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하고 잘 사는, 다나와 : 가격비교 사이트

다나와 앱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다나와 APP
다나와 가격비교 No.1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 앱으로
간편하게 최저가를 확인하세요.
- -
QR코드
빈 이미지
다나와 앱 서비스 목록 닫기

ASUS PRIME X370-PRO iBORA 리뷰

2018.07.31. 09:55:26
조회 수
3,964
2

공유하기

레이어 닫기

지금 보는 페이지가 마음에 든다면
공유하기를 통해 지인에게 소개해 주세요.

로그인 유저에게는 공유 활동에 따라
다나와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자세히 >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Ctrl+V)하세요.

레이어 닫기

1 . 제품 소개

 

 

AMD의 2세대 라이젠 시리즈라고 할 수 있는 레이븐 릿지 및 피나클 릿지 프로세서들이 어느덧 가격 안정화 수순으로 접어들었습니다. 레이븐 릿지의 경우 AMD Ryzen 3 2200G가 4코어를 탑재한 제품으로는 유례없는 수준의 가격대 성능비를 보여주면서 엔트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많은 사용자들의 이목을 사로잡는데 성공했고, 피나클 릿지 역시 초기 프리미엄의 거품이 많이 걷히고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접어들면서 AMD 시스템을 구성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에게 높은 메리트를 선사하고 있습니다. 물론 AMD 시스템이 높은 관심을 받는 것의 이면에는 인텔 프로세서의 공급이 부족해질 것이라는 뉴스와 함께 국내 판매가가 평균적으로 상승한 영향도 적지는 않을 것입니다.

프로세서의 가격이 구매욕을 당기는 수준까지 내려간 것과는 달리, 메인보드의 가격은 적정 수준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습니다. 사실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게 취급되는 부품이 프로세서와 메인보드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시스템 전체 구성 비용을 낮추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메인보드듸 가격을 줄일 필요가 있습니다. 비용에 구애를 받지 않는 경우라면 당연히 큰 걱정 없이 하이엔드 레벨의 제품을 구매해서 강력한 시스템을 구성하면 되겠지만, 대다수의 경우라면 금전적인 타협을 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자신이 시스템을 활용할 목적이나 방향에 맞는 제품을 올바르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AMD는 자사에서 출시하는 AM4 규격의 프로세서에 대해서, 향후 5년동안 꾸준한 지원을 약속한 바가 있습니다. 기존 AM3/AM3+ 규격 메인보드도 오랜 시간동안 별도의 소켓 변경 없이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통해서 새로운 프로세서를 지원했다는 점을 상기해본다면 결코 거짓말은 아닐 것이라 생각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같은 이유로, 기존에 출시되었던 AMD 300 시리즈 메인보드 역시 바이오스 업데이트만 거치면 2세대 라이젠 프로세서를 온전히 지원하며, 시중에서 판매 중인 300 시리즈 메인보드를 곧바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미리 적용해둔 경우도 적잖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시 시스템 구성 이야기로 돌아가보자면, 결국 저렴하게 메인보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현재 판매 중인 B350이나 X370, 그리고 X470 메인보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단순히 저렴한 모델을 원한다면 B350 메인보드 혹은 해외 매체나 쇼핑몰에서 노출된 B450 메인보드가 멀지 않은 시일 내에 판매될 것으로 예상되기에 구매하면 되겠지만, 보다 강화된 전원부나 기능이 추가된 제품을 원한다면 역시 X370 메인보드나 저렴한 X470 메인보드를 선택해야할 것입니다. 기존에 예측되던 것과는 달리 PBO(Precision Boost Overdrive)와 같은 기능 역시 X370 메인보드에서 온전히 지원하기 때문에 최근 X370 메인보드가 여러 각도에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이전 세대 제품이지만 기능적인 부분에서 큰 차이가 없다면, 새제품의 출시로 저렴해진 X370 라인업을 노려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것입니다. 이를테면, ASUS의 메인스트림 브랜드라고 할 수 있는 PRIME 계열에서도 적절한 가격대 성능비와 AURA RGB LED까지 갖추고 있는 알짜배기 제품, ASUS PRIME X370-PRO iBORA과 같은 제품이 여기에 해당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ASUS PRIME X370-PRO는 그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ASUS의 메인스트림 라인업을 담당하는 "PRIME" 라인업에 속하는 제품으로, AM4 소켓 규격의 AMD 라이젠 프로세서와 DDR4 메모리를 정식 지원하는 ATX 규격 메인보드입니다. 최근 몇 세대에 걸쳐 화이트톤의 색상 테마를 강조하는 ASUS PRIME 라인업 답게, 해당 제품 역시 은색의 전원부 방열판과 흰색의 칩셋 방열판을 지닌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 출시하는 메인보드 제품들이 일반적으로 I/O 아머를 지니고 있는 것과 달리 해당 제품은 I/O 아머를 지니지 않았습니다. 대신 가격의 메리트를높이고 기능적인 면을 보강하여 다방면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여지를 마련해두고 있습니다.

