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리뷰

2018.03.05. 11:42:55
조회 수
5,818
1
댓글 수
1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1 . 제품 소개

 

2017년 4분기에 출시된 인텔 8세대 커피레이크 프로세서는 일반 사용자용 CPU를 최대 4코어 8스레드로 규정하던 전략을 넘어서 최대 6코어 12스레드로 출시됨에 따라 컴퓨터 하드웨어 업계도 상당한 지각 변동이 일어났습니다. 최상위 제품인 Core i7-8700K는 7세대 Core i7-7700K 대비 최대 45%까지 증대된 메가 태스킹 성능과 25%가량 향상된 게이밍 프레임 레이트 확보로 월등한 성능을 자랑하고 있으며, 4코어로 제한됐던 Core i5 라인업은 최대 6코어로 증대되고, 2코어인 Core i3 라인업도 4코어로 확장되어 전 라인업의 성능이 큰 폭으로 상향되었습니다. 다만 최대 4코어 8스레드 기반 시스템을 가정하고 구축되어온 인텔 기반 컴퓨터 하드웨어 간의 밸런스가 재편되어야 한다는 문제도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여기서 핵심은 프로세서 코어 수 증대로 인해 시스템 전반의 발열 및 소비전력도 비례적으로 증가했다는 점에 있는데, 인텔 7세대 이전의 시스템을 온전히 활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 것입니다. 먼저 소비전력의 상승은 대부분의 파워 서플라이의 정격 용량 내의 여유 폭이었기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발열만큼은 전 제조사를 막론하고 상당한 이슈가 되었습니다. 이는 코어 수 증가로 인해 메인보드 전원부에 요구되는 출력이 상승하였고, 그것이 전원부 온도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입니다. 이 때문에 인텔 8세대의 등장과 함께 출시된 300 시리즈 메인보드들은 다소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였지만, 출시 이후 지속적인 소프트웨어 지원과 UEFI BIOS 업데이트가 최적화되어감에 따라 차츰 안정세를 유지해가고 있습니다.

 

물론 기본적으로 십수 개의 페이즈와 고품질 컴포넌트를 하이엔드 급 메인보드들은 소프트웨어 조율만으로 충분히 시스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 메인스트림-엔트리 급 제품들은 지금도 지속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조율이 이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들을 속시원히 해결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6코어 12스레드 사용을 상정하고 새롭게 하드웨어를 디자인하는 것이 되겠는데, 글로벌 컴퓨팅 하드웨어 제조사인 GIGABYTE(http://www.gigabyte.kr/)는 커피레이크 프로세서의 우수한 게이밍 성능은 살리고, 메인보드 전원부 안정성은 더욱 끌어올리기 위해 기존 Z370 AORUS ULTRA GAMING의 전원부와 디자인을 개선한 업그레이드 버전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출시했습니다.

 

 

 

 

새로운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은 그야말로 커피레이크 프로세서를 위해 다듬은 제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이 갖췄던 효율적인 인터페이스는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디자인 변경과 전원부 강화를 반영함으로써 더욱 높은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는 게이밍 메인보드로 거듭난 것입니다. GIGABYTE Z370 AORUS 메인보드 라인업 중에서는 Z370 AORUS GAMING 7과 GAMING 5를 상위 모델로 두고 있으며, Z370 AORUS GAMING 3보다 더욱 게이밍에 집중된 하드웨어를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전작인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과 비교했을 때 가장 큰 변화점은 기존 4+3페이즈 전원부에 초크와 캐퍼시터를 4개씩 추가해 더욱 안정적인 디지털 전원부를 갖추게 된 것이 첫 번째이며, 전반적인 디자인이 모두 변경되었다는 것이 두 번째입니다.

