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제품 소개 및 특징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는 어떤 제품군이든 대개 어느 정도의 등급이 존재하며, 그 중에서도 최상위의 제품들은 출시 시기 기준으로 가장 높은 성능이나 가치, 품질을 보여주곤 합니다. IT 계열에서는 이러한 제품군을 가리켜 흔히 "하이엔드"로 지칭하는데, 모든 부품들이 최고 수준은 아니더라도 전체적인 성능이 일정 수준 이상 발휘된다면 하이엔드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부품이 최고 수준으로 구성된다면 사용자가 현재 노트북 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최상의 성능을 얻는 것이 가능하겠으며, 이러한 구성의 제품이야말로 진정한 하이엔드라 칭할 수 있겠습니다.
기가바이트의 게이밍 브랜드 AORUS의 노트북들은 외형 디자인에 큰 변화를 주지는 않지만 압도적인 게이밍 성능을 보이면서 타 브랜드와 차별화를 두고 있습니다. 올해에도 배수 락이 해제되어 오버클럭이 가능한 Intel 8세대 Core i9-8950HK Coffee Lake 프로세서 + NVIDIA GeForce GTX 1080 8GB 외장 그래픽 조합으로 구성된 AORUS X9 DT V8(리뷰 링크) 제품을 출시하여 웬만한 데스크톱 PC를 무색하게 하는 성능을 선보인 바 있는데, 이번에는 i7-8850H Coffee Lake 프로세서 + NVIDIA GeForce GTX 1080 8GB 외장 그래픽 조합의 AORUS X7 DT V8을 통해 하드코어 게이머들에게 어필하고 있습니다.
엄밀히 말해 현재 AORUS X 시리즈 중 가장 최상위급 게이밍 노트북은 X9 DT V8이 맞겠지만, 오버클럭이 가능한 프로세서에 GTX 1080, 32GB 메모리, 1TB NVMe SSD를 탑재한 17.3" 모델은 아무래도 가격적 부담이 크기 마련입니다. AORUS X7 DT V8은 X9 DT V8 대비 프로세서, 메모리, 저장장치 등의 스펙을 다소 낮추면서도 3D 게이밍 성능의 핵심인 외장 그래픽 카드를 그대로 유지하여 좀 더 합리적인 가격대로 맞춘 모델입니다. 그럼에도 가격대가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표준 수준이라 할 수 있는 i7-8750H 프로세서 + NVIDIA GeForce GTX 1060 구성의 게이밍 노트북에 비해서 확실하게 하이엔드급 성능을 제공해줄 것이기 때문에 충분히 납득 가능한 부분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X9 DT V8 대비 스펙을 낮춘 만큼 발열, 소음, 배터리 시간 등의 제반 사항에서도 어느 정도 이득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장 최상위는 아니지만, 표준 성능을 상회하며 하이엔드급 게이밍 성능을 제공해줄 AORUS X7 DT V8은 과연 어느 정도의 모습을 보일지, 외형과 내부를 살펴보고 다양한 벤치마크와 테스트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Specifications
제품 소개 페이지 : https://www.aorus.com/product-detail.php?p=745&t=35&t2=&t3=
2 . 패키지 및 외형
※ 본 리뷰에 사용된 제품은 샘플이므로 실제 판매 제품과는 구성이 다소 다를 수 있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패키지 디자인 및 크기는 기존 AORUS X7 모델과 동일합니다.
▲ 전원 어댑터의 스펙 역시 기존 AORUS X7 모델과 동일합니다.
▲ 노트북 패키지 내에는 품질 보증서, 빠른 시작 가이드, AORUS 로고 스티커, 유틸리티 설치용 USB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노트북 본체의 크기는 428 x 305mm이며 두께는 22.9~25.4mm, 무게는 배터리 포함 약 3.2kg으로 이전 AORUS X7 모델과 완전히 동일합니다.