이를테면, PCI-Express 슬롯의 휨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2개의 PCI-Express 3.0 x16 규격 슬롯에 SafeSlot 기술을 적용하거나 8개의 SATA 3 포트와 1개의 PCIe 3.0 x4 M.2 슬롯을 제공해 여러 저장 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 USB 3.1 Gen2 Type-C 전면 헤더를 비롯해 입출력 단자에 USB 3.1 Gen2 Type-A 포트를 2개 제공하는 점 등 확장성에 있어서는 충분히 우수한 면모를 보여줍니다. 또한, AURA RGB LED 지원을 위한 스트립 헤더와 오디오 라인의 RGB LED를 통해서 튜닝 효과도 제공하고 있다는 것 역시 매력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비록 지난 세대에 출시된 제품이기는 하지만, 기능 측면에 있어 부족함이 없고 가격적인 메리트는 최대한 끌어올린 ASUS PRIME X370-PRO는 다양한 시스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메인보드라고 생각되는데, 지금부터 사진과 테스트를 통해서 해당 제품을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품 특성

 

※ 공식 홈페이지 : https://www.asus.com/kr/Motherboards/PRIME-X370-PRO

 




2 . 제품 외형 및 구성품

 

▲ ASUS PRIME X370-PRO 패키지 정면 사진입니다.

 

 

 

 

 

▲ ASUS PRIME X370-PRO 패키지에는 AMD RYZEN DESKTOP 2000 READY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어 AMD 레이븐릿지/피나클릿지 프로세서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 ASUS PRIME X370-PRO 패키지 후면에는 레이아웃 설명과 제품 특성이 간략히 기재되어 있습니다.

 

 

 

 

 

 

▲ ASUS PRIME X370-PRO 패키지에는 사용자 설명서와 빠른 시작 설명서, 새로운 피나클릿지/레이븐릿지 대응 관련 업데이트 소개, 드라이버 디스크, CABLEMOD 20% 할인 쿠폰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ASUS PRIME X370-PRO 패키지에는 위에서 서술한 패키지 구성품 외에도 I/O 쉴드와 Q-커넥터, 4개의 SATA 3 케이블, SLI HB 브릿지, M.2용 나사 1세트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 ASUS PRIME X370-PRO 제품 정면 사진입니다.

 

 

▲ ASUS PRIME X370-PRO는 안정적인 CPU 전력 공급을 위해 8(4+4)핀 전원 단자를 제공합니다.

 

 

▲ ASUS PRIME X370-PRO는 AMD 1세대 및 2세대 라이젠 프로세서인 서밋 릿지 / 레이븐 릿지 / 피나클 릿지를 정식 지원합니다.

 

▲ ASUS PRIME X370-PRO의 상단 전원부 우측에는 CPU 쿨링팬용 헤더와 옵션 헤더가 위치해 있습니다.

