 E2 동영상 있음 무적풍화륜
G.SKILL DDR5-6000 CL26 TRIDENT Z5 NEO RGB H 화이트 패키지 (32GB(16Gx2)): AMD 라이젠 프로세서에 최적화된 화이트 저지연 메모리 (1) 쿨엔조이
삼성이 출시한 뇌절 모니터? 오디세이 3D 직접 써봄! 동영상 있음 다나와
[리뷰] 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 더 편하게 먹는 익숙한 맛 게임동아
지능형 관리로 무장한 300W 출력 차세대 PoE 스위치 'ipTIME PoE2403Q' 뉴스탭
성능의 정점을 찍는 게이밍 괴수 'MSI 타이탄 18 HX AI A2XWJG-U9 UHD+ Mini LED WIN11' 뉴스탭
미니타워의 한계를 넘다 ‘darkFlash DB460M MESH RGB (화이트)’ 뉴스탭
아우디 뉴 A5, 짧은 만남 긴 여운 “성능은 탑인데 멀리서 보면 모르겠어” 오토헤럴드
요즘 최고의 가성비 작업용, 게이밍 프로세서 14세대 인텔 코어 i5 14400F 브레인박스
6000스코빌!! 오뚜기 라면의 맵쏘디 리뷰 동영상 있음 맛상무
저작권에 굴복하지 않고 내가 직접 음원 제작해 봤다! #ai #suno #sunoai #udio #udioai #mixaudio #mixaudioai 동영상 있음 다나와
이제는 진정한 Gen5 시대, 기가바이트 B760M AORUS ELITE GEN5 - 제이씨현 브레인박스
초고중량에 디자인까지 더하다!! 카멜마운트 싱글 게이밍 모니터암 MPS1G 동영상 있음 쿨엔조이
독일 전기차에도 아직 없는 기술이 들어간 EV4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구독자의 선물이 RTX 5080? ASUS ROG 아스트랄? '압도적 감사' 동영상 있음 DmonkTV
[써보니] 라인이 예술적인데? 싸이번 EDGE-CV-R5 파노라믹 뷰 케이스 위클리포스트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