▲ 사용자 기준 좌측면에는 도난 방지용 켄싱턴 락, 유선 랜 커넥터, USB 3.1 Type-A 포트 3개, 오디오 단자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 사용자 기준 후면에는 전원 단자 및 USB 3.1 Gen.2 Type-A 포트 1개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 사용자 기준 우측면에는 SD 카드 리더기(UHD-II), Thunderbolt 3, USB 3.1 Type-C, HDMI 2.0, Mini DP 1.4 단자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 17.3" 크기에 FHD 해상도, 144Hz, NVIDIA G-Sync를 지원하는 IPS 디스플레이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 디스플레이부 우측 하단에는 X-Rite Pantone 인증 디스플레이임을 표기하는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 아이솔레이션 타입의 AORUS RGB Fusion 키보드가 탑재되어 있으며, 사용자 지정 프로파일을 빠르게 불러올 수 있는 G키 역시 그대로 적용되어 있습니다.
3 . 내부 확인
※ 본 리뷰에 사용된 제품은 샘플이므로 실제 판매 제품과는 구성이 다소 다를 수 있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내부 확인을 위해 하판을 분리한 모습입니다.
▲ 내부 레이아웃은 히트 파이프의 형태를 제외하면 기존 AORUS X7 모델과 거의 동일한 편입니다.
▲ 기본 탑재된 HDD는 2.5" 규격의 HGST 1TB (7200RPM)입니다.
▲ 기본 탑재된 메모리는 V-Color DDR4-2666 8GB 2개이며, 듀얼 채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개의 여유 슬롯을 통해 최대 64GB까지 인식시킬 수 있습니다.
▲ 기본 탑재된 SSD는 Toshiba XG3 NVMe M.2 SSD 512GB입니다. 1개의 여유 슬롯을 통해 NVMe 또는 SATA 규격의 M.2 SSD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 배터리 역시 기존 AORUS X7 모델과 동일한 6,200mAh (94.24Wh)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4 . 프로세서 성능
AORUS X7 DT V8에 탑재된 Intel 8세대 Core i7-8850H Coffee Lake 프로세서(Intel ARK 페이지 링크)는 9MB의 스마트 캐시와 기본 2.6GHz / 터보 4.3GHz의 클럭을 보유하고 있으며, 6개의 코어 및 12개의 스레드를 제공합니다.
![]() |
![]() |
![]() |
![]() |
■ CINEBENCH R15.038
■ Handbrake 1.0.7 64bit
■ wPrime 2.10 / 1024M
■ AIDA64 Engineer Report : CPU Queen
■ PCMark8 : Home Accelerated
i7-8750H와 i9-8950HK의 사이에 위치한 i7-8850H 프로세서는 6코어 12쓰레드, 기본 2.6GHz 터보 4.3GHz의 클럭, 9MB의 스마트 캐시를 갖추고 있어 예상했던 만큼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테스트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클럭이 높은 만큼 더 좋은 성능을 나타냈으며, 일부 결과는 i9-8950HK에 근접한 결과를 내기도 했습니다. 사용자가 주로 하는 작업에 따라 체감 성능은 달라질 수 있겠으나 기본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갖추었다는 것은 자명하므로 이미지 작업이나 동영상 재생, 웹서핑 등의 일반적인 작업은 물론 동영상 렌더링과 같은 멀티코어 작업에도 여유롭게 활용할 수 있겠습니다.
5 . 3D 그래픽 및 게임 성능
Intel 8세대 Core i7-8850H Coffee Lake 프로세서 + GIGABYTE GeForce GTX 1080 8GB 외장 그래픽 + V-Color DDR4-2666 메모리 16GB (듀얼채널) + Microsoft Windows 10 Home 64bit 구성으로 게임성능 벤치마크가 진행되었습니다.
테스트에 사용된 그래픽 드라이버 버전은 398.36이며, CPU에 내장된 그래픽이 활성화되지 않는 NVIDIA 논옵티머스 기술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또한, 기본 제공되는 Command&Contro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코어 클럭을 최대 50MHz 가량(GPU Lv.4) 올릴 수 있는데, 본 리뷰에서는 기본 설정값인 GPU Lv.0를 사용한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GPU-Z 정보는 GPU Lv.4를 적용했을 때의 스크린샷입니다.