 

역동적인 게이밍 데스크톱을 원하는 사용자들을 겨냥한 제품답게, 디자인은 차콜 그레이와 AORUS 엠블럼을 화이트 스프라이트로 반영한 PCB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 RGB Fusion LED를 더욱 돋보이게 해줍니다.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과 비교하자면 기판의 AORUS 엠블럼을 축소함과 동시에 네이밍 폰트의 가독성을 끌어올리고 있고, 전원부 및 칩셋 방열판의 디자인 변경과 함께 AORUS M.2 Thermal Guard를 추가하여 더욱 고급스러운 인상을 주고 있습니다. 특히 PCB 레이아웃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PCI-Express 3.0 x16 슬롯과 DIMM 슬롯에 슬롯의 휨 및 파손을 방지하는 Ultra Durable PCIe Armor 및 Memory Armor를 적용해 GIGABYTE만의 강인한 면모를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I/O 인터페이스는 각각 하나씩의 USB 3.1 Gen 2 Type-C/A 포트가 배치되었으며, 4개의 USB 3.0 포트와 2개의 USB 2.0 포트도 제공되어 다양한 장치에 대응하고 있고, PS/2 포트 하단의 USB 3.0 포트 두 개는 노이즈를 제거해 최적의 오디오 품질을 제공하는 DAC-UP 2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아울러 프론트 패널용 USB 3.1 Gen 1 Type-C 헤더와 선더볼트 3 헤더까지 배치되어 있으므로 최신 규격의 장치에도 대응하고 있습니다. 몰입감 넘치는 사운드를 위한 오디오 기능은 ALC 1220 120dB SNR HD 코덱이 적용되어 있고 SPDIF 광출력 단자를 지원하는 7.1 채널 오디오 포트를 탑재해 게이밍 사운드 시스템 구축에 용이합니다. 추가적으로 효율적인 시스템 관리를 돕는 GIGABYTE APP Center와 SMART FAN 5, 3D OSD, EasyTune 소프트웨어도 함께 제공되어 모든 사용자가 편리하게 컴퓨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을 바탕으로 더욱 강력한 하드웨어로 되돌아온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은 어떠한 특징이 있으며, 성능 및 기능은 어느 정도 일지 자세한 사진 소개 및 테스트 진행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제품 특성

 

※ 공식 홈페이지 : http://www.gigabyte.kr/Motherboard/Z370-AORUS-ULTRA-GAMING-20-rev-10#kf

 

 

2 . 제품 외형 및 구성품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패키지 정면 사진입니다.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패키지 측면에는 제품에 대한 간단한 스펙과 시리얼 넘버가 기재되어 있습니다.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패키지 후면 사진입니다.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패키지 구성품입니다.

메인보드 본품과 사용자 설명서, 다국어 설치 설명서, 드라이버 디스크, G-Connecter, AORUS 금속 앰블럼, I/O 실드, M.2용 나사 세트, 4개의 SATA 3 케이블이 제공됩니다.

 

 

 

 

 

▲ 패키지에서 꺼낸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정면 사진입니다.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소켓 좌측 상단에는 시스템 쿨링용 헤더와 8(4+4)핀 전원 단자가 위치해 있습니다.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소켓 우측 상단에는 CPU 쿨링용 헤더와 수냉 펌프용 헤더가 위치해 있습니다.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은 인텔 8세대 커피레이크를 지원하는 LGA 1151 V2 소켓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 소켓 하단에는 M.2 장치의 스로틀링을 방지하는 M.2 Thermal Guard가 배치되어 있으며, 최대 22110 규격의 M.2 장치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의 DIMM 단자는 메모리 장착 시 발생할 수 있는 슬롯의 휨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UltraDurable Memory slot이 적용되었으며, RGB Fusion LED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우측 상단에는 디지털 LED용 헤더와 순수한 백색 구현이 가능한 RGBW 스트립용 헤더, 시스템 쿨링용 헤더가 위치해 있습니다.

 

▲ ATX 12V 24핀 소켓 우측에는 프론트 패널용 USB 3.0 헤더와 USB 3.1 Gen 1 Type-C용 헤더가 위치해 있습니다.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는 6개의 SATA 3 포트가 제공되며, 측면에 선더볼트 3 확장 커넥터가 위치해 있어 폭넓은 장치 연결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메인보드 우측 하단에는 온도 센서용 헤더, 프론트 패널용 USB 2.0 헤더 2개, 시스템 쿨링용 헤더 2개, 프론트 패널용 헤더가 위치해 있으며, 가장자리에 시스템 부팅 상태를 표기해주는 Dr.Dedug LED가 위치해 있습니다.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메인보드 좌측면에는 프론트 패널용 오디오 헤더, 디지털 LED용 헤더, RGBW 스트립 헤더, LED 데모 헤더가 위치해 있습니다.