 

▲ ASUS PRIME X370-PRO의 좌측 전원부 하단에는 케이스 쿨링팬용 헤더와 일체형 수냉식 쿨러 펌프용 헤더, AURA RGB LED 스트립용 헤더, CPU 쿨러를 위한 USB 2.0 헤더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 ASUS PRIME X370-PRO의 24핀 메인보드 전원 단자 하단에는 USB 3.1 Gen2 Type-C 전면 헤더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 ASUS PRIME X370-PRO는 총 8개의 SATA 3 포트를 제공합니다.

 

 

 

▲ ASUS PRIME X370-PRO의 우측 하단에는 전면 패널용 헤더를 비롯해 시스템 쿨링팬용 헤더와 온도 센서, CMOS 클리어 점퍼, USB 3.0(3.1 Gen1) 헤더 및 USB 2.0 헤더 등이 위치해 있습니다.

 

▲ ASUS PRIME X370-PRO 좌측 하단에는 TPM 헤더와 전면 패널용 오디오 헤더 등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 ASUS PRIME X370-PRO의 PCI-Express 3.0 x16 규격 슬롯 2개에는 SafeSlot 기술이 적용되어 있어 슬롯의 휨 및 파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ASUS PRIME X370-PRO의 최상단 PCI-Express 3.0 x16 슬롯과 CPU 소켓 사이에는 PCIe 3.0 x4 M.2 슬롯이 위치해 있습니다.

 

 

 

 

▲ ASUS PRIME X370-PRO의 입출력 단자입니다.

PS/2 콤보 포트와 USB 3.0(3.1 Gen1) 포트 2개, 레이븐 릿지의 내장 그래픽 출력을 위한 DP / HDMI 단자, USB 3.0(3.1 Gen1) 포트 및 Type-C 포트, USB 3.1 Gen2 Type-A 포트 2개, USB 3.0(3.1 Gen1) 포트 2개, 인텔 기가비트 이더넷 포트, 오디오 단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ASUS PRIME X370-PRO 제품 후면 사진입니다.

 

 



3 . 전원부, 칩셋 및 방열판

 

▲ ASUS PRIME X370-PRO의 방열판을 모두 제거한 정면 사진입니다.

 

▲ ASUS PRIME X370-PRO의 방열판을 모두 제거한 후면 사진입니다.

 

 

 


 

 전원부 및 방열판

 

 

▲ ASUS PRIME X370-PRO는 10(6+4)페이즈 DIGI+ 전원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칩셋 및 방열판

 

 

 

▲ ASUS PRIME X370-PRO에는 AMD X370 칩셋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4 . UEFI BIOS

 

ASUS PRIME X370-PRO의 UEFI BIOS 화면입니다.

 

ASUS 특유의 미려한 디자인이 적용된 EZ / Advanced Mode를 제공하며, 간단한 설정부터 각종 헤더 활성화 여부까지 세분화된 설정값을 제공합니다.

또한, 정식으로 한국어를 지원하기 때문에 편리한 옵션 설정이 가능합니다.
(다만 여타 다른 Motherboard와 마찬가지로 일부 전문적인 내용의 번역은 생략되었습니다.)

 

 


 

 UEFI BIOS 구성

 

 

 

 

 

 

 

 

 

 

 

 

 

 

 

 

 

 

 

 

 

 

 

 

 

 

 

 

 

 

 

 

 

 

 

 

 

 

 

 

 

 

 

 

 

 

 

 

 

 

 

 

 

 



5 . 테스트 구성

 

 

 

발열 및 소비전력 테스트는 별도의 세팅을 하지 않은 기본 상태에서 측정을 진행했습니다.
CPU 쿨링의 경우 테스트 환경에 따라 AMD 레이스 프리즘 쿨러를 활용했으며, 테스트 기준 실내 온도는 지속적인 온열기의 ON/OFF로 23±1℃ 수준을 꾸준히 유지했습니다.

 

 

▲ 테스트에는 FSP AURUM PT1200W 80Plus Platinum 파워 서플라이가 사용되었습니다.