■ Benchmark Setting
■ FutureMark 3DMark : Fire Strike v1.1
- Fire Strike : Normal (1080P), Extreme (1440P), Ultra (2160P)
※ 3DMark Test Entry : Default / Demo OFF / Graphics Score
■ FutureMark 3DMark : Time Spy DX12
- Time Spy : Normal (1080P)
- Async Compute : ON / OFF
※ 3DMark Test Entry : Default / Demo OFF
■ FutureMark VRMark : Orange Room / Cyan Room / Blue Room
- Orange Room TEST
- Cyan Room TEST
- Blue Room TEST
■ UNIGINE Benchmark
- Heaven Benchmark 4.0 / Valley Benchmark 1.0 / SUPERPOSITION Benchmark 1.0
※ Preset : Extreme / Extreme HD / 1080p High
■ Benchmark Result
▲ Async Compute OFF
▼ Async Compute ON
■ Game Setting
■ METRO 2033 REDUX
- PRESET : Very High
- 1920x1080
■ ASSASSIN'S CREED ORIGINS
- PRESET : 가장 높음
- 1920x1080
- NOTE : 벤치마크 실행
■ FAR CRY 5
- Graphics Quality : 울트라
- 1920x1080
■ FOR HONOR
- PRESET : 최고급
- 1920x1080 / 전체 평균 및 장면2 기준 평균 프레임레이트 측정
■ DEUS EX: MANKIND DIVIDED (DX11 / DX12)
- Graphic Option Preset : Ultra
- 1920x1080
■ TOTAL WAR: WARHAMMER II (DX12 / BETA)
- Graphic Option Preset : Ultra
- 1920x1080
■ Game Result
데스크톱 환경에서 고사양을 요구하는 게임들 위주로 테스트해본 결과, 최대 해상도인 FHD를 기준으로 웬만한 데스크톱용 레퍼런스급 GTX 1080 그래픽 카드에 크게 밀리지 않는 인상적인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레퍼런스 대비 베이스 클럭은 조금 낮지만 부스트 클럭은 오히려 높은 편이고, 이를 뒷받침해주는 쿨링 솔루션이 확실히 마련되어 있어 이러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데... 굳이 비교를 하지 않더라도, 고사양 3D 게임의 최고 그래픽 옵션에서 평균 60 FPS를 무난하게 확보하는 모습으로 충분히 평가를 내릴 수 있겠습니다. 일부 게임들은 옵션을 조금 타협할 경우 최소 프레임까지 60 FPS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게이밍 성능에 관해서는 모든 사용자들이 만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6 . 스토리지 성능
■ Windows Disk Info
![]() |
![]() |
■ Crystal Disk Info
![]() |
![]() |
■ Crystal Disk Mark (C:\)
■ ATTO Disk Benchmark (C:\)
■ HD Tune Pro (D:\)
본 제품은 Toshiba XG3 NVMe M.2 512GB SSD + HGST 1TB HDD (7200RPM)로 구성되어 있으며 C:\에 복구 파티션이 포함되어 있어 C:\의 실사용 공간은 약 394GB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전반적인 스토리지 성능도 높은 편이고, 고용량 SSD와 HDD로 조합된 구성도 만족스러우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는 SATA 혹은 NVMe 규격의 M.2 SSD를 하나 더 추가할 수 있는 확장성까지 갖추었기 때문에, 게임은 물론 그 외의 작업을 하더라도 충분한 활용도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7 . 발열 및 소음
■ 발열
테스트 결과... 주 발열원은 이전 AORUS X7 모델과 마찬가지로 노트북 중간 부분에 위치한 전원 버튼 주변이며, 전반적인 발열량은 이전 X7, X9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지만 부위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풀로드 시 상판의 온도는 기존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 하판의 경우 이전 X7, X9 모델들에 비해 낮아진 온도를 보이고 있는데... 언뜻 보면 상판의 발열 해소력이 낮아보일 수도 있지만, 쿨링 솔루션의 영향을 덜 받는 디스플레이부 하단의 잔여 발열이 높게 측정된 것이고 사용자의 손이 위치하는 하판부의 발열은 빠르게 해소되기 때문에 고사양 3D 게임을 장시간 플레이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실사용에서 발열로 인한 불편함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소음
※ 측정 장비 정보
Sontek
TS95 Noise test booth
테스트에 사용된 소음 박스 장비는 간이소음측정 박스로... 1000hz이상의 음역대에서는 무향실과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편으로, 상대적으로 저음역대의 차폐에는 손색이 있습니다. 차음량 STC 25수준 보증, 정확한 음색특정보다는 대략적인 소음수준 판별에 유의한 장비입니다. 사용자가 실제 사용시를 상정하여 노트북 본체 상단에서 약 10cm 거리에서 측정하였습니다.