 

▲ 오디오 패널은 라인 쉴딩 처리가 되어있어 노이즈를 방지하고, 후면에 RGB Fusion LED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오디오 하드웨어에는 ALC1220 120dB SNR HD 오디오 코덱과 WIMA FK2 캐퍼시터 및 니치콘 파인 골드 캐퍼시터가 조합되어 준수한 오디오 성능을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의 PCI-Express 3.0 x16 슬롯에는 그래픽 카드 장착 시 슬롯의 휨 및 파손을 방지하는 UltraDurable PCIe Armor가 적용되어있으며, 내부에 RGB Fusion LED가 적용되어 다채로운 LED 효과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PCI-Express 3.0 x16 슬롯 사이에는 2280 규격의 NVMe M.2 슬롯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의 I/O 인터페이스는 PS/2 포트와 USB DAC-UP을 지원하는 2개의 USB 3.0 포트, USB 3.1 Gen 2 Type-A/C 포트, HDMI 포트, 2개의 USB 3.0 포트 및 2개의 USB 2.0 포트, 이더넷 포트, SPDIF를 지원하는 오디오 포트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후면 사진입니다.

 

 

 

 

3 . 전원부, 칩셋 및 방열판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의 방열판을 모두 제거한 정면 사진입니다.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의 방열판을 모두 제거한 후면 사진입니다.

 

 

 


 

 전원부 및 방열판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은 4+3 페이즈 구성의 전원부를 갖추고 있습니다. 전작인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에 비해 초크 및 캐퍼시터가 각각 4개씩 추가로 배치되어 더욱 안정적인 전원부 성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I/O 아머 및 M.2 Thermal Guard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I/O 인터페이스 후면에는 USB 3.1 Gen 2 포트를 지원하는 ASMEDIA 3132 USB 3.1 컨트롤러가 위치해 있습니다.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에 적용된 M.2 Thermal Guard는 기본적으로 서멀 패드가 부착되어 있어 장치 후 곧바로 방열판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칩셋 및 방열판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은 인텔 Z370 칩셋을 장착했습니다.

 

​​​​​​

 

4 . UEFI BIOS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의 UEFI BIOS 화면입니다.

GIGABYTE 특유의 M.I.T. 화면을 기준으로 간결한 형태의 BIOS 메뉴를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 출시되는 메인보드 대다수가 제공하는 "Easy Mode"를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어를 정식 지원하여 보다 쉽고 간편하게 시스템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다만, 여타 다른 Motherboard와 마찬가지로 일부 전문적인 내용의 번역은 생략되었습니다.)

 

 


 

 UEFI BIOS 구성

 

 

 

 

 

 

 

 

 

 

 

 

 

 

 

 

 

 

 

 

 

 

 

 

 

 

 

 

 

 

 

 

 

 

 

 

 

 

5 . 테스트 구성

 

​​​​​​

 

발열 및 소비전력 테스트는 별도의 세팅을 하지 않은 기본 상태에서 EMCP(Enhanced Multi-Core Performance) 기능을 비활성화한 상태에서 측정을 진행했습니다.

오버클럭 테스트는 플레이웨어즈에서 자체적으로 지정한 수치를 적용했으며, 오버클럭 적용값은 테스트 사양표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CPU 쿨링의 경우 ANTEC KUHLER H2O H1200 PRO 쿨러를 활용했으며, 테스트 기준 실내 온도는 지속적인 에어컨의 ON/OFF로 23±1℃ 수준을 꾸준히 유지했습니다.

 

 

※ 본 테스트는 메인보드의 온전한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기 때문에 CPU로 인한 변수를 최대한 통제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플레이웨어즈는 Core i7-8700K의 IHS를 재접합(통상 "뚜따"라고 칭함)하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 원활한 메인보드 테스트를 위해 CORE i7-8700K의 IHS를 분리하여 Coollaboratory Liquid Pro를 도포한 후, 다우코닝 3140 TRV 실리콘으로 재접합시켰습니다.

 

 

▲ 파워 서플라이는 FSP AURUM PT1200W 80Plus PLATINUM을 사용했습니다.

