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에 제가 계속 플래그쉽 헤드폰 위주로 하고 있는데요.
젠하이져도 빼놓을 순 없겠죠. HD800의 후속작 HD800S 리뷰 시작하겠습니다.
HD800에서는 그리 큰 변화는 생기지 않았지만 하얀색 디자인 위주이던 프레임 색상을 검은색으로 바뀌었고
별도 케이블을 통해 밸런스 입력을 지원 받는다는게 HD800과 다릅니다.
디자인만큼은 독특함이나 세련됨은 단연코 최고라고 하고 싶습니다.
기존의 HD800도 상당히 디자인은 수려했지만 개인적으로 HD800S가 더 나은 것 같습니다.
착용감도 매우 훌륭한 편입니다.
대신 이어컵이 꽤 큰 편이라 얼굴이 작으시다면 저음이 좀 잘 빠지는 구조입니다.
청음샵에서 대여받은 제품이라 패드가 많이 눌린 것 같습니다.
내부 드라이버 디자인은 HD800과 달라진 점은 없는 듯합니다.
주의: 패드 뜯으시면 다시 결합하기 힘드실 수 있으니 절대 따라하지 마세요.
Specification
본사 사이트에서 가져온 스펙입니다.
본 데이터는 샘플 1개의 측정 데이터로 전체 제품 특성을 반영하지 않습니다.
1. Frequency Response + Target
가장 먼저 보는 그래프는 주파수 특성 그래프에 올리브-웰티 타겟을 적용하였습니다. 올리브-웰티 타겟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상단의 측정 방법 확인 링크를 클릭해 보세요. 그리고 1/3옥타브 스무딩을 적용하여 실제 청음과 비슷하고 보기에도 편한 그래프입니다.
2디비 코멘트
3k Hz 대역도 적당히 나오고 고역에도 크게 거슬릴만한 부분이 없어 밸런스는 상당히 괜찮았습니다.
앞서 말했듯이 헤드폰 패드가 상당히 꺼져 있어 기존 새제품보다 저음이 더 잘 들릴 것으로 추측합니다.
오픈형 헤드폰 치고는 매우 저음이 잘 나옵니다. 대신 고음이 강조되어 있어 저음 양감이 크게 느껴지진 않습니다.
개인적인 느낌상 HD800보다 고음역이 약간은 더 강조된 것 같습니다만, 큰 차이가 있는 것 같진 않습니다. 6k Hz 피크가 약간 거슬리는 정도인데 치찰음 대역인 7k Hz보다 약간 아래라 강조된 느낌이 나쁘진 않았습니다.
2. Frequency Response Raw
주파수 특성 그래프의 Raw 데이터이고, 스무딩을 적용하지 않은 원본 그래프입니다.
3. THD
THD는 전반적으로 낮지만, 저음 대역에서 튀는 구간들이 눈에 띕니다.
4. Impedance
최소 350옴에서 공진점에서 최대 약 650까지 임피던스가 상승하였습니다. 젠하이저 드라이버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데, 공진 주파수에서 공진점을 두 배수 정도로 높게 설계합니다. 다른 HD600/ HD650도 비슷합니다.
Price
인터넷 최저가 2.100,000원에 구매 가능 -> 이어폰샵
<ⓒ 영디비(http://www.0d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