Cirrus Reserch plc
CR-172A Optimus sound level meter
for Enviromental & Occupational Noise
주요기능 요약
1. Real-time 1:1 옥타브 밴드
* 31.5hz ~ 16,000hz 측정범위
(31.5 / 63 / 125 / 250 / 500 / 1000 / 2000 / 4000 / 8000 / 16000)
* 전체 측정구간을 대상으로 각 밴드별 Leq값을 표기합니다.
2. 녹음기능
* 16bit 16khz WAV형식 , 또는 32bit 96Khz WAV형식 지원
* 측정과 녹음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으며, 녹음 발동 조건지정 가능 (음의 세기 등..)
* 4GB 내장메모리 제공
* PC의 마이크단자에 스테레오 케이블을통한 직결가능 => 마이크로 기능
3. Class2 인증의 고성능과 폭넓은 범용성
* 최하 21dB / 최고 140dB까지의 측정범위 제공
* EU, UK, OSHA, MSHA, ACGIH등 기관 표준 산법을 모두 제공
NC값은 아래의 표를 참고삼아 보시기 바랍니다.
이전 AORUS X7, X9와 쿨링 솔루션 및 내부 레이아웃이 거의 동일한 만큼 X7과는 비슷한 수준의 소음치를 보였고 X9보다는 좀 더 낮은 소음치를 나타냈습니다.
물론 하이엔드급 중에서도 최상위인 X9 모델은 4개의 쿨링팬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이긴 하지만, 하드웨어 스펙을 고려하더라도 2개의 쿨링팬으로 동급 이상의 우수한 발열 억제력을 보였고 소음치에서도 이득을 얻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게이밍 성능 대비 충분한 메리트를 제공받을 수 있겠습니다.
8 . 배터리 시간 및 소비전력
PCMark8을 사용한 배터리 라이프 테스트에서는 화면 밝기 100%, 전원 옵션 고성능 상태로 약 1시간 35분이 측정되었습니다.
이전 AORUS X7, X9와 완전히 동일한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지만, 프로세서의 세대가 바뀌면서 전체적인 성능이 상승했음에도 X7 대비 배터리 시간이 40% 가량 증가하였으며, X9 대비로는 조금 낮지만 이는 X9의 휘도값이 낮은 만큼의 오차로 볼 수 있겠습니다. 프로세서의 내장 그래픽이 비활성화된 NVIDIA 논옵티머스 기술이 적용되어 있어 긴 배터리 시간을 갖추기 어려운 구조이지만, 하이엔드급 게이밍 노트북으로써 기본적인 사용 형태가 거치 상태임을 고려했을 때 큰 단점으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9 . 디스플레이 측정(Measurement) 매뉴얼 / 옵션
디스플레이(Display) 테스트는 KONICA MINOLTA사의 측정(Measurement) 장비인 CA-310과 전용 소프트웨어 ColorTaster를 사용합니다.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여주기 위해 일정 시간 화면 에이징을 선행하며, 변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특정 환경을 제외, 암실(Darkroom)에서 측정을 진행합니다.
■ OSD(On Screen Display)
전용 소프트웨어 Command & Control을 제공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관련으로 화면의 밝은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Brightness, 색상 최적화 X-rite PANTONE 캘리브레이션 모드(Pantone), Color Gerent에 포함된 색온도, 시력보호 Blue-light Killer 모드를 각각 적용할 수 있는 구성입니다.
▲NVIDIA 제어판
또한, 주사율(Refresh Rate) 최대 144Hz 설정이 가능하고 NVIDIA G-SYNC를 함께 지원하는 구성입니다. 초당 144개의 화면이 표현되는 고주사율 지원으로 매끄러운 시청 환경(또는 사용감)을 누려볼 수 있고 프레임 동기화 기술 G-SYNC를 통해선 빠른 게이밍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면 찢김(Tearing)/끊김(Stuttering)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메리트가 있습니다.