 

 

6 . 발열 및 소비전력 측정

 스트레스(안정화; Stability) 테스트

 

 

Prime95-Mininized.jpg

 

시스템의 최대 소비전력을 측정해보기 위해서 Prime95 29.3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측정 방법은 Prime95의 LargeFFT 항목을 기준으로 테스트를 20분간 진행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였음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테스트는 Intel Core i7-8700K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VRM(전원부) 온도 및 소비전력을 측정했으며, 실내온도는 23±1℃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 온도 및 소비전력 측정은 사용자 환경 및 시스템 구성에 따라 다양한 변수가 존재할 수 있음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의 전원부(VRM) 온도 측정 / 바이오스 기본값 + Enhanced Multi-Core Performance(EMCP) OFF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의 전원부(VRM) 온도 측정 / 4.9GHz OC, 1.32V / CPU 로드라인 보정(LLC) "Turbo"

- VRM 온도 및 소비전력 측정 : CPU 온도는 Prime95 스크린샷에 포함된 AIDA64 센서 온도를 참조


유휴 상태(IDLE) - 풀로드 테스트를 마치고 10분 후 측정(Nothing After 10 minutes without)
풀로드 상태(LOAD) - Prime95를 통해 20분간 안정성 테스트를 진행(Prime95 Stability Test 20 minutes after)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기본값

유휴 상태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기본값

풀로드 상태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4.9GHz OC

유휴 상태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4.9GHz OC

풀로드 상태

 

 

 

 오버클럭 안정화 확인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OC

CINEBENCH R15.038 64bit

 

 

 

▲ wPrime 2.10 / 1024M

 

 

 


 

 전원부 온도 측정

 

기본값 상태 + EMCP OFF 상태

​​​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기본값 유휴 상태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기본값 풀로드 상태

 

* 4.9GHz 오버클럭 상태 / CPU Voltage 1.32V (LLC : Turbo)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4.9GHz OC 유휴 상태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4.9GHz OC 풀로드 상태

 

 

 테스트 결과

 

※ Z370 메인보드는 6코어 프로세서로 테스트를 진행하는 한편 전원부 냉각이 이뤄지지 않는 수냉식 쿨러가 사용되므로 일반 공랭식 시스템의 전원부 온도보다 조금 높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의 전원부 온도를 측정해 본 결과, EMCP가 적용되지 않은 기본 환경에서는 유휴 상태에서 약 48.3℃ 수준의 온도를 보여주었고, 풀로드 상태에서도 최대 74.5℃ 수준에 이르러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였습니다. 4.9GHz으로 동작하는 오버클럭 환경에서는 최대 106℃의 온도를 기록했으며, 유휴 상태에서는 기본 상태보다 약 10℃가량 높은 57.9℃를 기록하였습니다. 전작에 대한 테스트가 진행되지 않았으므로 직접적인 비교 분석은 어려우나, 동급 수준의 Z370 메인보드와 비교한다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온도를 유지했다고 판단됩니다. 특히 최근에 출시되는 반도체들의 경우 130~150℃ 선에서도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한 만큼 대부분 환경에서 무리 없는 오버클럭이 가능할 것으로 볼 수 있겠으며, 전원부에 대한 적절한 패시브 쿨링과 코어 온도를 안정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쿨러를 함께 활용한다면 추가적인 클럭 인가도 노려볼만 하겠습니다.

 

 

 


 

 소비전력 측정

 

 

Prime95 테스트를 진행하는 동안 소비전력을 측정해보았습니다.

소비전력의 측정은 Wattman 테스터기를 통해서 얻어지는 풀로드 상태 / 유휴 상태 데이터 값을 각각 20분 및 10분씩 추출하여, Active Power(W)를 기준으로 평균값과 최대값을 추출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w.jpg

※ 소비전력의 경우, Wattman 테스터기를 통해 얻어지는 데이터 값의 평균치(Average Watt)와 최대치(Peak Watt)를 측정했습니다.

 

 

 

 테스트 결과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의 소비전력 측정 결과, Enhanced Multi-Core Performance 옵션을 비활성화한 기본 환경에서는 유휴 상태에서 평균 60.29W, 풀로드 상태에서 평균 149.47W(최대 166.3W)를 기록해 일반적인 Z370 메인보드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오버클럭을 적용해 4.9GHz로 동작하는 환경에서는 유휴 환경에서 약 62.96W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풀로드 상태에서는 평균 223.67W(최대 263W)를 기록했습니다.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의 소비전력은 다른 Z370 메인보드와 비교했을 때도 평균적인 수준으로 볼 수 있겠지만, 추후 BIOS 업데이트로 CPU 인가전압의 편차 폭이 줄어든다면 더욱 안정적인 소비전력 수치를 보여주리라 예상됩니다.