6 . 발열 및 소비전력 측정


 스트레스(안정화; Stability) 테스트

 

 

Prime95-Mininized.jpg

 

시스템의 최대 소비전력을 측정해보기 위해서 Prime95 29.4 Build 8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측정 방법은 Prime95의 LargeFFT 항목을 기준으로 테스트를 20분간 진행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였음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테스트는 AMD Ryzen 7 2700X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VRM(전원부) 온도 및 소비전력을 측정했으며, 실내온도는 23±1℃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 온도 및 소비전력 측정은 사용자 환경 및 시스템 구성에 따라 다양한 변수가 존재할 수 있음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ASUS PRIME X370-PRO의 전원부(VRM) 온도 측정 / 바이오스 기본값​

- VRM 온도 및 소비전력 측정 : CPU 온도는 Prime95 스크린샷에 포함된 AIDA64 센서 온도를 참조


유휴 상태(IDLE) - 풀로드 테스트를 마치고 10분 후 측정(Nothing After 10 minutes without)
풀로드 상태(LOAD) - Prime95를 통해 20분간 안정성 테스트를 진행(Prime95 Stability Test 20 minutes after)

 

▲ ASUS PRIME X370-PRO

기본값 유휴 상태

▲ ASUS PRIME X370-PRO

기본값 풀로드 상태

 

 


 

 전원부 온도 측정

 

* 기본값 상태


▲ ASUS PRIME X370-PRO

기본값 유휴 상태

▲ ASUS PRIME X370-PRO

기본값 풀로드 상태

 

 

 테스트 결과

 

Prime95 안정성 테스트에서 ASUS PRIME X370-PRO은 기본 상태에서 약 83.6℃ 수준의 최대 온도를 보였고, 유휴 시에는 약 44.4℃ 수준에서 전원부 온도가 안정화되었습니다. ASUS PRIME X370-PRO의 경우 기본 상태로 시스템을 활용할 시 1.3~1.45V 사이의 자동 전압이 인가되기 때문에 일부 AMD 메인보드에서 1.5V 이상 높게 인가되는 문제로부터는 어느 정도 자유롭다고 볼 수 있으며, 피나클 릿지 프로세서 자체가 기존 서밋 릿지보다 전압 측면에서 조금 여유로운 모습을 보이는 만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는 더 낮은 코어 온도를 위해서 언더 볼티지 작업을 적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

 

다만, AMD Ryzen 7 2700X의 기본 상태에서도 전원부 온도가 80℃ 수준으로 측정된 만큼, 추가적인 오버클럭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수준의 전압과 코어 클럭 수치를 넣어주는 것이 중요하겠으며 추가적인 액티브/패시브 쿨링을 통해 전원부 온도를 안정화시키는 것 역시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소비전력 측정

 

 

Prime95 테스트를 진행하는 동안 소비전력을 측정해보았습니다.

소비전력의 측정은 Wattman 테스터기를 통해서 얻어지는 풀로드 상태 / 유휴 상태 데이터 값을 각각 20분 및 10분씩 추출하여, Active Power(W)를 기준으로 평균값과 최대값을 추출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w.jpg

※ 소비전력의 경우, Wattman 테스터기를 통해 얻어지는 데이터 값의 평균치(Average Watt)와 최대치(Peak Watt)를 측정했습니다.

 

 

 

 테스트 결과

 

 

소비전력 측정에서 ASUS PRIME X370-PRO은 기본 상태에서 약 189.73W 수준의 풀로드 소비전력이 측정되었고, 최대 소비전력은 207.6W를 기록했습니다. AM4 규격 메인보드 중에서는 무난한 수준의 소비전력 수치라고 볼 수 있겠으며, 전압 인가량이 1.5V에 가까운 수치로 튀는 현상이 적기 때문인지 소비전력 역시 큰 폭으로 널뛰기하기보다는 안정적인 선에서 반복되는 패턴을 보여주었습니다.



7 . M.2 속도 테스트

 

최근 출시되는 메인보드는 M.2 슬롯이 PCIe 3.0 x4 레인을 Native로 지원하여 최대 32Gbps의 대역폭을 지원합니다.
이에 따라 플레이웨어즈에서는 Samsung SSD 950 PRO 256GB(NVMe) 모델과 간단한 벤치마크를 통해서 메인보드의 M.2 대역폭을 정상적으로 활용하는지 측정해보았습니다.