10 . 휘도(Luminance) / 명암비(Contrasrt Ratio)
■ 휘도(Luminance)
휘도(Luminance)는 밝기를 뜻하며 단위는 nit(니트) 또는 cd/㎡(칸델라)입니다. 높은 휘도를 지원하면 야외에서도 화면을 선명하게 바라볼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Brightness 조절
▲Pantone(X-rite PANTONE 캘리브레이션) 모드
▲Color Gerent 선택
옵션 대부분 200nit 후반에서 300nit 중반 사이의 휘도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휘도가 가장 높은 경우는 Color Gerent의 Native(335nit)이며, 색상 최적화를 위한 Pantone 모드에서는 304nit의 휘도가 확인됩니다. 색온도(K) 설정에서는 특성이 따뜻한 느낌에 가까워질수록(값이 낮아질수록) 휘도가 낮아지는 점을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밝은 야외에서도 크게 어둡지 않은 시청 환경을 기대할 수 있겠고 어두운 실내나 야간 사용에서는 Brightness 조절로 눈에 부담이 적은 화면을 연출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
■ 명암비(Contrast Ratio)
명암비(Contrast Ratio)는 밝고 어두움의 대비를 비율로 나타낸 것으로 패널(Panel)의 영향이 가장 큰 항목입니다. Black 휘도(밝기)가 낮을수록 진하고 디테일한 암부 표현에 유리하며 그만큼 명암비도 높게 형성됩니다. 일반적으론 VA 패널에서 명암비가 가장 높고 다음이 IPS, TN 패널순입니다.
▲Luminance(Black) : 0.34nit
▲Brightness 조절
▲Pantone(X-rite PANTONE 캘리브레이션) 모드
▲Color Gerent 선택
암부 표현을 위한 Black 색상은 0.3nit대의 저휘도로 표현되고 있으며 명암비는 옵션에 따라 800:1-1000:1 사이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화면에서 눈에 띄는 빛샘이나 색상 왜곡이 확인되지 않고 있으니 웹서핑, 컨텐츠 감상이나 게이밍 화면 등에서 무난한 암부 표현을 기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라 하겠습니다. 물론, 암부 표현이나 균일도 혹은 빛샘 현상은 동일 제품간에도 출고 상태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색상 왜곡은 광시야각 지원 여부에 따라서도 차이가 발생하게 되니 이 점은 참고바랍니다.
11 . 감마(Gamma) / 색 온도(Color Temperature)
■ 감마(Gamma)
감마(Gamma)는 곡선 형태에 따라 색의 진함/연함이 다르게 표현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같은 색이라도 감마에 따라 전혀 다른 느낌으로 보여질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디스플레이 옵션(게임, 영화, 사진 등...)이 아닌 경우 표준 감마(2.2)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작업, 컨텐츠 감상 등의 활용에 두루 효과적입니다.
▲Gamma
▲RGB
감마 표준 2.2를 따라가는 곡선이 확인되며 RGB 표현 역시 표준에 가까운 상태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제공 옵션으로 큰 변화를 주긴 어렵지만, Pantone(X-rite PANTONE 캘리브레이션) 모드 및 다수의 모드가 감마 표준에 최적화된 상태이므로 이미지나 영상 컨텐츠의 감상 또는 게이밍 등의 다양한 환경에서 자연스러운 톤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색 온도(Color Temperature)
색 온도(Color Temperature)는 따뜻한(Warm), 차가운(Cool) 또는 붉은(Reddish), 푸른(Bluish) 화면으로 특징을 구분합니다. 색온도 표준 6500K를 기준으로 값이 낮을수록 화면이 붉게 느껴지며 반대로 높은 경우엔 화면이 푸르게 느껴지며 작업을 고려할 경우 색 온도 표준을 권유하지만, 일반 사용에서는 취향에 따라 선택해도 무방한 항목입니다.
▲Pantone(X-rite PANTONE 캘리브레이션) 모드

▲Color Gerent 선택
▲Blue-light Killer 단계
색온도 관련으론 표준 6500K에 상당히 가까운 Pantone(x-rite PANTONE 캘리브레이션) 모드가 제공되며, Color Gerent에서는 실제 값과 조금 차이가 있지만 표준에 가까운 6800K 모드, 푸른 느낌이 더해지는 Native, 따뜻한 느낌에 가까워지는 6000K, 5800K와 같은 선택지가 마련되어 있는 게 특징입니다. Blue-light Killer에서는 단계가 100%에 가까워질수록 블루라이트 감소 효과가 커지고 색온도는 4000K대로 내려가는(노란 느낌이 가까운) 특징이 있습니다. Pantone 모드와 Color Gerent 모드를 통해 표준에 가까운 설정, 컨텐츠/사용자 취향/시력보호를 목적으로 색온도를 각각 적용할 수 있는 구성입니다.