 

7 . CPU 인가 전압 테스트

 

 

오버클럭을 적용하는 경우 혹은 오버클럭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최적의 전압을 찾으려는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CPU 전압을 조절해야 합니다. CPU 전압은 메인보드의 종류와 메인보드에 내장된 LLC(CPU Load-Line Calibration) 옵션에 따라서 적용되는 값이 달라지는데, 사용자가 입력한 전압보다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은 전압이 인가되는 등 일부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이번 인텔 Z370 메인보드는 CPU LLC 옵션에 따라서 인가 전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간략히 측정해보았습니다.

 

테스트 방법은 시스템 구성의 "기본값 상태"에서 CPU 전압만을 1.25V로 인가한 후, 각 LLC 단계별로 1분 가량 풀로드 / 유휴 상태의 CPU-Z 전압을 확인하는 형태로 진행했습니다.

본 테스트에서 사용된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는 Standard, High, Turbo의 3단계 LLC 값을 제공함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해당 테스트는 시스템 구성이나 UEFI BIOS 버전,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유념해주시기 바라며, CPU 인가 전압량에 따라서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숙지해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테스트의 UEFI BIOS는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F1 버전을 사용했습니다.

 


 

 테스트 결과

 

▲ CPU Load-Line Calibration "Standard" - LOAD (1.152V)

▲ CPU Load-Line Calibration "Turbo" - LOAD (1.260V)

 

 

※ CPU 전압 기준: 1.25V

 

 

각각의 CPU LLC 값을 테스트해 본 결과, 최솟값인 "Standard"에서는 풀로드 상태에서 최대 0.098V만큼 떨어지는 결과를 보여주었고, 최댓값인 "Turbo"에서는 최대 0.010V만큼 상승한 값을 보여주었습니다. 다만 테스트 과정 중 풀로드 상태에서의 인가 전압 변경이 다소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때때로 가변폭 이외의 값이 인가되기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해당 문제는 추후 BIOS 업데이트로 해결될 여지가 있어 실사용에는 큰 무리가 없겠으며, BIOS 버전 F1 기준으로 오버클럭 시에는 인가 전압과의 편차가 적은 "Turbo" 설정을 권장드리겠습니다.

 

※ 해당 테스트는 Prime95 29.3을 통해서 풀로드를 걸었을 때 나타나는 전압의 표본으로, 로드량에 따라 인가 전압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전압 입력 수준에 따라서 위 도표와 다른 편차 폭을 보일 수 있음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8 . M.2 속도 테스트

최근 출시되는 메인보드는 M.2 슬롯이 PCIe 3.0 x4 레인을 Native로 지원하여 최대 32Gbps의 대역폭을 지원합니다.
이에 따라 플레이웨어즈에서는 Samsung SSD 950 PRO 256GB(NVMe) 모델과 간단한 벤치마크를 통해서 메인보드의 M.2 대역폭을 정상적으로 활용하는지 측정해보았습니다.

 

▲ M.2 저장장치 테스트에는 삼성 SSD 950 PRO 256GB(NVMe) 모델이 사용되었습니다.

 

 

테스트에 사용된 장치 및 벤치마크 툴은 아래와 같습니다.

 

* 테스트 Motherboard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 테스트 M.2 : 삼성 SSD 950 PRO 256GB (NVMe)

* 벤치마크 툴
- Anvil's Storage Utilities 1.1.0
- AS SSD Benchmark 1.9.5986.35387
- ATTO Disk Benchmark v3.05
- CrystalDiskMark 5.2.0 (Random / 0Fill)
- HD Tune Pro 5.50 (Read / Write)

 

 

 


 

■ 테스트 결과

 

▲ Anvil's Storage Utilities

 

 

▲ AS SSD Benchmark (MB/s) ▲ AS SSD Benchmark (IOPS)

 

 

▲ ATTO Disk Benchmark

 

 

▲ CrystalDiskMark (Random) ▲ CrystalDiskMark (0Fill)

 

 

▲ HD Tune Pro (Read) ▲ HD Tune Pro (Write)

 

 

 