▲ M.2 저장장치 테스트에는 삼성 SSD 950 PRO 256GB(NVMe) 모델이 사용되었습니다.

 

 

테스트에 사용된 장치 및 벤치마크 툴은 아래와 같습니다.

 

* 테스트 Motherboard : ASUS PRIME X370-PRO iBORA

* 테스트 M.2 : 삼성 SSD 950 PRO 256GB (NVMe)

* 벤치마크 툴
- Anvil's Storage Utilities 1.1.0
- AS SSD Benchmark 2.0.6694
- ATTO Disk Benchmark v4.00.f02
- CrystalDiskMark 6.0.1 (Random / 0Fill)
- HD Tune Pro 5.70 (Read / Write)

 

 


 

■ 테스트 결과

 

▲ Anvil's Storage Utilities

 

 

▲ AS SSD Benchmark (MB/s) ▲ AS SSD Benchmark (IOPS)

 

 

▲ ATTO Disk Benchmark

 

 

▲ CrystalDiskMark (Random) ▲ CrystalDiskMark (0Fill)

 

 

▲ HD Tune Pro (Read) ▲ HD Tune Pro (Write)

 

 

 

 테스트 결과 요약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다수의 벤치마크에서 최대 읽기 속도(Seq)가 기존 M.2의 대역폭인 10Gbps(1,250MB/s)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따라서, ASUS PRIME X370-PRO는 NVMe 인터페이스의 고성능 M.2 장치를 활용할 경우 그에 걸맞는 충분한 성능을 발휘할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8 . 결론

 

 

2세대 라이젠 지원으로 가격 경쟁력을 한층 높인 X370 메인보드, ASUS PRIME X370-PRO iBORA

 

 

제품이 고장나지 않는 선에서의 얘기지만, 일반적으로 메인보드의 생명 주기는 어느 정도일까요? 이에 대해서는 인텔과 AMD가 각기 다른 답안을 지니고 있습니다. 인텔의 경우 일반적으로 한 세대의 메인보드가 최대 다음 세대의 프로세서까지 지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DDR4의 적용이나 옵테인 메모리와 같이 새로운 기술을 탑재하기 위해 CPU 소켓을 변경하거나 개선된 아키텍쳐의 적용으로 기존 세대와 호환되지 않는 등 칩셋에 따라 프로세서 지원에 제한을 두는 데에는 다양한 요인이 존재하지만, 그 이면에는 분명 라이센스 비용과 관련된 부분도 존재할 것입니다. 이를테면, 인텔 커피레이크 프로세서가 8세대에 해당하기는 하지만, 100/200 시리즈와 동일하게 LGA1151 소켓을 활용함에도 6코어 지원을 이유로 호환성을 끊어버린 것이 가장 최근 공공연하게 알려진 비밀일 것입니다.

 

AMD의 경우는 어떨까요? 라이젠 이전에 해당하는 AM3/AM3+ 규격 메인보드는 상당히 오랜 시간동안 소켓을 유지해왔습니다. 신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소켓이 변화한다는 사실은 AMD 역시 피해갈 수 없는 현실이기는 하지만, AMD는 최대한 오랜 기간동안 소켓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오고 있습니다. 지난 해에 많은 이슈를 불러일으켰던 라이젠 프로세서의 경우도 AM4 소켓 규격을 5년간은 지속할 것이라고 발표했기 때문에, DDR5나 PCI-Express 4.0과 같은 새로운 기술이 메인보드에 적용되지 않는 이상 300 시리즈 메인보드를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물론 인텔과 AMD의 이러한 프로세서-칩셋 호환성은 각 회사의 경영 철학 차이에서 비롯한 것이기 때문에 어느 한 쪽이 옳다며 무조건적인 옹호를 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일반 유저의 시각에서 보았을 때 한 차례의 메인보드 구매로 몇 년에 걸쳐 프로세서만 교체하면서 계속 사용할 수 있다면 강한 메리트를 느낄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물론 메인보드 제조사의 입장에서는 반대일 수밖에 없겠지만 말입니다.