12 . 색 재현(Color Reproduction Rangle) / 시야각(Viewing Angle)
■ 색 재현(Color Reproduction Range)
색재현(Color Reproduction Range) 결과를 통해 제품 고유의 표현 방식을 알 수 있습니다. 제품 각각의 스펙을 참고하여 sRGB 또는 Adobe RGB 기준에 색공간(색역)이 얼마만큼 근접해 있는지 확인합니다. 기준을 모두 만족하지 않더라도 사용에 무리는 없으나 기준에 가깝고 넓은 색 표현 범위를 가질수록 작업, 감상 등으로 두루 사용하기 효과적입니다.
▲색공간 및 커버리지
▲3D LAB, 기본
▲Color Gerent의 5800K(위) / Native(중간) / Blue-light Killer 100%(아래) 비교
Pantone(X-rite PANTONE 캘리브레이션) 모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이며 그에 걸맞게 sRGB 색 표준에 가깝게 맞춰진 커버리지/색역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널리 쓰이는 sRGB 표준에 가까운 색역을 활용할 수 있어 다양한 컨텐츠를 아우르기에 효과적인 상태라 하겠습니다. Command & Control의 Color Gerent 설정에서는 항목에 따라 색역이 달라지는 참고사항이 있고 특히 따뜻한 느낌이 강한 5800K 선택에서는 블루 색상이 일부 감소하고 블루라이트 감소를 위한 Blue-light Killer에서는 주 목적에 따라 블루 색상이 상당히 많이 감소하는 차이가 확인됩니다. 디테일한 만족은 개인마다 다를 수 있지만 표준(sRGB)에 가깝고 추가 옵션으로 변화를 줄 수 있는 색역 지원은 분명 이점이 되겠습니다.
■ 시야각(Viewing Angle)
시야각(Viewing Angle)은 시인성과 더불어 색감에도 영향을 주게 됩니다. 여러 각도에서 일정한 밝기와 색 표현이 유지될 때 광시야각 디스플레이로 판단합니다.
IPS 액정을 적용한 17.3인치 디스플레이로 좌우 또는 상하에서 바라보는 화면에 색상 왜곡이 확인되지 않습니다. 각도가 극적일수록 밝은 정도가 조금 다르게 보여질 수는 있지만, 색상 자체가 크게 왜곡되는 경우는 없으므로 다양한 화면 배치/감상을 지원하는 광시야각 디스플레이로 이점이 있습니다.
13 . 결론
AORUS X7 DT V8
Design & Function
외형적으로는 기존 AORUS X7 시리즈의 모델들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익숙한 모습의 키보드, I/O 포트 등의 구성 및 배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7.3" 디스플레이 크기로 인해 휴대에 부담이 없지는 않지만 하이엔드급 고성능 게이밍 노트북으로써 슬림형 디자인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AORUS X 시리즈의 아이덴티티를 찾을 수 있겠습니다. 기능적으로도 이전 AORUS V7과 거의 동일하게 NVIDIA G-Sync 및 논옵티머스 기술, ESS SABRE Hi-Fi Audio DAC, X-Rite Pantone 인증 디스플레이 등을 제공하여 하드웨어 스펙의 업그레이드와 더불어 만족스러운 사용감을 제공하겠고 USB 3.1 Type-C, Thunderbolt 3, HDMI 2.0, 미니 DP 1.4, SD 카드 리더기 등 다수의 단자를 갖추어 편의성과 호환성을 충분히 제공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Performance
일반적인 게이밍 노트북에 탑재되는 i7-8750H보다 한 단계 위인 i7-8850H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GIGABYTE GeForce GTX 1080 8GB 외장 그래픽과 V-Color DDR4-2666 메모리 16GB 듀얼채널 구성을 갖추어 매우 우수한 게이밍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웬만한 고사양 3D 게임에서 평균 60 FPS를 확보하는데 문제가 없고, 옵션을 조금 타협한다면 최소 프레임도 60 FPS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게이밍 성능에 대해 부족함을 느낄 사용자는 거의 없으리라 예상됩니다. 이러한 게이밍 성능을 뒷받침해주는 저장공간 역시 빠르고 넉넉한 구성을 갖추고 있으며 적절한 확장성까지 갖추고 있으므로 하이엔드급 게이밍 노트북이라는 이름값에 걸맞는 제품으로 판단됩니다.