■ 테스트 결과 요약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다수의 벤치마크에서 최대 읽기 속도(Seq)가 기존 M.2의 대역폭인 10Gbps(1,250MB/s)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따라서,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는 NVMe 인터페이스의 고성능 M.2 장치를 활용할 경우 그에 걸맞는 충분한 성능을 발휘할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9 . RGB Fusion LED 데모 시연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에는 GIGABYTE의 자체적인 LED 제어 시스템인 RGB Fusion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해당 소프트웨어를 통해 AORUS 게이밍 메인보드만의 LED 효과를 만끽할 수 있으며, RGB Fusion을 지원하는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게이밍 기어 등과 동기화하면 더욱 일관성 있는 LED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RGB Fusion은 기본적으로 UEFI BIOS를 통해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지만, 모든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RGB Fusion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RGB Fusion 소프트웨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GIGABYTE APP Center를 함께 설치해야 하며, 이후 APP Center를 실행하면 RGB Fusion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경로는 아래를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 다운로드 링크 : http://www.gigabyte.kr/Motherboard/Z370-AORUS-ULTRA-GAMING-20-rev-10#support-dl 접속 후 유틸리티 > APP Center 및 RGB Fusion 다운로드

 

 

 

RGB Fusion 소프트웨어에서는 다양한 LED 모드와 색상, LED 모드 속도나 주기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순수한 백색 구현이 가능한 RGBW 스트립과 300개의 모듈이 장착된 디지털 LED를 함께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메인보드 측면에 위치한 Accent LED 파츠를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개성적인 LED 모드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겠습니다.

 

 

 

 

 


 

 RGB Fusion LED 데모 동영상 및 사진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의 RGB Fusion LED 모드 및 모듈은 VRM 영역을 제외하고는 전작인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과 동일합니다. 해당 메인보드의 RGB Fusion 영상은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의 동영상을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RGB Fusion LED Demo Preview (Up to 2160P)

 

 

 

 

 

 

 

 

 

 

 

10 . 결론

더욱 강력한 전원부로 재탄생한 울트라 게이밍 시리즈,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

 

GIGABYTE AORUS 메인보드를 포함해 대다수의 브랜드들은 성능과 디자인, 하드웨어의 지원 스펙 등으로 제품별 등급을 차별화합니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부품 가격과 디자인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메인보드가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CPU 라인업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는 게 옳습니다. 엔트리 급 메인보드에는 펜티엄/Core i3 같은 프로세서에 맞는 단가의 전원부 및 하드웨어가 포함되는 것이고, 메인스트림-하이엔드 급 메인보드는 Core i5 및 i7을 적절히 운용할 수 있는 수준의 성능을 갖추는 것입니다. 물론 소켓만 동일하다면 3~5 페이즈로 구성된 엔트리 급 메인보드에 하이엔드 급 프로세서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칩셋과의 호환성이 매칭되지 않아 인터페이스를 완벽하게 활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며, 발열 및 소비전력을 제대로 소화해내지 못해 장기적으로는 정상적인 활용이 어려운 상황이 연출될 수 있습니다.

 

물론 데스크톱 시스템을 직접 조립하는 대다수의 사용자들이 메인보드와 CPU 등급 간의 상관관계를 잘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자신이 사용하게 될 프로세서 성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 메인보드를 고르기 마련인데, 전 라인업에서 2개씩 코어가 증가한 커피레이크 프로세서에서는 이러한 상관관계의 균형이 흐트러져 다소 혼선이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기존의 메인스트림 급 컴포넌트를 갖춘 메인보드에서 메인스트림 프로세서를 활용하는 데는 큰 문제가 없지만, 전체적인 발열 및 소비전력이 과거에 비해 한 단계씩 오르게 됨에 따라 기존의 상식선에서 예상했던 수준보다 더욱 활용하기가 어려워진 것입니다. 이로 인해 많은 제조사에서 프로세서 및 전원부의 발열 및 소비전력에 관련된 이슈가 발생하게 되었고, 소비자들 역시 인텔 7세대 이전과 8세대 프로세서에 대한 근본적인 차이점을 추가로 고려해야 하게 되었습니다.