 

 

 

사진과 테스트를 통해서 살펴보았던 ASUS PRIME X370-PRO iBORA는 지난 1세대 라이젠 프로세서와 함께 출시되었던 X370 메인보드로, ASUS의 메인스트림 라인업이라고 할 수 있는 PRIME에 속한 ATX 규격 제품이었습니다. ASUS PRIME X370-PRO는 1세대 라이젠 프로세서와 함께 출시되었다고는 하나,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통해서 레이븐 릿지 및 피나클 릿지 프로세서도 정식으로 지원하는 만큼 현시점에서 보았을 때 높은 가격적 메리트를 지녔다고 볼 수 있었습니다. 지난 몇 세대동안 PRIME 라인업에 화이트톤의 색상을 활용하는 추세를 보여왔는데, ASUS PRIME X370-PRO 역시 은색의 전원부 방열판과 화이트톤의 칩셋 방열판을 장착해 메인보드의 외형에 포인트를 주었고, 검은색의 PCB 기판 위에 기하학 무늬를 프린팅하여 복잡하면서도 멋스러운 인상을 주었습니다.

 

물론 기능적인 측면도 빼놓을 수 없겠는데, ASUS PRIME X370-PRO는 8개의 SATA 3 포트와 1개의 PCIe 3.0 x4 M.2 슬롯을 제공하여 최대 9개의 저장 장치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PCI-Express 3.0 x16 규격 슬롯 3개와 PCI-Express 3.0 x1 슬롯 3개를 제공해 다양한 PCI-Express 확장 카드에 대한 지원도 아끼지 않는 모습입니다. 또한, 고가형 제품에 활용되던 USB 3.1 Gen2 Type-C 전면 헤더를 탑재하고 있다는 것 역시 해당 제품의 확장성을 한층 강화해주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ASUS PRIME X370-PRO는 단순히 확장성에서만 장점을 지니는 제품은 아니었는데, 오디오부의 LED Path에 AURA RGB LED가 적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 및 LED 모드를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PU 소켓 부근에 AURA RGB LED를 위한 스트립 헤더와 USB 2.0 헤더를 함께 제공하고 있어 일체감 있는 튜닝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사용자에 따라서 I/O 아머가 존재하지 않는 점은 호불호가 갈릴 수 있겠지만, 이러한 외형적 특성을 감안하더라도 괜찮은 수준의 확장성과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은 높은 메리트로 다가옵니다.

 

또한, 해당 제품은 10(6+4)페이즈 DIGI+ 전원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AMD Ryzen 7 2700X를 활용한 기본 상태에서 고부하 테스트를 진행했을 때 80℃ 중반 수준의 전원부 온도를 보여 안정적인 시스템 활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었습니다. 물론 피나클 릿지 프로세서를 활용하면서 높은 클럭과 더 많은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전원부의 온도 역시 상승하기 때문에, 적정 수준의 오버클럭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액티브/패시브 쿨링이 함께 가미되는 편이 좋으리라 생각됩니다.

 

 

 

이제와서 X370 메인보드를 사는 것에 대해 회의감을 가지는 사용자도 있을텐데, AMD는 AM4 소켓 규격을 발표하면서 해당 소켓을 향후 5년간 유지할 계획이라고 공식적으로 발표를 했고, X370과 X470 메인보드가 기능상의 큰 차이를 지니고 있지는 않기 때문에 오히려 가격적인 측면에서는 X370 메인보드가 더 나은 모습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유통사에 따라서는 미리 바이오스 업데이트도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최신 프로세서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 바이오스 업데이트가 적용되지 않았더라도 AMD 코리아를 통해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위한 구형 APU(브리스톨 릿지)를 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 큰 문제는 없으리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ASUS PRIME X370-PRO는 새롭게 AMD 시스템을 구성하려는 사용자 중에서도 10만원 중반대에서 적정 수준의 성능과 기능, 확장성을 갖추고 있는 메인보드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특히 추천할 만한 제품이라고 할 수 있겠으며, 저렴하게 AURA RGB LED 구성을 원하는 사용자 역시 눈여겨 볼 만하다고 생각됩니다. 이전 세대 제품이라고 해도 충분한 메리트를 지니고 있는 만큼, 저렴하게 X370 메인보드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ASUS PRIME X370-PRO를 선택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글 작성 기준 인터넷 최저가 : 160,000원)