Temperature & Noise
쿨링 솔루션과 내부 레이아웃이 기존 AORUS X 시리즈와 거의 비슷하여 전체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무난한 억제력을 보여주었으나, 비슷한 구조를 유지한 만큼의 개선된 모습을 나타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쿨링 솔루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디스플레이부는 어쩔 수 없지만, 하판(바닥부)이나 사용자의 손이 닿는 상판(키보드부)의 발열 억제력이 좀 더 좋아졌고 발열 해소력도 향상되었기 때문에, 고사양 3D 게임을 장시간 플레이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무난한 소음치와 더불어 큰 불편함없이 사용 가능한 상태라 할 수 있겠습니다.
Battery & Power Consumption
이전 AORUS X 시리즈와 동일한 스펙의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고 하드웨어 스펙이 상승했음에도 기존보다 더 긴 배터리 시간을 보이는 인상적인 결과를 나타냈습니다. 하드웨어 스펙과 배터리 효율이 동시에 올라간 것은 분명히 좋은 점이지만, NVIDIA 논옵티머스 기술이 적용된 하이엔드급 게이밍 노트북인 만큼 부담없이 휴대하기에는 여전히 무리가 있습니다. 물론 제품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큰 단점으로 보긴 어렵겠으며, 거치 상태를 기본으로 하되 적정 수준의 휴대성도 보유하고 있는 제품으로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Display
눈부심 방지에 효과적인 안티글레어 디스플레이, 광시야각 IPS 액정을 적용한 17.3인치 디스플레이를 기본 특징으로 하며 입력단자(썬더볼트, HDMI, Mini DP)를 통한 외부 디스플레이 연동을 지원하는 구조입니다. 기능적으론 Full-HD(1920x1080) 해상도에서 주사율 144Hz 설정을 지원하고 NVIDIA G-SYNC를 더할 수 있는 구성으로 쾌적한 게임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눈에 띈다 할 수 있는데 이와 함께 X-rite PANTONE 캘리브레이션 모드 지원으로 자연스러운 색상 표현까지 기대할 수 있는 것 또한 강점입니다. 전용 소프트웨어 Command & Control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캘리브레이션 모드는 물론 다수의 색온도 또는 블루라이트 감소 옵션을 적용할 수도 있으니 디스플레이는 게이밍과 더불어 다양한 컨텐츠 활용에 어울리는 표준 색상, 취향/목적에 따라 변경할 수 있는 색온도 및 시력보호 옵션을 두루 제공하는 다용도 디스플레이로 쓰여질 수 있겠습니다.
Conclusion
고성능 + 슬림형이라는 특징을 고수해온 AORUS 브랜드의 하이엔드급 게이밍 노트북으로, 신작답게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된 성능과 여러 개선점을 갖춘 제품입니다. 외형 디자인이나 내부 구조에 따른 특성 등에 큰 변화가 없다는 것은 장점으로도, 단점으로도 작용할 수 있지만 이전부터 AORUS X 시리즈를 계속 구매해온 사용자가 아니라면 크게 걸리는 부분은 아니겠으며, 데스크톱 PC에 준하는 게이밍 성능을 제공한다는 점은 명백하기 때문에 하이엔드급 게이밍 노트북을 원하는 사용자, 일반 게이밍 노트북보다 더 높은 성능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확실한 메리트를 제공하는 제품으로 평가됩니다.
※ 글 작성 시 기준 인터넷 최저가 (SSD 512GB + HDD 1TB 기준) : 3,505,310원
사진, 벤치마크, 글 작성 : Playwares Nakotaku
디스플레이 : Playwares breezenoon
<저작권자 (C) 플레이웨어즈(www.playware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