 
인텔 8세대 커피레이크 프로세서 출시 후 4개월이 지난 지금, OS와 메인보드의 소프트웨어, 펌웨어의 지원이 계속되고 있어 해당 문제는 차츰 진화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하드웨어의 성능을 강화하는 것이 확실한 해결책이라는 결론이 바로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의 등장 배경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ATX 폼팩터 메인보드인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은 전작의 4+3 페이즈 디지털 전원부에 전압 변화를 유도하는 초크와 전기를 임시적으로 수용하는 Durable Black 캐퍼시터를 각 4개씩 추가 배치해 같은 클럭에서도 더 낮은 전원부 온도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전반적인 수명과 성능 면에서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메모리는 DDR4를 지원하는 메모리 슬롯 역시 최대 4,000MHz의 X.M.P 메모리를 지원하며, Ultra Durable Memory Armor가 적용되어 강인한 내구성과 높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PCI-Express 3.0 슬롯에도 Ultra Durable PCIe Armor가 적용되어 있어 슬롯의 휨 및 파손을 방지하고 NVIDIA 2-Way SLI 및 AMD 3/2-Way CrossFire를 지원해 원활한 다중 그래픽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겠습니다.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의 전원부 영역 개선은 Intel Core i7-8700K 프로세서를 활용한 발열 및 소비전력 테스트에서 확실한 개선점을 보여주었습니다. EMCP 기능을 비활성화해 4.3GHz로 동작하는 풀로드 환경에서는 최대 74.5℃에서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였고, EMCP 기능을 활성화한다면 약 90℃ 내외의 온도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4.9GHz 오버클럭을 적용한 상태에서도 약 106℃에서 안정적인 상태를 보인 만큼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물론 오버클럭을 포함한 다양한 동작 환경에 부족함이 없겠습니다. 특히 테스트 환경에 전원부에 대한 쿨링이 이뤄지지 않는 수냉식 쿨러가 사용되었고, 패시브 쿨링 역시 이뤄지지 않는 것을 감안한다면 실사용 상황에서는 더욱 좋은 수준을 보이리라 예상됩니다.

 

ATX 폼팩터 메인보드인 만큼 기능적인 면에서도 부족함 없는 수준을 갖추고 있습니다. 확장성에서는 1개씩의 USB 3.1 Gen 2 Type-C/A 포트와 4개의 USB 3.0 포트, 2개의 USB 2.0 포트를 갖추고 있고, 헤더 형식으로 USB 3.1 Gen1 Type-C와 선더볼트 3, USB 3.0까지 확장할 수 있어 추가적인 장치 입력에도 대응하겠습니다. 다만 내장 그래픽 사용 시 활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포트는 DVI-D 포트가 삭제되고, HDMI 포트만 갖추고 있습니다. 드라이브 구성에서는 6개의 SATA 3 포트와 함께 Intel Optane Memory를 지원하는 NVMe M.2 Type 22110/2280 슬롯이 제공됩니다. 이중 Type 22110 슬롯은 M.2 Thermal Guard가 기본으로 제공되어 M.2 장치의 발열을 빠르게 해소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ULTRA GAMING"이라는 이름답게 게이밍을 위한 기능 역시 잘 갖추고 있습니다. 오디오는 ALC 1220 120dB SNR HD 코덱을 기반으로 WIMA FK2 캐퍼시터 및 니치콘 파인 골드 캐퍼시터를 갖춰 메인스트림 급으로는 좋은 품질의 사운드를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특히 SPDIF 광단자와 7.1 채널 구성이 가능한 오디오 포트, USB 타입의 오디오 연결 시 노이즈를 줄여주는 USB-DAC UP 2 같은 인터페이스도 구현되어 있어 다양한 오디오 장치 활용에 이점이 있습니다. 게이밍 데스크톱의 분위기를 북돋아줄 수 있는 RGB Fusion 기능 역시 상위 제품 못지않은 수준입니다. 순수한 백색 구현이 가능한 RGBW 스트립과 300개의 모듈을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는 디지털 LED 모듈이 상 하단에 두 개씩 총 4개가 배치되어 있으며, 소프트웨어를 통한 8개의 RGB LED 모드 및 위치별 LED 모드 설정이 가능해 폭넓은 LED 튜닝이 가능합니다.

 

추가적으로 게임 중 PC 상태를 모니터링해주는 3D OSD와 Game Boost 및 Smart HUD, 하드웨어 오버클럭 등을 활용할 수 있는 GIGABYTE APP Center 같은 소프트웨어와 Dual BIOS, Dr.Debug 등과 같은 하드웨어도 포함되어 있는 만큼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은 게이밍을 포함한 보편적인 메인스트림 급 데스크톱 구성에 효율적이겠습니다.