 

 

 

작성자 : 플레이웨어즈 JesuaR

 

 




<저작권자 (C) 플레이웨어즈(www.playware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공감/비공감

공감/비공감안내도움말 보기
유용하고 재미있는 정보인가요?
공감이 된다면 공감 버튼을, 그렇지 않다면 비공감 버튼을 눌러 주세요!
공감이나 비공감을 선택 하는 경우 다나와 포인트를 적립해 드립니다. ※ 공감 버튼의 총 선택 횟수는 전체 공개입니다. 비공감 버튼의 선택 여부는 선택한 본인만 알 수 있습니다.
최신 전문가 리뷰 전체 둘러보기
1/1
콘티넨탈 MC7 VS 한국타이어 에보! 신상 여름용 타이어 집중 비교 테스트! 동영상 있음 Motorgraph
이 가격에 이게 어떻게 가능? 최저가 추천 이어폰 | Tangzu 탕주 상관완아2 동영상 있음 Producer dk
IT뉴스 노트북LM 한국어, 라마콘, 챗GPT '아첨' 논란, 그록 3.5, 추가 악성코드 SKT 근황, Suno 4.5, 듀오링고 AI 등 동영상 있음 조코딩 JoCoding
알고보면 원조 테슬람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배스낚시, 봄비가 수온의 영향을 줬네 어떻게 이러냐? 동영상 있음 훅간다TV
[시승기] '장거리 주행에도 확실한 존재감' 지프, 랭글러 투스카데로 에디션 오토헤럴드
갤럭시 A56 5G 정발 안 해 주길래 해외에서 사왔습니다 동영상 있음 UnderKG
주머니 속 45W 초고속 충전소 'ipTIME UP451 화이트' 뉴스탭
충격 걱정 없는 완전 미니미니한 SSD~~ [프리미엄 리포터V] (1) 동영상 있음 다나와
게임보이 디자인에 새턴의 6버튼이? 스냅드래곤 G1 Gen2를 탑재한 세로형 게임기! (1) 동영상 있음 무적풍화륜
[어른이날 특집] 아침마다 슬러시로 혈당 스파이크 때려 맞는 MZ 회사의 70만원 짜리 복지템ㅋㅋㅋ 플렉스⭐ 동영상 있음 주연 ZUYONI
배그 도시락, 편의점 한돈햄, 최현석 도시락~ 5월 첫째 주 편의점 신제품 리뷰 동영상 있음 맛상무
"EV4는 EGMP가 아니다" 설마 또? 동영상 있음 오토기어
(특집) 98년 프라이드에 태양광 패널을?! 프라이드 하이브리드 개조, 결과는 충격적! (좌절금지편) 동영상 있음 딴트공 말방구 실험실
JLR 코리아의 원 전략? 동영상 있음 모터피디
이게 진짜 풀배열 맞아? 키감·배열·무선 다 갖춘 EPOMAKER TH99, 가성비 키보드 끝판왕 등장! 동영상 있음 진블로그
2세대 테슬라 모델Y 주니퍼 첫인상 & 변화점 살펴보기 (Tesla Model Y Juniper) 동영상 있음 고나고
신형 에스컬레이드 ESV 1, 2, 3열 모두 타봤습니다! 동영상 있음 모터피디
29년만에 에어컨 바꾼 이유 동영상 있음 UnderKG
당신의 Life를 바꿔 줄 실용성 끝판왕 노트북 '에이서 아스파이어 라이트 16 AL16-52P' (1) 미디어픽
이 시간 HOT 댓글!
1/4