 

 

 

전작인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에 대한 상세 리뷰가 진행되지 않았기에 새로운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에서 상향된 점을 비교 분석할 수 없었던 점은 아쉽지만, 전원부 컴포넌트가 추가 배치된 만큼 전작보다는 더욱 좋은 테스트 결과일 것이라고 예상해볼 수 있겠습니다. 따라서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은 단순히 방열판과 PCB 디자인만을 리비전한 것이 아닌, 확실하게 발열 및 소비전력 이슈를 해결한 풀 체인지 모델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은 새롭게 메인스트림 급 게이밍 데스크톱을 구성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추천드릴만 한 제품이며, 가벼운 오버클럭과 RGB LED 튜닝과 같은 부가적인 요소를 추구하는 사용자들에게도 확실한 재미를 보장할 수 있는 메인보드입니다. 인텔 커피레이크 프로세서의 뛰어난 게이밍 퍼포먼스를 누리고 싶다면, GIGABYTE Z370 AORUS ULTRA GAMING 2.0과 조합해보시길 바랍니다.

※ 글 작성일 기준 인터넷 최저가 : 222,000원

 

 

 

작성자 : 플레이웨어즈 안은월

 

 

 

 


<©플레이웨어즈(www.playware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관련 브랜드로그

1/1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전세계 동시 발매~ 신제품 삼양 탱글3종 리뷰 (3) 동영상 있음 맛상무
ESSENCORE KLEVV DDR5-6400 CL32 CRAS V RGB AMD 패키지 서린 (32GB(16Gx2)) : AMD 라이젠 시스템에 최적화된 고성능 게이밍 메모리 쿨엔조이
진정한 가성비 미니타워 케이스 '마이크로닉스 WIZMAX 오닉스' 미디어픽
업그레이드된 네트워크 스토리지, Synology DiskStation DS925+ 브레인박스
와! 이게 노트북이라고? RTX5080을 품은 게이밍노트북 레노버 리전 Pro7i 테스트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2슬롯이면 충분! ‘PALIT 지포스 RTX 5060 Ti Infinity 3 D7 16GB 이엠텍’ 미디어픽
플레이어언노운의 고독한 생존게임 ‘고 웨이백’ 체험기 게임메카
[긴급공지] 진짜 아무것도 손델 필요 없는 극강의 직배수 로보락 로봇청소기를 4일간 폭풍할인 합니다!! 동영상 있음 공구왕황부장
[시승기] 디자인 가다듬고 배터리 용량 확대해 돌아온 ‘제네시스 GV60 부분변경’ IT동아
날렵하고 가벼운 최고급형 슬림 노트북, 삼성전자 갤럭시북2 프로 SE NT950XFT-A51A 한사랑씨앤씨 노트포럼
⚪화이트 컬러로 재탄생한 대장급 공랭 쿨러!! PCCOOLER CPS RZ820 화이트 동영상 있음 쿨엔조이
PCCOOLER CPS RZ820 화이트 : 고성능 듀얼 타워 이제는 화이트로도 만나보자! 쿨엔조이
보급형 공유기의 새로운 기준, 아이피타임 N704SR & N604SR 베타뉴스
반 값 전기차 이미 나왔다? 테슬라, 폭스바겐은 언제?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한 발 빠른 KGM의 전기 픽업 무쏘 EV 동영상 있음 모터피디
더 비싼 로봇청소기 사지 마세요, 이걸로 충분합니다 (나르왈 Freo Z10) (4) 동영상 있음 고나고
모토구찌 V7 스페셜 시승 리뷰 | 유럽산 클래식 바이크 오토바이 입문 리터급 추천 배기음 | 중고 시세 공부 필수 동영상 있음 포켓매거진
와퍼를 대신할 버거킹 신제품 (1) 동영상 있음 맛상무
전설의 테이진 어퍼, 이거 어떻게 참음? TLSS STRIKER 711 MG와 TF를 신어봤다! 동영상 있음 Allthatboots TV
작고 느린 SSD를 가진 마이크로소프트 서피스 랩탑에 새생명을, Seagate 파이어쿠다 520N M.2 2230 NVMe (2TB) (1) 브레인박스
이 시간 HOT 댓글!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